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Solar tech 2025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태양광 산업 동향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432)
  • 최신글

LOGIN

Solar tech 2025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태양광 산업 동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5-06-13 15:23 조회188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507594

본문

올해 10회째 맞는 인도네시아 태양광 전문 전시회 한국관 개최

인도네시아 태양광 발전은 2026년 순 배출 제로(Net Zero) 달성을 위한 가장 유망한 에너지원으로 평가

태양광 산업 성장 잠재력 주목 필요


2025년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자카르타 JIEXPO 전시관에서 개최된 솔라텍(Solartech) 인도네시아 2025는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의 태양광 및 에너지 저장장치 산업 전시회다. 올해 10회째를 맞는 전시회로서 780개 부스를 설치하고 약 1만8000명의 관련 참관객이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태양광 및 에너지 저장 장치관 외 스마트홈 및 스마트 라이트(조명)관 등 부대 공간도 함께 마련됐다.


<Solartech Indonesia 전시회 개요>

3036457481_1749802516.0588.png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인도네시아 에너지전환가속화연구소(Institute for Essential Services Reform, IESR) 발표자료에 따르면 2024년 말 인도네시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15.1GW(14.8%)며, 태양광 발전 설비 용량은 2024년 8월 기준 717MW라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태양광 발전 설비용량>
(단위: MW)
3036457481_1749802651.4789.png
[자료: Institute for Essential Services Reform, IESR, Indonesia Solar Energy Outlook 2025]

이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수립한 국가에너지계획(KEN)에서 설정된 2025년까지의 에너지믹스 비중 목표 23%에 약 8%가량 부족한 수치이며, 태양광 설비용량은 전체 설비용량 약 90GW에 대해 1% 미만에 불과한 수준이다. 한편, 인도네시아는 2024년 한해 총 1.9GW 규모의 석탄화력 발전소를 추가 건설해 에너지믹스 실현 가능성에 불확실성이 함께 제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인도네시아 정부는 에너지 자립과 안보 확보, 도서 지역 전력 공급 효율화 등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확대 정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최근 국영전력회사(PLN) 수로소 이스난다르(Suroso Isnandar) 이사는 전력공급계획(RUPTL)에 따라, 향후 10년간 71GW의 발전 용량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 이 중 약 59%에 해당하는 41.9GW를 신재생 에너지로 충당할 예정이며, 태양광 발전은 약 16.9GW로 약 40%를 차지한다. 또한 에너지광물자원부 5호 장관령(MEMR No. 5/2025)으로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경제성 강화를 위해 전력구매계약(PPA) 간소화, 법적 명확성 및 발전기간 추가 연장 (최대 30년 장기계약 허용) 등을 조치했다.

이에, 당 관에서는 인도네시아 에너지믹스 계획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내기업의 수출 및 프로젝트 수주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해당 전시회에 국가관을 처음 구성해 수출 및 수주지원 활동을 전개했다.

<Solar tech 2025 전시회 전경>
3036457481_1749802797.7832.jpg

3036457481_1749802786.2403.png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직접 촬영]

한국관에 방문한 PLN Suku Cadang A 씨는 “태양광 발전소에서 흔히 일어나는 전압 강하시 주파수 변화에 대응하는 전력 계통 안정화 인버터 기술(GFM)이 눈에 띈다"라며, “이번 한국관에서 IKN(신수도) 및 Karangkates(129MW), Cirate(145MW), Kedung Ombo(100MW), Saguling(60MW), Semarang, Lontar (계획) 등 수상 태양광 프로젝트를 함께할 수 있는 2개 기업도 함께 발굴”했다고 언급했다. 또한 인도네시아 태양광 발전 협회장인 마다 아유 합사리(Mada Ayu Habsari)는 “옥상형 태양광 발전 관련 장관령 (No 2./2024) 개정 후 도입 확대 추세*며, 태양광 모듈 효율성(최대 30%) 증가, 전력망 미연결 도서 지역 대상 디젤 하이브리드/오프그리드 태양광 발전 사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 옥상형 태양광 관련 장관령 규정 개정 후 2024년 1차 쿼터에서 1개월 내 565MW 발전용량이 신규 등록이 완료된 바 있음

한편, 태양광 발전 사업에 대한 과도한 국산부품 사용비율(TKDN) 요구로 투자 철회 등을 유발, 외국기업의 발전사업 참여에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많았다. 이에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장관령 No. 33/2024을 통해 기존 부품별 TKDN 세부 산정 방식을 폐지하며 단순화했다. 또한 에너지광물자원부는 장관령 No. 11/2024 및 결정 191/2024호 부속서를 통해 발전소 유형별로 재화와 서비스를 통합한 ‘통합 TKDN 비율’을 확정했으며, 태양광 발전은 전체 시스템의 최소 TKDN 20%로 명시했다. 마지막으로 장관령 No. 11/2024를 통해 외국자금(ODA, 수출금융 등)이 50% 이상 포함된 발전 프로젝트는 TKDN 요구 시 면제가 가능하도록 규정을 개정하는 등 승인 받은 사업자에 한해 완화 조치도 일부 시행했다.

<발전 유형별 통합 TKDN 기준표>
3036457481_1749802900.3729.png
[자료: MEMR Decree191/2024,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구성]

 그러나 낮은 전력구매단가는 여전히 태양광 발전 확산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IESR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태양광 발전단가(PPA Tariff)는 약 USD 0.05~0.065/킬로와트시(kWh) 수준으로 주 전원인 석탄화력발전 약 USD 0.05~0.07/킬로와트와 비슷한 수준이다. 또한 군도 특성상 도서 지역의 인프라 개발 격차로 국영전력공사 외 안정적 전력 공급처(대규모 산업단지 등) 발굴에도 어려움이 상존한다.

인도네시아 신정부는 2024년 11월 대통령 8대 비전 아스타 시타(Asta Cita)를 통해 ‘에너지 자립국 실현’을 국가 핵심 과제로 천명하고, 2040년까지 화석연료 발전소의 단계적 폐지 계획을 G20 서밋(Summit)에서 공식화했다. 최근 대통령의 TKDN 완화 필요성 언급 등은 민간 참여 및 투자 확대와 기술 협력을 위한 긍정적인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정책 일관성과 실행력, 제도 정비의 실효성에 따라 에너지 전환 정책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해야 하며, 현지 진출 계획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자료: Institute for Essential Services Reform(IESR), 인니태양광에너지발전협회(AESI), RUKN, Tempo, Antara News 등 현지 언론 종합,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체 발주처/바이어 인터뷰 및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77건 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77 2025 인도워터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수처리 산업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4 188
976 인도네시아 건설 기계 부품 시장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3 459
975 인도네시아 강관 시장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3 451
974 [인도네시아] 프라보워 대통령, 중국 전승절 열병식 참석 결정 번복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3 348
973 [인도네시아] 학생·시민사회 단체, ‘국회의원 특권 반대’ 시위 연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3 65
972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주간 뉴스레터 제11호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1 403
971 [인도네시아] 美, 인도네시아 팜유·코코아·고무 수출 관세 면제 합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1 521
970 [인도네시아] 국부펀드 Danantara·중국 GEM, 니켈 가공 허브 추진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1 569
969 [인도네시아] 프라보워 대통령, 국회의원 특권 철회 발표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1 187
968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주간 뉴스레터 제10호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9 1127
967 인도네시아, 희토류 개발 감독 기관 설립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8 1266
966 디지털화의 물결에 동참하는 인도네시아 교육 시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5 1423
965 인도네시아 라텍스(합성 고무) 시장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5 892
964 디지털과 친환경으로 진화하는 인도네시아 섬유산업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5 849
963 인도네시아 바디워시 시장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5 179
962 인도네시아 중국 기업의 투자 유입 증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5 223
961 인도네시아 2026년 예산안 발표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5 189
960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기준금리 동결 전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5 167
959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주간 뉴스레터 제9호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15 1736
958 2025 KOREA-ASEAN Maritime Week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12 1638
957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주간 뉴스레터 제8호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08 1727
956 개정된 인도네시아 무역부 규정, 무엇이 달라졌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08 517
955 KOTRA 동남아대양주지역 주간 뉴스레터 6호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7-28 657
954 인도네시아 암모니아 시장 동향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7-28 548
953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주간 뉴스레터 5호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7-21 746
952 인도네시아 전력 시장 동향 및 현황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7-17 570
951 인도네시아 축산 박람회 2025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7-10 2155
950 스타트업으로 알아보는 인도네시아 디지털 전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7-10 2070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5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