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얼리에 열광하는 인도네시아 사람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11-27 09:28 조회3,027회 댓글0건본문
주얼리에 열광하는 인도네시아 사람들
- 나를 가꾸는 목적, 투자 목적, 경사 등 다양한 이유로 보석 구매 -
- 최근 3년간 중국 보석류 수입 감소…한국 제품 수입은 증가 -
인도네시아 특유의 보석류: 발리풍 보석과 바띡(Batik) 문양 보석
자료원: Bali-indonesia(좌), Craftcast(우)
□ 인도네시아 주얼리시장 진출 기회
ㅇ 인도네시아 주얼리 시장은 커다란 인구 규모, 중산층의 구매력 향상, 장신구에 대한 높은 관심도 등으로 성장 잠재성이 큼.
- 수요는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중산층 이상의 소비층이 인도네시아 주얼리 시장에서 주된 활약을 할 전망
ㅇ 주얼리는 몸을 치장하거나 장식품용으로뿐만 아니라 투자 목적으로 구매되는 경우도 많으며 주얼리 구매는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ㅇ 인도네시아 주얼리 시장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다음과 같음.
① 인도네시아 금리 인하 정책과 5%대 이하의 낮은 인플레이션
· 2017년 들어 4.25%로 낮아진 기준금리는 사람들로 하여금 보석류(금)를 저축 대신 투자용으로 구매하게 하는 요인 중 하나임.
· 게다가 금 종류의 가격은 장기 투자에 있어서 다른 종목에 투자하는 것보다 안정적임.
(좌)2015~2017년 인도네시아 g당 금 가격(루피아/gram) 동향 (우) 같은 기간 인플레이션율
자료원: http://harga-emas.org/(좌), 인도네시아 중앙 은행(우)
② 낮은 임금과 풍부한 노동력
· 인도네시아는 2017년 기준 월 최저 임금이 약 335만 루피아(약 247.38달러로, 한국의 약 1/5 수준) 인건비가 비싸지 않음.
· 인도네시아 경제활동참가율*은 69.2%로 한국의 경제활동참가율 수치인 68.7%에 비해 약간 높은 수준이며, 인구 비율로는 인도네시아가 한국보다 5배가 많아 노동력이 풍부함.
* 경제활동참가율: 생산가능인구 중 노동 공급에 기여한 사람(취업과 실업에 분류된 사람)의 비율
· 이에 다양한 공정을 위한 인력을 어렵지 않게 확보할 수 있어 인적자원 측면에서 인도네시아 주얼리 시장은 진출해볼 만한 시장임.
③ 인도네시아 정부의 보석류 제조분야 외국인 투자 장려
· 보석류 제조분야 투자의 경우 외국인 투자 지분을 100%까지 허용해 투자를 장려하는 산업분야 중 하나임.
· 특히 인도네시아는 양질의 은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유명해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외국인 투자가들이 인도네시아에 유입해 공장을 설립했음.
· 예를 들어, 미국의 유명 주얼리 브랜드인 존 하디(John Hardy)의 경우 발리의 맘방마을에 공장을 세웠으며, 태국의 프란다 그룹(Pranda Group)은 인도네시아 기업과 합작투자 형태로 자카르타에 PT Sumberkreasi Cliptalogam이라는 현지 법인을 설립해 내수 및 수출용 금과 은 제품을 가공,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세우기도 함.
④ 보석류 포함한 인도네시아의 풍부한 천연자원
· 1만7503개(2017년 11월 기준)의 군도로 이뤄진 190㎢의 거대면적 국가 인도네시아는 각종 천연자원이 풍부하며, 특히 준보석(Semiprecious Stone)*은 인도네시아 전역에서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음.
* 준보석: 보석보다 가치가 약간 떨어지나 아름다움과 내구성으로 인해 보석류로 매우 적합
- 인도네시아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금과 은 제조업체를 보유
- 남부 수마트라에는 자수정·석영, 서부 자바지역에는 옥수·산호·벽옥, 남부 칼리만탄 지역에는 자수정·석영·옥수가 많이 나는 것으로 유명함.
- 무엇보다 발리, 롬복, 말루쿠섬, 술라웨시섬, 숨바와섬은 진주로 매우 유명하며 세계 전체 진주 생산량의 50%를 생산
- 다이아몬드 주재료와 원석은 남부 칼리만탄지역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으며, 같은 지역에 위치한 마르따뿌따라는 도시는 다이아몬드 도시로 알려졌을 만큼 다이아몬드 광산이 많음.
- 2017년 11월 현재 마르따뿌다 시는 인도네시아에서 다이아몬드 세공과 보석 제조로 가장 유명한 도시 중 하나임.
- 또한 인도네시아는 금과 은 제조로 유명하며, 미국의 지질학적 조사(U.S Geological Survey)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2016년에 세계에서 10번째로 가장 중요한 금 제조국가로 선정, 약 100톤을 생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함.
- 금으로 유명한 지역은 빠뿌아섬, 숨바와섬, 동부 칼리만탄과 중부 칼리만탄으로, 2017년 11월 현재 빠뿌아 섬에 Grasberg라는 세계 최대의 금광이 존재
- 2016년에 인도네시아는 세계 16위의 은 제조 생산량을 기록했으며, 대부분의 은은 금을 제조하는 국영기업인 PT ANTAM, Sumatra Copper&Gold plc, PT Newmont Nusa Tenggara 등에서 생산되고 있음.
- 인도네시아에서 은이 주로 생산되는 지역에는 숨바와와 서부 자바지역도 포함됨.
인도네시아 보석 주요 생산 지도
자료원: 보석 원석 관련 홈페이지, mapsof.net,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 인도네시아 주얼리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유로모니터에 의하면, 지난 5년 동안 인도네시아 보석산업은 꾸준히 성장했으며 추세 분석을 통해 2017년의 보석 판매액은 23조3400억 루피아(약 17억2352만 달러)로 2016년 대비 12.65% 증가
- 2016년에 이어 2017년에도 인도네시아에서 고급 다이아몬드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발생했으며 빨강, 파랑 등 색깔이 입혀진 다이아몬드는 2016년에 이어 2017년에도 유행 중임.
- 장미 모양의 보석류가 여성스럽고 우아한 이미지로 요즘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인기가 좋은 보석 형태
ㅇ 동시에 유로모니터는 2017년에 의상에 들어가는 보석류의 판매액은 4679억 루피아(약 3455만 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해 2016년의 4258억 루피아(약 3144만 달러)에 비해 약 9.89% 증가할 것으로 보임.
최근 5년 인도네시아 주얼리 판매 실적
(단위: 십억 루피아)
주: 1) 2017년은 추정치, 2) 2017년 11월 14일 기준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평균 환율(1달러=1만3542루피아)
자료원: 유로모니터
ㅇ 인도네시아인들은 훌륭한 보석류를 최고의 보석류로 생각하는 분위기로, 고급 보석류가 시장을 주도해오고 있음.
ㅇ 최근 들어, 인도네시아에서는 보석류를 치장 및 장식의 목적뿐만 아니라 투자의 목적으로도 구매함. 인도네시아 주부들이 금과 보석을 투자 용도로 구매해 값이 오르면 되파는 경우가 많음.
ㅇ 2017년 보석류 중 다이아몬드가 아닌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74%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다이아몬드가 다른 보석류들에 비교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소수의 특정 소비자 계층에서만 구매가 가능하기 때문
- 보석류의 대부분은 금과 금 제품이 차지하고, 은 제품도 인도네시아 사람들이 선호하고 있음.
ㅇ 인도네시아에서 주로 통용되는 보석류의 형태는 패션 주얼리라고도 부르는 코스튬 주얼리(Costume Jewelry)로 모조석, 플라스틱, 기타 금속 등 훨씬 저렴하고 실용적인 소재의 주얼리임.
ㅇ 코스튬 주얼리인지, 고급 보석류인지에 따라 인도네시아 사람들이 선호하는 품목도 다름.
- 고급 보석류로는 반지와 귀걸이 종류가 인기가 좋으며, 2016년에 반지가 고급 보석류 판매 실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36%였음.
- 고가의 반지가 인기가 좋은 이유는 인도네시아인들도 한국인과 마찬가지로 약혼식이나 결혼식 등 특별한 경사에 반지를 구매하기 때문이라고 함.
- 반면, 코스튬 주얼리에서 가장 판매비중이 높은 제품은 목걸이이며 코스튬 주얼리 총 판매실적의 약 30%를 차지
- 인도네시아 현지인들에 따르면 목걸이가 인기가 좋은 이유는 많은 인도네시아인이 패션의 완성은 목걸이로 여기기 때문이라고 함.
ㅇ 고급 보석류와 코스튬 주얼리 모두 매년 판매 금액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인도네시아인의 생활수준 향상과 보석류를 구매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구의 증가를 원인으로 볼 수 있음.
- 특히 중산계층에서 많이 구매하는 코스튬 주얼리의 경우 2016년 판매실적 4258억 루피아(약 3144만 달러)를 기록, 최근 5년 사이에 판매 실적이 약 1.54배 증가
ㅇ 인도네시아 시장 보석류 광산 및 제조 공장이 활성화 돼 있음에도, 최근 3년 동안 보석 수입은 여전히 수입되고 있음.
-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보석의 총수입은 매년 3천만 달러 이상을 기록했으며 2016년에는 총 3421만 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약 4.04% 감소했으나 2014년에 비하면 약 12.31% 증가
- 2016년에 2015년에 비해 수입 실적이 감소한 이유는 귀금속이나 유리, 진주 이미테이션에 해당되지 않는 기타 모조 보석(HS Code 7117)의 수입액 감소로 인한 것임.
ㅇ 2016년 모조 신변장식용품제품(HS Code 7117)의 총 수입은 1706만 달러로, 2015년보다는 22.28%가 감소한 2195만 달러였으며, 한편 유리로 만든 보석(HS Code 7018)과 귀금속으로 만든 신변장식용품(HS Code 7103)의 경우 전년 대비 수입 실적이 각각 10.26%와 55.04% 증가함.
ㅇ 인도네시아는 최근 3년 동안 주로 중국에서 가장 많은 보석류를 수입했으며, 2016년 중국으로부터의 총수입은 1418만 달러를 기록해 상기 품목군에 근거한 보석류 수입시장의 시장 점유율은 약 41.45%임.
- 중국 다음으로 한국은 인도네시아 보석류 수입 시장에서 두 번째로 크나, 2016년 기준 220만 달러의 수입실적을 기록해 시장 점유율은 약 7.8%에 불과
- 2015년 수출실적인 44만 달러를 기록해 10개국 순위 안에 들지 못하던 미국의 대인도네시아 수출실적이 2016년 5배 증가하면서 2016년에 상위 10개 주요 수입국에서 3위를 차지
ㅇ 인도네시아는 중국으로부터 HS Code 7117 제품 즉 금속, 유리, 진주 외의 모조 장신구를 많이 수입했으며 한국으로부터는 유리로 만든 보석류(HS Code 7018)를 많이 수입했음.
□ 인도네시아 주얼리 업계 경쟁동향
ㅇ 인도네시아 시장에서의 보석류시장에서 주요 경쟁업자는 주로 현지 제작자임. 인도네시아는 약 3만 개의 보석 취급 업체가 존재하고 있고, 이들 기업은 주로 고급 보석 및 모조 보석류를 판매함.
ㅇ 인도네시아 보석산업에서 총 30만 명이 넘는 인력이 종사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에서의 보석제조산업은 지난 10년간 크게 발전했음.
ㅇ '줄리아 주얼리(Julia Jewelry)'와 같은 인도네시아 현지 브랜드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글로벌 기업의 브랜드도 인도네시아 상류층을 중심으로 수요가 높아 강력한 입지를 확보
- 특히 값비싼 브랜드 보석을 착용함으로써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인도네시아에서도 사회적 지위의 상승과 구매자의 부를 나타내 주기 때문에 고가여도 인도네시아인들이 꾸준히 선호
ㅇ 인도네시아와 같은 신흥 시장 소비자들은 기존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편이며, 독특하고 독창적인 디자인의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있음.
□ 보석류 수입 관련 인도네시아 규정
ㅇ 무역부 장관령 (MOT) No 70/m-dag/per/9/2015
- API(Angka Pengenal Importir)는 위 장관령에 따라 인도네시아에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대해 취득해야 하는 수입인증번호이며,주얼리 제품에도 해당함.
- 인증에는 일반 수입인증번호(API-U)와 현지 가공 등을 목적으로 수입되는 생산자 수입인증번호(API-P)로 구분돼 있음.
- 모든 수입업자는 수입인증번호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수입 실적을 무역부에 보고해야 함.
- 5년을 단위로 수입인증번호를 갱신해야 하며, 유효기간 도래 30일 전(근무일 기준)에 갱신을 완료해야 함.
- 소관 부처는 무역부이며, 관련 부처는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 등이 있음.
- API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수입업자는 다음 제품만 수입이 가능
· 제품 샘플, 소포, 선물, 정부 예산으로 구매되는 의약품 및 의료기기, 교역 용도가 아닌 물품 등 무역부에서 지정하는 물품
- API가 취소될 수 있는 경우: 유관 정부 부처가 수입 업자의 수입행위를 이미 2번 유예한 경우, API 만료 시점으로부터 근무 일수 기준 30일 이내에 수입 인증 번호를 갱신하지 않은 경우, 수입업자가 관련 당국에 수입실적을 보고하지 않은 경우 등 동 장관령을 준수하지 못한 경우
ㅇ 무역부 장관령 (MOT) No 0025/M-DAG/PER/7/2008
- 이 규정은 무역부 장관령 (MOT) No 10/M-DAG/PER/6/2005의 개정안으로 전의 규정과 크게 달라진 점이 없으나, 차이점은 적용되는 품목군(HS Code 7102.39.00)이 삭제됨.
ㅇ 무역부 장관령 (MOT) 37/M-DAG/PER/7/2014
- 이 법령은 진주 수입에 관한 법령으로, 무역부 장관령 (MOT) No 02/M-DAG/PER/1/2012를 개정한 규정임.
□ 시사점 및 진출 유의사항
ㅇ 주얼리 관련 공식 보고서뿐 아니라 현지 주얼리업계, 보석 취급 파워블로거 등 다양한 루트로 주얼리 시장을 조사한 결과 2017년11월 기준으로 인도네시아 보석류시장의 가장 최신 주안점, 특징, 극복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ㅇ 인도네시아 정부는 현재 주얼리 내수 산업을 진작시키고 산업군 내의 경쟁력 있는 지역 산업, 특히 중소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음.
ㅇ 기본적으로 인도네시아는 금, 은 및 기타 보석류의 주요 생산국이기 때문에 현지 업계가 오랜 세월 동안 발전해왔을 수밖에 없음.현지 업체들은 바띡과 같은 인도네시아 특유의 문양을 모티브로 한 각종 보석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 중이며, 내수뿐 아니라 수출도 진행하고 있음.
- 단, 국내외 보석 생산자들 사이의 가격 경쟁은 보석업계가 직면한 난관이나, 기본적으로 보석은 희귀함때문에 고가의 제품이 주를 이룰 수밖에 없음.
ㅇ 그러나 갈수록 현대식 생활양식에 맞춰 사회생활을 하고 서구 영화 및 드라마의 영향을 받아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 반짝거리는 보석류의 착용이 일상화돼가는 상황에서 이미테이션 제품은 더욱 더 주목받고 있음.
- 특히 한국의 장신구는 독특하며 세련되고 깔끔한 디자인으로 인도네시아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좋으며, 중국과의 가격 경쟁에서 벗어나 가격 대비 품질경쟁력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한국산 주얼리 제품은 앞으로도 유망할 것으로 보임.
ㅇ 한편으로 금, 은과 같은 제품은 장식, 치장뿐 아니라 투자의 목적으로 앞으로도 지속해서 수요가 발생할 전망
자료원: 유로모니터, GTA(Global Trade Atlas), 각 기업 홈페이지, 인도네시아, 금 시세 조회 사이트, 인도네시아 무역부, BKPM(투자조정청), bali-indonesia, craftcast, mapsofnet,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보유자료 및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