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기고] 인도네시아의 '수출을 위한 수입 편의 프로그램(KEMUDAHAN IMPOR TUJUAN EXPOR, KITE)'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338)
  • 최신글

LOGIN

[기고] 인도네시아의 '수출을 위한 수입 편의 프로그램(KEMUDAHAN IMPOR TUJUAN EXPOR, KITE…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12-07 17:36 조회787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99453

본문

혜택 해당 업종: 수출용 제품의 원부자재를 수입하여 완제품 생산 후 수출하는 제조업체

관련 법령 : 인도네시아 재무부령 149/PMK.04/2022

김하현 SPL LOGISTICS 대표(hhkim@spllogistics.com)

 

 

Kemudahan Impor Tujuan Ekspor, KITE 개요

 

인도네시아 수출입 법인 형태는 크게 보세 사업자와 일반 사업자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 사업자는 무역 유통 업체와 생산 업체로 나뉜다. 보세 사업자는 수출을 목적으로 원부자재를 수입하여 가공한 후 수출하는 업체로, 원부자재 수입 시 수입 제세에 대한 보류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반면, 일반 사업자 중 제조업체는 제품 생산을 위한 원부자재 수입 시 수입 제세의 보류관세 혜택을 받을 수는 없다. 

 

그러나 일반 사업자 형태를 유지하면서 수출용 제품을 위한 원부자재 수입에 대해 보세와 유사한 혜택을 받고자 하는 경우, 인도네시아 세관에 신청할 수 있는 혜택이 바로 ‘수출을 위한 수입 편의 프로그램(Kemudahan Impor Tujuan Ekspor, KITE)’이다. 이 제도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수출 목적으로 수입을 용이하게 하여 제조업 부문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한 정책이다.

 

KITE 승인을 받은 일반 사업자는 수입관세 면제와 부가세 유예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므로, 법인세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보세 업체와 거의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는 내수와 수출을 동시에 진행하는 일반 제조 사업자에게 매우 유용한 제도이다. 참고로, KITE 업체는 내수와 수출용 자재를 구분하여 수입하면서 내수와 수출용 제품의 생산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반면, 보세 업체의 경우 전년도 수출 실적 대비 최대 50%까지만 내수 판매가 가능한 제약 조건이 있다.

 

KITE 승인 및 관련 요건

 

KITE 승인을 원하는 업체는 관세청 전산망과 연동되는 CCTV 및 IT 인벤토리 시스템을 설치해야 한다. KITE 승인 신청 후에는 법인 실사 절차를 거쳐 승인을 받게 된다. 임대 공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3년 이상의 임차 계약서를 제출해야 한다. 또한, 법인 또는 법인 경영진이 세무나 관세 문제로 형사 고발된 경력이 있는 경우에는 KITE 승인이 불가능하다. 원부자재 수입 항구에 대한 제약이 없어, 세관이 위치한 인도네시아 모든 국제항을 통해 원부자재 수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절차와 조건들은 KITE 프로그램이 제조업체에 수출을 촉진하는 중요한 수단임을 보여준다.

 

KITE 업체는 일반적으로 해외 소재 공급처 혹은 인도네시아 국내에 위치한 PUSAT LOGISTIK BERIKAT에서 원부자재 수입이 가능하다. 또한, 보세창고, 보세 제조 업체, 보세전시장, 자유무역지대 및 국가에서 정한 경제 특구로부터 원부자재 반입도 가능하다. 인도네시아 국내에 소재한 다른 KITE 업체로부터는 생산품 반입이 가능하며, 각각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a. 해외 또는 국내 PUSAT LOGISTIK BERIKAT로부터 원부자재 수입: 수입관세 면제와 부가세 유예 혜택 

b. 보세창고, 보세 제조업체, 보세전시장, 경제특구, 자유무역지대에서 원부자재 반입: 수입관세 면제와 부가세 납부 

c. 인도네시아 국내 소재 다른 KITE 업체의 생산품 반입: 수입관세 면제와 부가세가 반입 업체로 이관되나, 수출 시 면제

 

이러한 혜택은 KITE 업체가 수입 원부자재로 승인 및 허가 받은 품목에 한해서만 적용된다. 

 

KITE 승인 업체의 원부자재 수입 시 수입관세 면제 및 부가세 유예 혜택 기간은 최장 12개월이다. 이는 원부자재 수입 후 제품을 생산하여 최초 수입일로부터 12개월 이내에 완제품을 수출해야 수입관세 면제 및 부가세 유예 혜택이 수입관세 면세 및 부가세 면세를 적용받을 수 있다. 그러나 12개월 이내에 수출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관련 세법에 따라 수입관세 및 부가세를 납부해야 한다. 만약 완제품의 생산 기간이 지연되어 원부자재 수입 후 12개월 이내 수출이 불가능한 경우, KITE Facility의 유효기간을 1회 연장하여 최장 24개월까지 수입관세 면제 및 부가세 유예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KITE Facility 유효기간 연장 승인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 부합해야 한다. 

 

a. 수입자의 수출 연기 요청

b. 수출이 취소되거나 수입자가 변경되는 경우 

c. 일부 수출 후 남은 자재 (추가 오더용 비축분) 

d. 천재지변 

e. 세관에서 인정할 만한 기타 사유

 

KITE 업체는 수입 통관 시 면세 및 유예를 받는 수입관세와 부가세에 대해 담보를 설정해야 한다. 이 담보의 효력 기간은 1년이며, 담보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a. 현금 담보 (Cash Guarantee) 

b. 은행 보증 (Bank Guarantee) 

c. 보험사에서 발행한 관세 보증 (Custom Bond) 

d. 인도네시아 수출입은행 (Indonesia Exim Bank)의 보증

e. 기타 보증 회사의 보증

 

KITE 업체는 제품 생산 과정의 일부를 다른 KITE 업체에 하청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용역에 대한 부가세는 발생하지 않는다. 하청 업체는 세관의 승인을 받은 업체여야 하며, 통관이 종료된 원부자재는 하청 업체로 직접 배송할 수 있다. KITE 업체가 생산 능력을 초과하여 수출 오더를 수주한 경우, 관할 세관의 승인하에 제품 생산 전 공정을 하청할 수 있으며, 전공정을 하청 받을 수 있는 업체 자격은 다음과 같다. 

 

a. 공기업 

b. 인증된 AEO 업체 

c. MITA등급 업체 

d. 우수 KITE 업체로 세관에서 승인 받은 업체

 

 

KITE 업체의 경우, KITE Facility를 통해 수입한 원부자재는 정해진 기간(1년) 이내에 완제품을 생산한 후 수출해야만 면제받은 수입관세와 유예 받은 부가세가 면세로 전환된다. 그러나 천재지변 등의 불가항력적 사유가 발생하여 수입된 원부자재로 기한 내 제품 수출이 불가능하다면, 관할 세관의 승인을 받는 경우에 한해 예외적으로 수입관세 및 부가세의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요건에 충족해야 한다. 

 

a. 천재지변으로 인해 원부자재가 소실된 경우 

b. KITE Facility의 잔여 기간이 남아 있는 경우

 

 

KITE 승인 업체는 승인과 관련된 관련 법규를 준수해야 한다. 해당 법규를 위반하는 경우, KITE Facility의 승인이 중지되거나 박탈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a. KITE 승인 후 1년간 KITE Facility를 이용한 원부자재 수입이 없을 경우 

b. KITE Facility에 등재된 원부자재와 실제 수입된 원부자재의 데이터가 불일치할 시 

c. 원부자재 수입 및 재고 자재 보고서를 기한 내 제출하지 않을 시 

d. IT 인벤토리 및 CCTV 시스템이 세관의 규정에 부합하지 않을 시 

e. 세무 관련 부정행위가 적발될 시 

f. 보세 법인으로 전환될 시

 

 

KITE 승인 업체가 KITE Facility를 이용하여 수입하는 원부자재는 수입관세 면제 및 부가세 유예 혜택 이외에도 추가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다. 이러한 혜택 중 하나는 선적 전 검사 및 'Persetujuan Impor' (수입 승인)의 일부 면제되기도 하나 수입 품목에 따른 면제 적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이는 KITE 프로그램이 다양한 종류의 원부자재에 적용되지만, 특정 품목이나 상황에 따라 다른 규정이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KITE 프로그램은 수출을 전제로 원부자재를 수입하는 인도네시아 진출 우리 제조 업체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제도로 보인다.

 

※ 해당 원고는 외부 전문가가 작성한 정보로 KOTRA의 공식 의견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39건 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39 인도네시아, 새로운 국부펀드 다난타라 출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0 4236
938 인도네시아, 新 외환통제 정책 발표... 니켈 가격 간접영향 발생 가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07 4198
937 인도네시아 광업법 개정 통해 광물 우선 채굴권 제공 대상 확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6581
936 인도네시아 24년도 경제성적표와 올해 주요 정책이슈 짚어보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4559
935 인도네시아, 국제 탄소 시장 개장…탄소 크레딧 거래 본격화되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5871
934 인도네시아 무료 영양식사 프로그램(MBG) 시행, 현황과 전망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3416
933 인도네시아, 브릭스(BRICS) 공식 가입하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5078
932 인도네시아, ’25.1.1일부 구리 정광 수출금지 예정대로 시행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3877
931 2025년 인도네시아 미리 알기! 부가세 인상부터 최저임금 6.5% 인상까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10798
930 2025년 예산안으로 보는 인도네시아 정책 방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8941
929 인도네시아 바이오디젤 정책에 따른 글로벌 팜유 공급망 영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6 10624
928 인도네시아 INAMARINE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3 1849
927 인도네시아 EV/e-모빌리티 사절단 개최기로 보는 인니 전기차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4853
926 인도네시아 프라보워 신정부 출범 후, 무엇이 달라지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3795
925 2024 광주 북구 인도네시아 무역사절단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4724
924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 투자 포럼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2600
923 인도네시아 할랄 제도 및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2806
922 인도네시아 담배 광고, 앞으로 보기 어려워질까?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385
921 [기고]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의무화 제도 업무 유의사항 소개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559
920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 산업단지 및 투자 환경 현황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0-17 5693
919 인도네시아는 녹색경제로 전환 중, 제1회 인도네시아 그린산업 서밋 참관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0-10 6883
918 2024 한-인도네시아 메디컬 로드쇼 개최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24 6776
917 인도네시아 수라바야 '인포 프랜차이즈 & 비즈니스 컨셉 엑스포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24 3954
916 인도네시아 산업단지 및 특별경제구역 현황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24 3141
915 인도네시아 신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 방향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04 4112
914 [기고] 인도네시아 환경승인(PL) 관련 정책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04 3602
913 인도네시아 '매뉴팩처링 수라바야 2024' 참관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8-13 5271
912 인도네시아 니켈 수출 금지 4주년... 성과와 시사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8-13 4489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5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