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주요 기관이 바라보는 2023년 하반기 인도네시아 경제 전망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346)
  • 최신글

LOGIN

주요 기관이 바라보는 2023년 하반기 인도네시아 경제 전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7-14 16:27 조회816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97371

본문

IMF, 세계은행 등 2022년보다는 둔화됐지만 약 5%의 성장 전망

수출, 외국인투자보다는 내수 소비가 성장 견인 예상

최근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와 세계은행(World Bank, WB)는 인도네시아의 2023년 경제 예상 성장률을 각각 5.0%와 4.9%로 발표했다. 해당 예상치는 인도네시아의 2022년 연간 경제성장률 5.31%와 2023년 1분기 5.03%(6분기 연속 5.0% 이상 성장)보다는 소폭 낮은 수치이지만, 코로나19 팬더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고 평가되고 있다.

 

경제성장률: 지속적으로 성장 전망


IMF는 지난 5월 22일 집행이사회(Executive Board)를 통해 인도네시아 경제가 호조를 보이고 있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으며, 거시경제 정책이 팬데믹 이전으로 적절히 복귀했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경제적 리스크는 대체로 균형을 이루고 있고 전망은 여전히 우호적인 가운데 외부 환경과 관련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언급다.

 

 

26ece1c1a5f6c647ed96d8f963782624_1689326

 

 

세계은행은 인도네시아의 2022년 경제성장률이 지난 10년 중 가장 높고 아세안 지역의 중앙값(Median)보다 높게 성장한 이유를 원자재 관련 수출과 민간 소비 회복으로 꼽았다. 이러한 모멘텀은 2023년 1분기에도 지속돼 5.03%의 경제성장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그리고 2023년 경제성장률은 4.9%로 완만해지며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더불어 중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진정되면서 민간 소비가 성장을 뒷받침 5%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자료: The World Bank, Indonesia Economic Prospect, June 2023)

 

물가: 물가 안정 및 민간소비 확대

 

인도네시아 통계청은 2023년 6월 연간 물가상승률을 3.52%로 발표했다. 2023년 2월 5.47%를 기록한 후 3월부터 물가상승세가 감소(2023년 1월: 5.28%, 2월: 5.47%, 3월: 4.97%, 4월: 4.33%, 5월: 4.00%) 고 6월 물가상승률은 3.55%를 기록한 2022년 5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26ece1c1a5f6c647ed96d8f963782624_1689326

 

세계은행은 이러한 물가상승 속도 둔화를 국제 유가 하락, 수확량 증가와 루피아화 절상으로 인한 수입 비용 하락 등으로 인한 결과로 분석하며 낮아진 물가상승률이 민간 소비를 독려해 경제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인도네시아 국영은행인 Mandiri의 Bobby Hermanus 애널리스트는 The Jakarta Post 기고문을 통해 2023년 하반기에도 민간 소비가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Idul Fitri(라마단 이후의 이슬람 명절) 및 대체공휴일 기간 중 소비는 작년 대비 증가했고 서비스 분야와 필수재 이외의 취미 및 가정용품 소비가 늘고 있으며, 특히 발리 등 주요 관광지에서의 소비가 상승 추세에 있다고 덧붙였다. 인도네시아 통계청은 2023년 1월부터 5월까지 인도네시아를 방문한 외국인 수가 전년 동기 대비 312.91% 증가한 412만 명을 기록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무역: 무역 성장세는 완만해지는 중

 

2022년 인도네시아 경제 성장의 주요 요인은 원자재 가격 상승세에 따른 석탄과 광물 수출의 증가였다. 하지만 2023년 초 글로벌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광물 수출 증가세는 둔화되기 시작다. 또한, 세계은행에 따르면 철강과 같은 비금속 제조업이 수출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 반면, 의류나 플라스틱과 같은 제조업 수출은 오히려 수출 성장에 마이너스 요인이었다. 이는 전 세계 물가상승 압박이 지속됨에 따라 비에너지 관련 상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가 약화되고 있어서이다. 인도네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5월 무역수지 흑자는 4억4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84.8% 감소다. 이는 2020년 4월 이후 가장 적은 흑자폭이다. 다만, IMF와 세계은행은 인도네시아의 최대 수출대상국인 중국의 회복에 긍정적인 기대를 하면서 인도네시아 수출은 전년보다는 다소 둔화지만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6ece1c1a5f6c647ed96d8f963782624_1689326

 

 

외국인 투자: 적극적인 유치 정책으로 상승세 지속

 

세계은행은 2023년 인도네시아로 유입되는 외국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은 올해 GDP의 1.3%를 차지하고 2024년에도 1.3%, 2025년에는 1.4%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일자리 창출과 광물 다운스트림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이 외국인 투자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덕분이라고 분석했다. IMF도 사업 인허가 간소화 등 FDI를 장려하는 일자리 창출법이 시행되면서 효율성과 생산성이 향상돼 보다 우호적인 사업과 투자환경을 조성해 경제 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3년 6월 21일부로 인도네시아의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을 공식적으로 해제했다. 인도네시아 경제계는 이를 통해 인도네시아 국민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민간 소비 증가하고 외국 투자가들에게는 투자 결정 요인으로 작용 전반적인 경제에 대한 활성화 요인이 될 것이라며 정부의 해제 결정을 환영했다.

 

Standard and Poor’s(S&P)는 지난 7월 4일 인도네시아의 국가 신용등급을 ‘BBB’로 확정하고 ‘안정적’으로 전망했다. 이에 대해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총재는 “S&P의 신용등급 확정은 지정학적 긴장과 글로벌 경기 둔화로 인한 글로벌 리스크가 고조되는 가운데 인도네시아의 지속적인 거시경제 안정성과 중기 경제 전망에 대해 국제 이해관계자들의 강한 신뢰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기구와 주요 기관, 그리고 평가 기업의 긍정적인 의견을 종합해보면 2023년 하반기에는 전년과 다르게 수출과 외국인 투자보다는 인도네시아 내 민간 소비가 활성화 경제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International Monetary Fund, The World Bank, 인도네시아 통계청, The Jakarta Post, Standard and Poor’s, Bank Indonesia,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39건 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39 인도네시아, 새로운 국부펀드 다난타라 출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0 4590
938 인도네시아, 新 외환통제 정책 발표... 니켈 가격 간접영향 발생 가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07 4542
937 인도네시아 광업법 개정 통해 광물 우선 채굴권 제공 대상 확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6864
936 인도네시아 24년도 경제성적표와 올해 주요 정책이슈 짚어보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4577
935 인도네시아, 국제 탄소 시장 개장…탄소 크레딧 거래 본격화되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5888
934 인도네시아 무료 영양식사 프로그램(MBG) 시행, 현황과 전망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3427
933 인도네시아, 브릭스(BRICS) 공식 가입하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5095
932 인도네시아, ’25.1.1일부 구리 정광 수출금지 예정대로 시행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3882
931 2025년 인도네시아 미리 알기! 부가세 인상부터 최저임금 6.5% 인상까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10818
930 2025년 예산안으로 보는 인도네시아 정책 방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8954
929 인도네시아 바이오디젤 정책에 따른 글로벌 팜유 공급망 영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6 10666
928 인도네시아 INAMARINE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3 1852
927 인도네시아 EV/e-모빌리티 사절단 개최기로 보는 인니 전기차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4864
926 인도네시아 프라보워 신정부 출범 후, 무엇이 달라지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3808
925 2024 광주 북구 인도네시아 무역사절단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4737
924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 투자 포럼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2607
923 인도네시아 할랄 제도 및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2814
922 인도네시아 담배 광고, 앞으로 보기 어려워질까?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391
921 [기고] 인도네시아 할랄 인증 의무화 제도 업무 유의사항 소개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564
920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 산업단지 및 투자 환경 현황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0-17 5699
919 인도네시아는 녹색경제로 전환 중, 제1회 인도네시아 그린산업 서밋 참관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0-10 6899
918 2024 한-인도네시아 메디컬 로드쇼 개최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24 6787
917 인도네시아 수라바야 '인포 프랜차이즈 & 비즈니스 컨셉 엑스포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24 3957
916 인도네시아 산업단지 및 특별경제구역 현황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24 3151
915 인도네시아 신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 방향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04 4125
914 [기고] 인도네시아 환경승인(PL) 관련 정책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9-04 3610
913 인도네시아 '매뉴팩처링 수라바야 2024' 참관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8-13 5277
912 인도네시아 니켈 수출 금지 4주년... 성과와 시사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8-13 4512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5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