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인도네시아 산업단지 및 특별경제구역 현황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400)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산업단지 및 특별경제구역 현황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9-24 16:26 조회3,999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503929

본문

한국 진출 기업들의 인도네시아 사업 영토는 어디에?

인도네시아 FDI 현황

 

인도네시아 진출에 대한 우리기업 그리고 해외 글로벌 기업들의 관심이 뜨겁다. 기업들은 2억8000만 명에 이르는 거대한 내수시장, 풍부한 천연자원 등에 주목하며 인도네시아 진출을 추진 중이다.

 

인도네시아 투자청(BKPM) 통계에 따르면 2023년도 직접투자 금액은 503억 달러로 전년 대비 약 10.3% 증가했으며 2024년 2분기까지 집계된 외국인 직접투자 금액은 281억 달러이다. 산업별로는 2023년 기준으로 1차 산업 67억 달러(13%), 2차 산업 287억 달러(57%) 그리고 3차 산업 148억 달러(29%)로 나타났다. 세부 분야별로는 2023년 기준, 가장 많이 투자된 산업은 금속 분야가 117억 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뒤이어 유통(56억 달러), 화학(48억), 광물(47억 달러)로 나타났다.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우리 기업들도 인도네시아에 현지 생산 거점을 설립하는 등 인도네시아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수출입은행 해외직접투자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전 세계 해외직접투자액은 총 투자액 기준 633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2.2% 하락했다. 반면, 2023년 한국의 대 인도네시아 해외직접투자 금액은 금액은 22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54.3%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3년 기준, 업종별로는 금융 및 보험업 10억5000만 달러(46%) 제조업 10억4000만 달러(45%), 도매 및 소매업 1억3000만 달러(6%) 순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세부 분류를 살펴보면, 1차 금속 제조업 3억2000만 달러(35%), 담배 제조업이 2억7000만 달러(29%), 화학물질 및 제품 5000만 달러(6%)를 차지했다. 이는 포스코와 크라카타우스틸의 제2고로 냉연공장 신설 추진, KT&G의 인도네시아 2·3공장 건립, 그리고 롯데케미칼의 석유화학공장 설립 진행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대인도네시아 제조업 분야 투자와 관련해 투자 금액을 5년, 10년 치 누적으로 살펴보면 섬유·의복·신발 제조업, 화학물질 및 제품, 자동차, 1차 금속 그리고 전기 장비 분야에 대한 투자가 약 70%를 차지하고 있다. 과거에는 저임금 노동력과 자원확보를 위한 경공업 분야에서의 투자가 주를 이루었다면, 점차 중공업에서 금융 분야나 인프라 투자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

 

2024년 기준 한인회에 등록된 현재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기업은 약 2300여개로 섬유·의류업 관련 업체와 무역과 물류·유통 관련 업체들이 진출해있으며 최근에는 석유 화학, 자동차 및 제약 분야에서의 진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주요 한국기업은 다음과 같다.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진출한 한국 기업의 경우, 주로 자카르타 인근 산업단지에 입주하거나 개별 공장 형태로 진출해 있다. 자카르타와 가까운 서부 자바, 반튼주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중부 자바 지역에도 투자가 진행되고 있다.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인도네시아 산업단지 현황

 

인도네시아 산업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인도네시아에는 총 7만 2316ha에 달하는 145개의 산업단지가 있으며, 입주율은 64.14%이다. 2023년에 14개의 신규 산업단지가 산업단지활용허가(IUKI)를 발급받았으며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4년 이내에 18개의 신규 산업단지를 운영할 것으로 계획하고 있다.

 

자바섬 위주로 투자가 진행되는 가운데 인프라 및 자원 개발을 위해 투자 지역을 다양화하고 있다. 2023년 6월 기준, 자바에 84개(61.76%), 수마트라에 27개, 칼리만탄에 12개, 술라웨시에 10개, 마루꾸에 3개 (총 136개)가 있다.

 

인도네시아 산업단지에 대한 자세한 현황은 산업단지 협회 홈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자바섬 중심으로 살펴본 대표적인 산업단지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1. 브카시/찌까랑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2. 까라왕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3. 바탕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인도네시아 특별경제구역(SEZ)

 

산업단지 외에도 인도네시아 정부가 지정한 특별경제구역으로의 진출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인도네시아어로 KEK(Kawasan Ekonomi Khusus), 영문으로 SEZ(Special Economic Zone)이라고 표현되는 특별경제구역은 투자 유치를 통한 경제 성장, 지역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전략적인 지역이다.

 

인도네시아 특별경제구역 국가 위원회(Dewan Nasional KEK)에 따르면 2024년 8월 기준, 인도네시아에는 총 23개의 지역이 특별경제구역으로 지정돼 있으며 운영 중인 곳은 19곳이다. 2024년 기준, 2개의 신규 특별경제구역(KEK Setangga 및 KEK Tanjung Sauh)이 지정됐으며, 4개의 특별 경제 구역(KEK Nipa, KEK Edutek Medika International, KEK Pariwisata Kesehatan Internasional 및 KEK Industri Hijau Bungku)을 계획 중에 있다.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인도네시아 정부는 특별경제구역에 투자하는 기업들에게 법인세 감면, 부가가치세(VAT)면제, 수입관세 면제 등의 세금 혜택을 제공하며, 공장 설립 간소화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금전적 인센티브 중 가장 대표적으로는 조세 감면(Tax holiday)과 투자소득공제(Tax Allowance)가 있다. 법인세 면제의 경우, 투자금 최소 1,000억~5,000억 루피아 미만의 경우 10년, 1조 루피아 미만인 경우 15년 그리고 1조 루피아 이상의 경우 법인세 면제 기간이 20년이다. 투자 소득공제로는 연간 5%씩 6년간 총투자 금액의 30%까지 순이익에서 감경하고, 감가상각 관련 가속 상각을 인정하는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비금전적 인센티브의 경우, 원활한 투자를 위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고 투자자와 투자가 가족의 거주권 문제, 토지 소유권 부동산 관련 다양한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 

 

1e137b36656f4a2def654754ed35d165_1727169

 

 

시사점

 

세계은행 인도네시아 경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인도네시아의 GDP 성장률은 식품 및 에너지 가격의 변동성 증가지정학적 불확실성 확대와 같은 부정적인 요인에도 불구하고 2024년부터 2026년까지 연평균 5.1%로 예측이처럼 인도네시아는 방대한 노동력성장하는 중산층풍부한 천연자원 등을 보유한 잠재력 높은 시장 환경과 다양한 규제 조치를 완화 사업 환경을 개선하며 외국인직접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로의 진출을 고려하는 우리 기업의 경우특별경제구역이나 산업단지를 투자 대상 지역의 후보로 고려해 볼 수 있다다만공단 선정 시에는 산업별 업종과 원자재 수급 등의 물류와 접근성 등을 확인 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인도네시아는 자국 시장 보호와 산업 고도화라는 정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입 쿼터제와 같은 비관세 장벽을 강화하고 있다이에 인도네시아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들은 현지 법규와 규제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여러 가지 통상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

 

 

공동 작성자: Raina Surtiani

자료: 인도네시아 투자청(BKPM), 수출입은행 해외직접투자 통계인도네시아 무역·투자 FAQ, 각 산업단지 홈페이지인도네시아 SEZ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50건 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50 인도네시아 방위산업 전시회 INDODEFENCE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04
949 인도네시아 국제 식품 전시회(동부) 2025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08
948 인니, ’26년까지 현지 금속 거래소 설립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13
947 인도네시아 국가표준(SNI) 의무인증 강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34
946 인니 APEKSI 연계 K-Smart City 로드쇼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22
945 Solar tech 2025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태양광 산업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23
944 2025 한-인도네시아 메디컬 로드쇼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18
943 인니, 니켈·구리 등 광산 로열티 인상··· 광산업계 경쟁력 우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4 6039
942 인도네시아 바탐 자유무역지대 및 투자 환경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4 5813
941 인도네시아 정부 예산 효율화의 주요 내용과 함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5 8416
940 2024년 인도네시아 경제동향 및 2025년 전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4456
939 인도네시아, 최근 5년간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4502
938 인도네시아, 새로운 국부펀드 다난타라 출범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0 10659
937 인도네시아, 新 외환통제 정책 발표... 니켈 가격 간접영향 발생 가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07 10515
936 인도네시아 광업법 개정 통해 광물 우선 채굴권 제공 대상 확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12880
935 인도네시아 24년도 경제성적표와 올해 주요 정책이슈 짚어보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5327
934 인도네시아, 국제 탄소 시장 개장…탄소 크레딧 거래 본격화되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6663
933 인도네시아 무료 영양식사 프로그램(MBG) 시행, 현황과 전망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4003
932 인도네시아, 브릭스(BRICS) 공식 가입하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5758
931 인도네시아, ’25.1.1일부 구리 정광 수출금지 예정대로 시행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4382
930 2025년 인도네시아 미리 알기! 부가세 인상부터 최저임금 6.5% 인상까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12097
929 2025년 예산안으로 보는 인도네시아 정책 방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9808
928 인도네시아 바이오디젤 정책에 따른 글로벌 팜유 공급망 영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6 11788
927 인도네시아 INAMARINE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3 2236
926 인도네시아 EV/e-모빌리티 사절단 개최기로 보는 인니 전기차 동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5644
925 인도네시아 프라보워 신정부 출범 후, 무엇이 달라지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4322
924 2024 광주 북구 인도네시아 무역사절단 개최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5248
923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 투자 포럼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2977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5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