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유아용품 전시회 Mommy N Me 현장 스케치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351)
  • 최신글

LOGIN

유아용품 전시회 Mommy N Me 현장 스케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7-31 14:54 조회574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97602

본문

2023년~2028년 연 평균 4.58% 성장 시장

인도네시아 유아용품 산업 동향


인도네시아는 아세안 국가중 최대, 세계 4위(약 2.7억명)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이다. 하지만, 신생아 출산율은 (‘21년 1,000명당 17.37명  ‘22년 1,000명당 17.09명  ‘23년 1,000명당 16.82명(’23.6월 기준) 매년 약 1.5%씩 감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1년부터 유아용품 시장 규모는 (‘21년 72백만 달러  ‘23년 88백만 달러(전망)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 2028년 약 5년동안 연 평균 4.58%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시회 개요 및 특징


Mommy n Me는 유명한 유아용품 업체를 포함하여 약 300개 이상의 브랜드가 참가하여 다양한 유아용품을 선보이는 전시회다. 이 전시회는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인플루언서 및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다양한 토크쇼와 가족단위로 와서 즐길 수 있도록 어린이 노래자랑, 유아 걷기 경주 등 다양한 행사를 동시에 개최하였다.

 

 

6ae3a9bfea3296e607b7c1cc209f9b22_1690789

 

 

 

현장 스케치


전시장은 입구에 들어서면서부터 굉장히 활기가 띄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입구부터 많은 사람들은 제품을 직접 만져보고 현장에서 구매를 하기 위해서 줄을 서서 대기하고 있었다. 가족단위로 많이 참가를 하여 아이들은 장난감을 직접 만져보고 쇼핑까지 하는 비즈니스 뿐만 아니라 일반 고객에게도 적합한 전시회 였다.

 

전시장 내에는 Fisher-Price, Mini 유모차 등 글로벌 기업의 고가 제품들도 다수 전시되어 있었으며 많은 참관객들의 관심을 끌었다.  글로벌 브랜드 일부 이외에는 인도네시아 자체 브랜드 보다는 일본, 영국, 미국 등 선진국의 브랜드가 주로 전시되어 있었으며 이런 브랜드들의 인기는 상당이 높다는 걸 체험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 브랜드도 다수 전시가 된 것을 볼 수 있었다. 한국 제품은 기저귀, 식품, 유아용품 살균기 등 다양한 상품들이 전시되어 있었으며, 고가의 살균기 보다는 기저귀, 식품 등과 같은 일반적으로 손 쉽게 자주 구매하는 제품들이 인기가 높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한국 브랜드가 전시되는 부스에는 "From Korea", "Made in Korea"와 같은 한국 제품이라는 점을 강조하려고 하는 것이 눈에 띄었으며, 인도네시아에서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있다는 것을 성인이 주로 사용하는 소비재(뷰티, 식품, 주방용품 등) 이외에 유아용 소비재에서도 볼 수 있었다

 

현장에 있는 일부 방문객과 이야기를 나눠본 결과 가격대가 높아도 유아용품은 신중하게 보고 고르는 편이라서 유럽, 미국 제품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한국 제품에 대해서 문의를 했을 때는 한국 제품을 직접 사용해 본적은 없지만 삼성, LG, 현대 자동차와 같은 높은 품질의 제품들을 많이 봐서 한국 제품들의 품질은 믿을 수 있을 것 같다고 이야기 하였다.

 

 

6ae3a9bfea3296e607b7c1cc209f9b22_1690790

 

 

 

시사점


전시장에서 한국제품을 전시하는 기업들은 인도네시아로 한국제품을 수입하는 현지 유통기업들이 전시를 하였다. 인도네시아는 정식 인증을 획득한 현지 기업이 특정 기간동안 현지 시장 유통 독점권을 가지기 때문에 현지 유통파트너를 선정할 때 신중하게 진행하여야 한다. 또한, 수출을 확대 하기 위해서는 현지 유통사와 협업을 통해 전시회 참가 지원, 온라인 마케팅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인도네시아는 오토바이를 주요 교통수단으로 사용 하는 사람들이 많다. 자카르타 길거리를 다니다 보면 오토바이에 어린 아이를 안고 타는 부모를 볼 수 있다. 오토바이를 타고 아이와 이동을 하는 경우 유모차를 싣고 이동을 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또한, 대가족 단위로 차로 이동을 하는 경우도 많다 보니 부피가 큰 유모차를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동수단의 공간의 제약 때문인지 현지 쇼핑몰에 가보면 작은 유모차를 사용하는 부모들이 많다.

 

 

6ae3a9bfea3296e607b7c1cc209f9b22_1690790

 

 

 

우리나라 기업도 인도네시아 현지인 생활에 적합한 이런 콤팩트 사이즈 유모차를 개발하는 등 현지 시장을 깊게 이해하고 현지화 진출전략을 모색하면 현지 수요에 맞는 고품질의 상품으로 유아용품 시장에 더 쉽게 진입을 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또한, 필자도 인도네시아에서 어린 아이들을 육아하고 있는 입장에서 보면 우리나라 기업이 생산하는 기저귀, 젖병 등 합리적인 가격과 높은 품질의 제품들이 현지에 많지 않다는 것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며 우리 나라 유아용품 업체들에게는 더 많은 기회가 있는 시장이 아닐까 라는 생각도 해본다.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39건 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39 인도네시아, 새로운 국부펀드 다난타라 출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0 4591
938 인도네시아, 新 외환통제 정책 발표... 니켈 가격 간접영향 발생 가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07 4542
937 인도네시아 광업법 개정 통해 광물 우선 채굴권 제공 대상 확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6864
936 인도네시아 24년도 경제성적표와 올해 주요 정책이슈 짚어보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4577
935 인도네시아, 국제 탄소 시장 개장…탄소 크레딧 거래 본격화되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5888
934 인도네시아 무료 영양식사 프로그램(MBG) 시행, 현황과 전망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3427
933 인도네시아, 브릭스(BRICS) 공식 가입하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5095
932 인도네시아, ’25.1.1일부 구리 정광 수출금지 예정대로 시행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3882
931 2025년 인도네시아 미리 알기! 부가세 인상부터 최저임금 6.5% 인상까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10818
930 2025년 예산안으로 보는 인도네시아 정책 방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8954
929 인도네시아 바이오디젤 정책에 따른 글로벌 팜유 공급망 영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6 10666
928 인도네시아 INAMARINE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3 1852
927 인도네시아 EV/e-모빌리티 사절단 개최기로 보는 인니 전기차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4864
926 인도네시아 프라보워 신정부 출범 후, 무엇이 달라지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3808
925 2024 광주 북구 인도네시아 무역사절단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4737
924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 투자 포럼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2607
923 인도네시아 할랄 제도 및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2814
922 인도네시아 담배 광고, 앞으로 보기 어려워질까?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391
921 [기고]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의무화 제도 업무 유의사항 소개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564
920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 산업단지 및 투자 환경 현황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0-17 5699
919 인도네시아는 녹색경제로 전환 중, 제1회 인도네시아 그린산업 서밋 참관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0-10 6899
918 2024 한-인도네시아 메디컬 로드쇼 개최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24 6787
917 인도네시아 수라바야 '인포 프랜차이즈 & 비즈니스 컨셉 엑스포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24 3957
916 인도네시아 산업단지 및 특별경제구역 현황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24 3151
915 인도네시아 신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 방향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04 4125
914 [기고] 인도네시아 환경승인(PL) 관련 정책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04 3610
913 인도네시아 '매뉴팩처링 수라바야 2024' 참관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8-13 5277
912 인도네시아 니켈 수출 금지 4주년... 성과와 시사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8-13 4512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5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