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다리 만학도의 BIPA 도전기(1 주차)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05904
본문
일단 타 사이트(네이버 카페)에 공부과정을 올리는 글인데 워낙 뛰어난 분들이 많은 여기 사이트에 올릴
까말까 고민을 좀 했는데요 흠...
아무리 뒤져도 사실 BIPA 관련 신청정보만 많지 교육과정이 어떻게 되는지 정보를 얻었던게 거의 없었기
에(뭐 족보 공유하는 그런 동네는 얻겠지만 저 같은 외톨이들은 뭐...)그런 분들에게 좀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쓰기 시작한 내용입니다 흠...
개인적으로는 담당 선생님과 아는 사이(현재 수업을 듣고 있으니 ㅡ.ㅡ;;;)인데 좀 시니컬한 내용이
있어도 모른 척해주시기를 부탁드리고요...
카페에 올리고 있는 내용이라 반말 존대발 공존이니 이해들 부탁드립니다...
-----------------------------------------------------------------------------------------------
사실 개인적으로 인도네시아어를 공부하기 시작해서 BIPA 정규반 신청까지 온 지난 2년여의 과정을 생각하면
나름 파란만장 했다고 생각된다
쓸라고 하면 정말 내용이 많지만 일단 이 글의 목적이 나 같은 어리버리한 사람들이 BIPA과정을 신청하기 전
에 도대체 뭘 듣는지 수강하는데 참고할만한 내용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이전에 들었기에 써보는거니
일단 무시하고...
BIPA하면 많은 사람들이 UI(Universitas Indonesia) 의 BIPA 라고 생각하는데 나는 땅그랑 UMN(Unversitas
Multimedia Nusantara)의 BIPA 과정을 듣고 있고 여기밖에 모르니 여기 기준으로만 쓸수밖에 없는것을 이해들
해주시고...
UMN의 BIPA는 정규반(12주-180시간), 회화반(12주-108시간),토요반(12주 54시간) 으로 구성되는데 보면 알겠지만
회화반과 토요반이 있다는게 아주 큰 특징이다
즉 직장인(토요반)과 회화를 위주로 원하는 사람들(회화반)을 위한 강의를 개설함으로써 자카르타 및 자카르타 인
근의 잠재적 수요층(주말만 가능하고 회화도 좋지만 문법도 배워야 할거 같은(?) 직장인,듣고,말하기만 잘하면 좋
겠다는 신규 유입 아주머니 부대(?) 등)을 공략했다고 보는데 내가 경험한 바에 따르면 후발주자 입장에서 마케팅
적으로 훌륭한 선택이었다고 생각됨...
UMN 의 BIPA 과정은 총 5개의 영역 3 개단계로 구성된다고 보입니다(왜 추측형이냐면 난 거기 관계자가 아니라
추론만 가능해서...)
------
단계는 아래와 같습니다
1.Pemula : 정규반/회화반 은 하나의 단계 / 토요반은 2개의 단계(Pemula A,Pemula B)
2.Madya : 정규반/회화반 은 하나의 단계 / 토요반은 2개의 단계(Madya,Bisnis)
3.Mahir : 정규반/회화반 은 하나의 단계
------
영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읽고 말하고 듣기(시청각) 영역(3 개)
Membaca, berbicara, Menyimak --> 회화반은 이것만 / 토요반은 berbicara, Menyimak 만
2,문법과 쓰기 영역
Tata Bahasa, Menulis --> 회화반은 안함 / 토요반은 Tata Bahasa 만
------
실제로 영역은 UI나 다른 BIPA도 마찬가지 일것으로 생각되고 구성도 같은 방식일 것으로 추정되는데 확실치
는 않은데 당연히 누가 알려준적이 없으니 뭐...
일단 UMN은 현재 BIPA 교재 정식 출판 작업을 진행중이라고 하는데 그 중간 결과물이 이번 학기 부터 서서
히 나오고 있는 중으로 판단됩니다(왜냐하면 현재 1/3정도 책으로 공식출판(칼라에요 ㅋ) 된거 같고 나머지는
아직 비공식출판본(스프링 파일 교재?)로 강의하기 때문이죠 뭐 흠...)
뭐 이번주에 처음 BIPA 정규과정을 듣기 시작했지만 이미 토요반 수업을 2번(Pemula B, Madya)를 들은 입
장에서 보면 BIPA의 정규과정을 듣는것이 매우 좋기는 한 것 같습니다(당연한건지도...)
일단 모든 주제가 1주일 단위로 통일되어 있는 상태에서 말하고 듣고 문법을 배우고 쓰고 읽는 것으로 교육이
이루어집니다(1 강의 당 1.5 시간)
간단히 예를 들면
1주차 주제 : Jakarta 와 그 주변 에서의 Angkutan Umum 이면
여기에 맞추어 berbicara - 3 강의 / Menyimak 2 강의 / Membaca 1 강의
Tata Bahasa - 2강의 / Menulis - 2강의
로 구성되어 같은 대 주제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을 말하고 듣고 보고, 읽고 난 후 거기에 쓰인 문법적 특성
을 배우고 작문을 하는 것이지요
즉 1 주일 내내 같은 대 주제 및 약 3개 정도의 세부 주제를 가지고 수업을 집중적으로 듣게 되는 거니 이에 대
한 예습,복습을 해야하는 입장이 되면 밥먹고 공부만 해도 쉽지 않죠(거기다 머리가 술과 담배에 찌들었던 40
대 직장인이라면 뭐...)
그리고 1단계(Pemula) 와 달리 2단계(Madya)는 사실 Tata Bahasa, Menulis 가 가장 핵심이라고 생각되는데
이게 참 쉽지 않음...(개인적으로는 아직 들을 깜냥도 안됨에도 불구하고 3단계(Mahir)는 Menyimak 이 핵심이라고
생각됨... 듣는게 왜 중요한가는 TV앵커들 숨도 안쉬고 이야기하는거 바로 듣고 빈칸 신나게 맞는 단어(문장) 적어야
했던 토요반 Menyimak 의 악몽에서 이미 체험했음...)
그리고 이건 개인적인 것이지만 나중에 BIPA 선택하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한번쯤 고려해봐야 할 상황이라고 생각
되서 적겠음...
일단 한국인 다수 및 한반에 15명 이상이 듣는다면 BIPA 수업을 듣는게 절박해서 어떤 난관이라도 그냥 무시하고
난 성공하겠음이라는 각오 정도 아니면 그렇게 권하고 싶지는 않다고 않다고 생각됨...
15명이상이 듣던 토요반과 한 6-7명 정도 듣는 지금 정규반에서의 가장 큰 차이점은 내가 실습(?)을 하고 그 것을 선
생님에게 평가받는 시간 자체가 월등히 많고 질이 높다는 것인데 이게 정말 미칠 정도로 빡시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
지만 생각해보면 토요반에서 1번이나 하면 많이 하던 것(왜 잘하는 사람들 위주로 주로 하니...)을 여기서는 거의 3
번 정도는 해야 한 강의가 끝나니 강제로라도 공부를 하게만든다 그러다보니 이게 같은 시간내에 사람이 적은게 훨씬
유리하다는 생각을 들게 한것이고(그래도 한 6명은 되야한다고는 생각한다 한 3팀이 쌍으로 말하고 하는거 들으면
서로 도움이 됨 시간도 대충 맞고...)
그리고 강의 시간에 한국어로 대화하는것이 가능해지는 것은 절대 피헤야한다고 생각되기에 한국인들 많은데는
별로인거 같다고 생각됨(차라리 영어로 대화를 하면 모를까 --> 물론 난 절대 영어 잘 못해요...)
토요반은 직장인반이라 그런지 대화도 어떻게든 인니어로 그리고 단어 모르면 영어로 설명하고 했던게 지금도
큰 도움이 되는 것을 생각하면 한국인끼리 한국어로 대화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면 상관없으나
아닐 경우 한국인 많은데 가는것은 효율상 그리 뭐...(그래서 인도네시아 인 친구 사귀고 애인(?) 사귀라고 하는건
데 한국인 많으면 그것도 뭐...)
아뭏든 40대 중반도 넘은 늙다리 만학도의 BIPA 이야기는 여기서 정리하겠습니다
각 주차별로 생각되는게 또 나오면 또는 뭐 BIPA 들으며 생각나는게 있으면 적어보겠습니다...
다만 교육적인 내용은 바라지들 마시기를...
저는 그냥 인도네시아어 잘 못해요 ㅋ
댓글목록

클루띠님의 댓글
클루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관심있어서 봤어요~ 도움이 많이 됩니다.

goodnight님의 댓글
goodnigh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도움글로 짱이에요^^ 오픈 가능하시다면 신청절차와 소요경비도 알려 주시와요. 감사드리고 좋은 주말 되시고요~

아홉개물병님의 댓글
아홉개물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감사합니다 자세하고 구체적으로 기술되어 있어서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다음에도 글 부탁드릴게요!!ㅋㅋ

ANDREAGASI님의 댓글

만학도님 재밌습니다. 비파에 대해서 막연하게 듣기만 했지 실제로 어떤 과정인지 몰랐습니다.
다음편도 재미나게 보겠습니다.

wolf님의 댓글

안녕하세요. 만학도님.
이렇게 상세한 정보를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인도네시아 능력시험까지 잘 봤습니다.
저도 늦었다는 생각을 버리고 용기를 내어 도전해 보고 싶네요.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