인도네시아 산업 개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12-02 09:52 조회1,940회 댓글0건본문
인도네시아 산업 개관
인도네시아 산업 개관
□ 산업 구조
ㅇ 인도네시아는 전통적으로 제조업으로 국가 성장을 이뤘으며 아세안 시장에서 서비스산업 규모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국가로 손꼽히고, 규모 면에서도 독보적으로 잠재력이 큰 시장임.
ㅇ 인도네시아 정부의 산업 분류는 제4차 개정 국제표준산업분류(ISIC)에 따르며, 해당 표준은 2017 인도네시아 산업 분류(Klasifikasi Baku Lapangan Usaha, KBLI)에 적용됐음.
ㅇ 2015년에 인도네시아 산업분류(KBLI)의 개정이 있었고, 인도네시아 통계청장령 2017년 제 19호에 따라 다음과 같은 산업 분류 체계로 개편했으며, 2019년 현재까지도 해당 분류 체계에 입각해 산업별 GDP가 산정되고 있음.
ㅇ 인도네시아의 산업별 GDP 점유율은 전체 국가 GDP를 기반으로 산정됐으며, 최근 5년간 인도네시아 GDP 규모 및 경제성장률은 다음과 같음.
자료 : 인도네시아 중앙 통계청(BPS), EIU(2019.10)
ㅇ 인도네시아의 1, 2, 3차 산업 분류는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기준에 따라 분류했으며, 1, 2, 3차 산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음.
ㅇ 최근 3~5년 간 전자상거래 시장, 라이드헤일링(Ride-hailing) 시장, 전자지갑(E-Wallet) 시장 등 ICT 기술에 기반한 온디멘드(On-demand)형 사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테크 기반의 서비스 산업이 발전해나가고 있음.
ㅇ 인도네시아 정부는 4차 산업과 관련하여 IoT 개발을 통한 스마트 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추세이며, 아직까지는 개발 초기 단계임.
자료 : KOTRA 자카르타무역관 보유 자료
ㅇ최근 5년간 1,2,3차 산업 중 GDP 점유율이 가장 높은 분야는 세부 산업이 밀집된 서비스 산업임.
ㅇ1차 산업의 GDP 점유율이 2.3%p 감소했고 2차 산업의 GDP 점유율은 1.1%p 감소했으며, 3차 산업의 GDP 점유율은 0.1%p 감소한 반면에 세금 등 기타 요인은 1.5%p 증가했음.
* 산업 분류 기준 :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및 중앙통계청(BPS) (2019.10)
자료 : Tech in Asia Indonesia, Jakarta Globe,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통계청(BPS)
ㅇ 인도네시아의 산업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제조업으로 2018년 기준, 전체 GDP의 20%를 차지하며, 농림어업 분야가12.8%, 건설 분야가 10.5%, 광산업이 8.1%, 금융업/보험업이 4.2%를 차지했음.
ㅇ 2018년 제조업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는 식음료 분야(31.5%)이며, 그 다음으로 석탄·석유·가스분야(11.3%), 수송기기(8.9%), 금속·전자·광학기기·전력기자재(8.7%), 화학 및 의약품(8.1%) 순서로 차지 비중이 높음.
- 제조업에서 직물/의류 산업의 경우 다년간 임금상승, 설비 노후화 및 인프라 부족 등으로 인해 생산성이 크게 하락하면서 현지 제조공장 철수 현상 지속
ㅇ 2018년의 경우 서비스, 정보통신업, 보건의료서비스, 물류산업 및 교통시설, 전기·가스 등 여러 분야가 큰 폭으로 성장했고, 부동산,건설 등의 성장 속도가 상대적으로 둔화됐음.
자료 : 인도네시아 중앙 통계청(BPS) (2019.10)
□ 산업 정책
ㅇ 2015~2035년 인도네시아 국가 산업 개발 계획
- 유도요노(Yudhoyono) 전 정부가 발표한 2011~2025년 경제발전 마스터플랜(MP3EI)에 이어 조코위 정부는 2015년에 국가 산업 개발 주요 계획(RIPIN)을 발표했음.
- 이 마스터플랜은 6대 핵심 산업으로 식품, 화장품·의약품, 섬유, 교통, 전자·정보통신, 전력산업을 지정하고 2015년부터 2035년까지 20년 동안의 개발 전략 수립
인도네시아 국가 산업 개발 주요 계획(RIPIN)
자료 : RIPIN
ㅇ 2017~2019년 3개년 주요 산업 개발 계획
- 인도네시아 대통령령 2018년 제 2호를 통해 발표된 해당 산업 개발 계획은 주력 산업 집중 개발, 산업에 투입되는 원부자재 및 인력 확보, 산업 시설 및 인프라 개선, 산업 강화, 중소기업 산업 육성, 산업 개발 촉진을 위한 인센티브 및 산업단지 구축을 주요 골자로 하며 이는 국가산업개발계획(RIPIN)과도 일맥상통함*
* 2019년 10월 기준으로 이에 대한 개정본은 없음.
- 3개년 10대 주력 산업 분야의 육성을 위해 중소기업(IKM-Industri Kecil dan Menegah)의 역량 강화가 요구됨.
- 정부는 산업에 디지털 플랫폼(e-smart IMK)과 사물인터넷(산업 4.0)을 접목해 중소기업의 마케팅의 질적 개선과 생산성 향상을 계획
자료 : 대통령령 2018년 제 2호
ㅇ 메이킹 인도네시아 4.0 로드맵(Making Indonesia 4.0 Roadmap)
- 인니 산업부는 인도네시아 디지털 경제 개발의 근간이 될 메이킹 인도네시아 4.0 로드맵(Making Indonesia Industry 4.0 Roadmap)을 2018년 4월 18일에 발표하였으며, 이 로드맵을 통해 디지털 기술, 바이오 산업, 하드웨어 자동화 등의 주요 혁신을 계획하고 있음.
- 인니 산업부의 아이르랑가 하르따르또(Airlangga Hartarto) 장관은2018년 4월 18일 개최된 산업 4.0 세미나에서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비즈니스 모델로의 혁신과 변화는 업계의 산업 4.0 로드맵 구현이며, 이 산업 혁명은 국가 산업 부문의 국가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가속화할 것이라고 언급
- 특히, 아이르랑가 장관은 산업 분야에서 정보 통신 기술 (ICT)을 적용한 혁신에는 온라인 문서 승인 시스템을 사용하여 작업 완료를 제어하는 활동이 해당되며, 이러한 산업계의 ICT 접목 활동은 시간 및 금전적 비용 절감을 불로 일으켜 현지 생산 제품의 국가 경쟁력을 높이게 될 것이라고 강조
ㅇ 투자 유치 확대 주요 정책(1) : 외국인 근로자법 개정
- 외국인 근로자법 개정을 위한 노동부장관 칙령 2019년 제 228호(Keputusan Menteri Ketenagakerjaan Nomor 228 Tahun 2019) 제정 (2019년 8월)
- 해당 칙령은 노동부 장관령 2018년 제 10호에 대한 시행세칙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 개선 및 투자 촉진을 위해 외국인 근로자에게 허용되는 종사 가능 업종을 확대
- 외국인은 18가지의 업종에서 2,000개 이상의 직책을 가지고 사업활동을 수행할 수 있음.
- 법에 명시된 직책은 국제 노동 기구(ILO)에서 발간한 ISCO(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기준임.
외국인에게 허용하는 사업 종류와 직책의 수
자료 : Asia Briefing(2019.10)
ㅇ 투자 유치 확대 주요 정책(2) : 선도산업에 대한 법인세 감면
- 외국인 근로자법 개정을 위한 노동부장관 칙령 2019년 제 228호(Keputusan Menteri Ketenagakerjaan Nomor 228 Tahun 2019) 제정 (2019년 9월)
- 해당 칙령은 노동부 장관령 2018년 제 10호에 대한 시행세칙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근로환경 개선 및 투자 촉진을 위해 외국인 근로자에게 허용되는 종사 가능 업종을 확대
- 외국인은 18가지의 업종에서 2,000개 이상의 직책을 가지고 사업활동을 수행할 수 있음.
- 법에 명시된 직책은 국제 노동 기구(ILO)에서 발간한 ISCO(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기준임.
인도네시아 18대 선도산업
자료원 : KOTRA 자카르타무역관 보유자료, KOTRA 국가정보, 2019년 인도네시아 진출전략보고서, Asia Briefing, Tech in Asia Indonesia, Jakarta Globe,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통계청(BPS), EIU(Economist Intelligence Unit)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