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인도네시아 중소중견기업 & 협동조합(K-UKM) 엑스포 2022 참관기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371)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중소중견기업 & 협동조합(K-UKM) 엑스포 2022 참관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08-08 10:55 조회2,040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92680

본문

인도네시아 중소기업들의 수출증진을 위해 정부, 공공기관, 금융기관, 유통망 등에서 합심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절차가 복잡한 인증획득 등이 기업들의 수출역량을 낮춰

전시회 개요


인도네시아 중소중견기업 & 협동조합(K-UKM) 엑스포는 2013년 인도네시아 협동조합과 중소기업부(Ministy of Cooperatives and SMEs)가 인도네시아의 중소기업 경쟁력을 키우고, 사업범위를 해외로 확장하기 위해 추진한 전시회로 2022년 올해 9회째를 맞이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인도네시아 중소기업들이 국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1.97%였고, 국가 전체 고용인원의 98%가 중소기업에서 종사하고 있을 만큼 인도네시아 경제는 중소기업에 의해 지탱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인도네시아 중소기업들이 내수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국가 수출에 기여하는 부분은 매우 미미하다. 이에 인도네시아 정부에서는 중소기업들의 성장사다리를 튼튼하게 만들고 수출기업화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 있는 회사로 키우고자 중소기업부에 중소기업 수출진흥의 기능을 부여했다. 나아가 중소기업부 산하에 SMESCO 등의 중소기업 진흥기관을 설립하여, 현재 74,551개의 유망한 중소기업을 집중 육성하고 있다.

 

 

84f2a83b386d3a3722e4e4e223ae4d88_1659930

 

 

또한 최근 들어서 협동조합이 인도네시아 경제의 새로운 주체로 성장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협동조합은 1992년 법령 제정(UU No. 25/1992)을 통해 공식 설립이 가능하게 되었고 개인이 단순히 하나의 직원을 넘어 조합의 구성원으로 투자하고 노력한 만큼 조합 전체가 얻는 이익을 배분 받는다는 공정성에 매료되어 많은 협동조합들이 인도네시아 내 설립되었다. 협동조합과 중소기업부에 따르면, 현재 인도네시아 내 등록된 협동조합은 123,048개이며 이들이 생산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는 약 101억 달러로 국가 GDP의 약 1%에 달한다. 나아가 협동조합들의 성장세로 비추어 보았을 때, 2024년까지 협동조합들이 국가 GDP에 기여하는 수준은 5.5%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소중견기업과 협동조합이 인도네시아 경제에서 차지하고 있는 무게와는 다르게 이들이 국가 수출에 기여하는 바는 크지 않다. 물론 인도네시아의 인구가 2억7천 명에 달하는 거대한 내수시장을 보유하기에 굳이 해외로 눈을 돌릴 필요가 없기에 기업들이 수출 위한 제품 준비나 개발을 하지 않아서 그렇다는 분석도 있다. 그러나 이는 인도네시아의 중소기업들이 글로벌 트렌드와 품질 기준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세계적인 네임벨류를 가진 기업으로 성장할 기회를 제한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인도네시아 협동조합과 중소기업부에서는 인니 중소기업들이 글로벌 바이어들과 파트너링을 하고 자사 브랜드를 세계에 홍보할 수 있는 지원사업들을 지속하고 있으며, 동 전시회도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

 

84f2a83b386d3a3722e4e4e223ae4d88_1659930

 

 

전시회 구성  참가업체 동향


올해 인도네시아 중소중견기업&협동조합(K-UKM) 엑스포는 5개의 분야로 전시관이 세분화되어 개최되었다. 패션, 금융, 수공예품, 음식, 지방정부 등이 주요 전시분야 였다. 참가한 기업들은 자신들이 속한 지역사회 내에서 탄탄한 입지를 다지고, 보다 넓은 영역으로 자신들의 사업영역을 확장하고자 하는 유망한 기업들이 많았으며 수출에 대한 생각은 있으나 수출을 위해 어디에서 어떻게 준비를 시작해야 하는지 모르는 내수기업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기업들을 돕기 위해 올해에는 BNI, BSI, Bank Jatim 등 인도네시아의 주요 시중은행들이 참여하여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대출, 투자 등에 대해 전문 금융컨설팅을 진행하거나, 창업을 희망하는 청년들을 대상으로 투자 피칭대회를 여는 등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에 큰 보탬이 되었다. Tokopedia, Gojek, Blibli 등 인니 주요 이커머스 플랫폼들도 중소기업들의 온라인 유통망 입점지원 등을 통해 중소기업들이 보다 많은 소비자와 쉽게 만나고, 마케팅 활동을 지원받을 수 있는 방안들을 공유했다. 각종 협단체들에서도 시간대별 성공기업들의 성공사례들을 강연하거나 시장트렌드, 정책 및 규제변화 등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중소기업들에게 지식 및 노하우 전달에 앞장섰다.

 

다만 이번 전시회에서 아쉬웠던 부분은 전시회의 목표가 중소기업들의 수출기업화 지향 및 해외로 나아가기 위한 글로벌 바이어와의 파트너링이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참가국이 중국, 싱가포르 등으로 매우 한정적이었으며, 해외에서 초청된 바이어도 찾아보기 어려웠다.   

 

84f2a83b386d3a3722e4e4e223ae4d88_1659930

 

 

주요 참가기업  바이어 인터뷰

 

 Bank Jatim (인니 동부자바 최대 은행)

인도네시아 중소기업들이 제품 경쟁력을 향상하는데 있어 가장  걸림돌이 ‘정부의 인허가’ 이라고 생각한다인도네시아 정부에서는 제품의 특성별로 다르겠지만, SNI, HACPP,, GMP, BPOM  다양한 인증/허가를 요구하며이를 획득한 제품에 대해서만 시중에 유통되거나 수출 가능하도록 허가한다다만 이러한 다양한 인증 획득을 위해서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요구되기에 영세한 소상인이나 중소기업들이 감당하기는 어렵다정부에서 이런 인허가 비용을 위한 금융정책 지원이나 절차 간소화 등의 지원책이 나오길 기대한다 

 

 PT Surabaya Noor Leather (가죽 수공예품 제조업체)

중소기업들의 글로벌 시장진출을 가로막는 요인  하나가 ‘가격 경쟁력이다일반적인 중소기업들의 경우 혁신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기 어렵기에  높은 가격에 자사 제품을 포지셔닝  경우글로벌 소비자들에게 판매되기 어렵다그렇다고 해서 다국적기업이나 대기업들과 같이 제품에 대한 대량생산을 통해 원가절감 등이 어렵기에 글로벌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그렇기에 정부에서 자동화제조시설 현대화 등을 위한 정책이 강화되길 바란다.

 

 Tokopedia (인니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

인도네시아의 경우내수시장보다 수출입을 위해 받아야 하는 인증의 종류가 많다 나아가 수출입을 위해 필요한 인증들의 경우발급 받기 위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그렇기에 많은 중소기업들의 경우이를 기다리기 보다는 인증 받기가 수월한 내수시장에 선택과 집중을 하게 된다인증이 수입산 물품으로부터 우리 기업들을 보호할  있는 방패가 되기도 하나반대로 수출하려는 우리 기업들에게는 오히려 족쇄로 작용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시사점


많은 인도네시아의 중소기업들이 세계로 뻗어 나가기 위해 기지개를 펴고 있다아직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하는 상품이 많거나자금상황 여유롭거나수출역량이 제대로 준비되어 있지는 않다그러나 정부과 공공기관금융기관온오프라인 유통망 등의 협업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수출하기 위해 차근차근 준비를 하고 끊임없이 세계 소비자들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이러한 전시회를 통해 우리기업들도 인도네시아의 유명한 중소기업 파트너들을 발굴하는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

 

자료 : One Event Indonesia 홈페이지인도네시아 협동조합과 중소중견기업부인도네시아 통계청, SMESCO, KOTRA 수라바야무역관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50건 1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50 인도네시아 방위산업 전시회 INDODEFENCE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04
949 인도네시아 국제 식품 전시회(동부) 2025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08
948 인니, ’26년까지 현지 금속 거래소 설립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30 112
947 인도네시아 국가표준(SNI) 의무인증 강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33
946 인니 APEKSI 연계 K-Smart City 로드쇼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22
945 Solar tech 2025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태양광 산업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23
944 2025 한-인도네시아 메디컬 로드쇼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6-13 18
943 인니, 니켈·구리 등 광산 로열티 인상··· 광산업계 경쟁력 우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4 6018
942 인도네시아 바탐 자유무역지대 및 투자 환경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24 5790
941 인도네시아 정부 예산 효율화의 주요 내용과 함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5 8398
940 2024년 인도네시아 경제동향 및 2025년 전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4456
939 인도네시아, 최근 5년간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4-10 4502
938 인도네시아, 새로운 국부펀드 다난타라 출범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20 10659
937 인도네시아, 新 외환통제 정책 발표... 니켈 가격 간접영향 발생 가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3-07 10515
936 인도네시아 광업법 개정 통해 광물 우선 채굴권 제공 대상 확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12879
935 인도네시아 24년도 경제성적표와 올해 주요 정책이슈 짚어보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27 5324
934 인도네시아, 국제 탄소 시장 개장…탄소 크레딧 거래 본격화되나?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6663
933 인도네시아 무료 영양식사 프로그램(MBG) 시행, 현황과 전망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8 4003
932 인도네시아, 브릭스(BRICS) 공식 가입하다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5757
931 인도네시아, ’25.1.1일부 구리 정광 수출금지 예정대로 시행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2-11 4382
930 2025년 인도네시아 미리 알기! 부가세 인상부터 최저임금 6.5% 인상까지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12096
929 2025년 예산안으로 보는 인도네시아 정책 방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23 9806
928 인도네시아 바이오디젤 정책에 따른 글로벌 팜유 공급망 영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6 11788
927 인도네시아 INAMARINE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2-13 2235
926 인도네시아 EV/e-모빌리티 사절단 개최기로 보는 인니 전기차 동향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5642
925 인도네시아 프라보워 신정부 출범 후, 무엇이 달라지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5 4321
924 2024 광주 북구 인도네시아 무역사절단 개최기 인기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5248
923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 투자 포럼 2024'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11-20 2976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5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