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소식 > 양칠성 세미나 후기 (2018. 8. 18)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395)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사회 전반적인 소식을 전하는 게시판입니다.
문의나 홍보는 사전고지없이 삭제 처리됩니다.

양칠성 세미나 후기 (2018. 8. 18)

페이지 정보

작성자 beautici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조회2,789회 댓글2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61379

본문


양칠성 세미나 후기

 

 

2018 8 18 (오전 10시부터 쁘로끌라마시 거리(jl.Proklamasi)의 위스마 쁘로끌라마시에서 '독립투쟁의 보편성:인도네시아 독립전쟁 속 한국인 투사의 역할'이라는 제목의 세미나가 있었습니다. 1945 8 17일 독립선언문이 낭독되었던 수까르노의 집터 위에 만들어진 '선언자들의 공원바로 건너편에 2018 2월 개업한 이 2층짜리 동()인도네시아 음식 전문점은 작은 발표자 좌석과 백드롭스크린 외에도 60명 넘는 관계자들과 언론기자들을 수용할 수 있는 아담하고도 고풍스러운 곳이었습니다북말루꾸 부빠띠라는 식당 주인의 취향을 잘 반영해 주고 있는 듯했습니다.

 

이 세미나를 주최한 히스토리카 인도네시아(Historika Indonesia)는 인니 독립투자들의 기록을 발굴유지하고 그 후손들을 도우며 민간에 대한 역사교육장학금역사 웹사이트 지원 등을 목적으로 2014 11월 설립된 조직입니다이날 주연사로서 양칠성과 빠빡 왕자의 부대(pasuKan Pangeran Papak)의 활약과 그들의 최후를 강연한 저널리스트 헨디조 (Hendi Jo)는 그 창립자들 중 한 명입니다.

 

루슈디 후세인(Rushdy Hoesein)은 독립전야 수까르노의 행보와 당시 시대상을 팩트를 기반하여 설명해 주었는데 그는 73세에 접어든 저명한 인도네시아 사학계 원로로 인도네시아국립대(UI) 교단에서 은퇴한 후 인도네시아 최대 역사 커뮤니티인 '꼬무니타스 히스토리아 인도네시아'(Komunitas Historia ladonesia)을 이끌며 활발한 강연활동은 하고 있습니다.

 

일본군 보조부대 역할이었던 현지 헤이호(Heiho-兵補지원자 대상으로 6주간 일본어를 가르치는 임무를 맡았던 것으로 알려진 일본군 군속 양칠성을 중심으로 그를 발굴해낸 일본인 우쓰미 아야꼬군속과 포로감시원의 모집 과정과 태평양전쟁 말기 그들의 운명에 대해 강연한 로스티(Rostineu) UI대 문화지식학부(FIB) 교수는 한국에서 이 주제로 석사학위를 받았던 재원입니다.

 

이날 행사를 도운 UI대 한국어과 학생들은 물론 가룻 부빠띠 대리인전주 MBC 등 국내외 언론과 기자들이 자리를 가득 채웠습니다특히 가룻은 빠빡 왕자의 부대가 출몰하던 곳으로 폭파 전문가이자 부대의 브레인 역할을 한 양칠성이 활약하다가 체포되어 동료 하세가와아오키 등과 함께 처형당해 매장된 곳이기도 합니다흐릿한 사진 속의 양칠성은 훤칠한 미남이었고 최후의 순간 무슬림 투사 꼬마루딘(Komarudin)으로서 생을 마감했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한인니문화연구원(원장 사공경), 헤리티지 재단 코리아섹션(회장 김상태)의 한국인 회원들과 서울대 사회과학대학원 엄은희 박사와 위스콘신 메디슨 칼리지의 정은숙 정치학 교수 등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습니다.

 

세 시간에 걸친 세미나를 마친 후 주최측에선 모든 참석자들에게 동인도네시아식 요리를 점심으로 제공했고 한국인 참석자들은 2층에서 주최측 및 세미나 발표자들과 함께 식사하며 환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날의 세미나는 인도네시아 독립전쟁에 양칠성으로 대변되는 제3국인들도 깊숙이 개입되었던 것이 당시 인도네시아의 독립이 인도네시아로 한정된 한 나라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가 공감하던 국제적 사건이었다는 다소 피상적인 접근이 이루어졌고 질문을 제기한 참석자들 중엔 한국이 일제시대를 통해 세계정세를 읽는 안목을 키울 기회를 얻었다거나 당시 일본을 위해 일한 징용자들이나 포로감시원들이 귀국하여 아직도 일본에서 연금을 받고 있는 게 아니냐는 식의 인식을 드러낸 부분은 한국 정부 및 민간차원에서 역사적 오해를 바로잡기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함을 여실히 보여준 것이기도 하지만기본적으로 한국인이 주최했어야만 할 테마를 가지고 인도네시아 사학계 인사들이 먼저 세미나를 조직했다는 사실만은 높이 평가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997BF7475B7931170F89AC

99ABED455B793185118CE9

9909C3455B7931961D48E0

99C327455B7931A70F522E

이 식당의 이름은 디'쁘로끌라마시 입니다.

996D7C455B7931BA2C78A0

라덴살레가 그린 디포네고로 왕자의 체포

99D452455B7931C90E6784

백드롭 맨 왼쪽의 남자가 양칠성

9991B0465B7931FC27BC49

주최측인 히스토리카 인도네시아의 창립자

99CE81465B7932090ED0A7

드 쁘로끌라마시 식당의 매니저 미스터 림

990221465B79321434208E

사회자 등장

99B12A4F5B7930B924C4B3

왼쪽부터 사회자 와엔 사이드(Waen Said), 루슈디 후세인(사학자), 로스티뉴 UI대 교수, 헨디조(저널리스트)

994206465B7932842F06A6

998301465B79328D294F6D

992F55465B79329C1C1648

99FB32465B7932A8215A19

이상 로스티뉴 교수의 PPT 자료

998F1A465B7932B516986F

구체적인 양칠성 사건을 이야기하는 헨디 조

9974C7465B7932BF2C8CEE

9996C2475B7932D728BA08체포 직후. 왼쪽은 하세가와, 오른쪽이 양칠성

990CD0475B7932E1330402

처형직전


99A39D475B7932FC271E29

9996C2475B7933102990C3

기념촬영. 차마 한국문화원에서 오지 않았다고 할 수 없어 우리 모두 대사관 직원인척, 한국문화원 직원인 척 했습니다.

9946F3475B7933252E2835

99E84C475B79333637D17C

행사를 도운 UI대 한국어과 학생들

992C16475B793345334F58

식당 2층. 세미나 발표자와 한국인 참석자들을 위한 식사 자리

997AFC335B793347190D04

우린 일본이 미워 죽겠는데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일제강점기를 지낸 후 일본에게 어떤 감정을 가지고 있나요? 질문하는 배작가.

99E68A335B793348350DF4

추최측과 한인니문화연구원 사공경 원장(가운데), 서울대 사회과학대학원 엄은히 박사(맨우측)




2018. 8. 18

좋아요 2

댓글목록

댓글의 댓글

beautician님의 댓글

beautici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제 질문은 대체로 이런 것이었습니다.

 수까르노가 낭독한 독립선언은 일본이 이미 패망한 후였으니 일본에 대한 독립의지의 표명이라기보다는 분명 동인도 복귀를 시도하는 네덜란드와 그 배후의 연합군들에 대한 선전포고 의미를 어느 정도 담은 것이었고 실제로 그후 4년 남짓 독립전쟁이 인도네시아 전역을 휩쓸었죠. 하지만 일본이 1942년부터 3년반에 걸쳐 동인도에서 수많은 현지인들의 생명을 소모하고 노동력과 자원을 무자비하게 수탈한 것은 분명한 사실입니다. 그리고 양칠성이 가담한 가룻 빠빡 왕자의 부대에서와 같이 일부 일본인들이 인도네시아편에 서서 네덜란드와 싸우다 목숨을 바친 것 역시 역사적 사실이죠. 이 부분은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는 한번도 일어난 적 없는 일입니다. 일본에 대한 인도네시아인들의 역사인식이 한국인들과 어떤 부분에서 온도차이를 보이는가 물었던 질문에 대해, 그러나 루슈디 후세인 교수는 매우 모호한 태도로 동문서답에 가까운 대답을 할 뿐이었습니다. 물론 그것이 실제 한국과 인도네시아 간의 관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대체로 서로에게 호의적이나 딱히 같은 편은 아니라는 포지션을 말입니다.

인도네시아가 모든 면에서 한국과 똑같은 인식을 가지고 있길 바라는 건 아닙니다. 그건 쌍둥이 형제간에서도 기대할 수 없는 일이니까요. 하지만 서로의 포지션을 파악한다는 것은 그것대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제대로 된 관계란 서로의 분명한 포지션을 파악한 후에야 가능한 것이니 말입니다. 지금까지 많은 교수님들과 정부기관들이 인도네시아에 진출해 다방면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자료를 수집하는 활동도 어쩌면 궁극적으로 서로의 분명한 포지션을 파악하고 조정하기 위한 과정이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런 역사 부문에서의 교류와 참여 역시 앞으로 좀 더 활발하고 진지하게 진행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최소한 인도네시아인들이 양칠성에 대해 아는 것보다 우린 당연히 그를 더 많이 알기 위해 연구해야 할 것이고 인도네시아인들이 한국인 군속과 포로감시원들의 기원을 연구하는 것만큼 우리 역시 인도네시아의 역사와 위인들 그리고 수면 밑 문화 등에 대해 좀 더 탐구하는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 노력을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쌓인다면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가진 서로 다른 포지션은 더 이상 짜증의 대상이 아니라 보다 긴밀한 협조와 발전의 대상이 될 것이라 믿습니다

  • 목록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 Total 1,857건 1 페이지
  • RSS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찌까랑 하누리 교육센터 제4기 시작 - '25년 7월 15일 현…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7-19 235
좋아요2 2025년 자카르타 인근 골프장 가격 (요일별) 첨부파일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1-15 1405
1855 인니 유명 관광지 발리섬 홍수로 14명 사망…500명 넘게 대피…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11 208
1854 인니서 홍수로 15명 사망·10명 실종…유명 관광지 발리도 침수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11 109
1853 인니, 시위 진정되자 내각 개편…'시위대 표적' 재무장관도 교체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11 148
1852 인니 시위 중 장갑차로 배달기사 치어 숨지게 한 경찰관 해임(종…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11 107
1851 인니 보르네오섬서 실종된 8명 탑승 헬기 잔해 이틀 만에 발견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11 83
1850 [中전승절] 인니 대통령, '격렬 시위' 진정되자 베이징 열병식…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3 311
1849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서 8명 탄 헬기 이륙 8분만에 실종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2 356
1848 [르포] 국회앞 불탄 버스정류장…격렬시위로 특권에 저항하는 인니…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2 346
1847 BEM SI, 오늘 예정된 시위 취소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2 288
1846 신한인도네시아 주간 환율 동향_2025.09.01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1 150
1845 인니 최대 학생단체 "오늘은 시위 불참…1주일간 상황 볼 것"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1 298
1844 인니 국회의원 특혜 반대 시위에 백기 든 의회 "주택수당 폐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1 268
1843 '시위 격화' 인니서 국회의원 자택 약탈…경찰, 강경대응 예고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1 213
1842 인니서 국회의원 주택수당 지급 반대 시위 격화…4명 사망(종합)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1 159
1841 인니서 시위 중 경찰 장갑차에 깔린 배달기사 사망…반발 확산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9-01 176
1840 자카르타의 위험 지역 (2025.08.29) 댓글2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9 601
1839 印모디, 中열병식 불참…전문가 "경쟁국에 아부 비판 우려"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8 229
1838 한인중소벤처기업협의회(KOSA), 메인비즈협회와 세미나 및 비즈…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7 213
1837 인니 국회의원 월430만원 주택수당 지급에 민심 '폭발'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6 512
1836 신한인도네시아 주간 환율 동향_2025.08.25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5 153
1835 2억 뒷돈 받은 인니 노동부 차관 해임…프라보워 내각 첫 사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25 367
1834 인니 대통령 "내년에 역대 최대규모 교육예산 65조원 배정"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19 243
1833 호주·필리핀, 남중국해 인근서 최대 규모 군사훈련…中 견제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19 155
1832 특사단, 인니 대통령에 李대통령 친서 전달…"협력 강화"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19 196
1831 군 출신 인니 대통령, 100개 육군 대대 농업분야 투입 논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14 368
1830 인도네시아, 군사 조직 대규모 확대…23개 지역 사령부 신설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08-12 301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5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