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지진발생시 안전수칙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668)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지진발생시 안전수칙

페이지 정보

작성자 데미그라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9-09-04 08:06 조회5,815회 댓글4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indoweb.org/love/bbs/tb.php/q_a/20737

본문

그저께 강한 지진을 느끼면서, 순간적으로 당황해서 어찌할지 몰랐었습니다.

항상 지진의 위험을 가지고 여기서 사는한 지진발생시 안전수칙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이 문득 들더군요..
현지인들 우르르 건물밖으로 몰려나가길래 따라나가긴 했는데, 나가는 내내..한꺼번에 많은 인파가 움직이니까..그게 더 무섭더군요..

인터넷에서 찾아본 지진 안전 수칙입니다.. 회원님들도 한번 읽어보시고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지진 안전수칙 7계명

① 책상·침대 밑으로 대피
② 방석 등으로 머리 보호를
③ 불끄고 가스밸브 잠가야
④ 창문·발코니서 떨어져야
⑤ 엘리베이터 이용은 금물
⑥ 유리·간판 낙하물 조심
⑦ 산악지역선 평지로 이동

출처 : 문화일보 2007-01-22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 발생 중 대피법

 

%B4%EB%C1%F6%C1%F83_nemablog.jpg

 (가만히 있어요! 무너지는 건물안에서는 허겁지겁 서둘러 탈출하는 것보다는
안전한 장소를 찾아 한 군데 머무르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 지진 중 발생한 대부분의 부상은 건물을 출입할 때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것이므로,

진동이 진행되고 있을 때에는 질서를 유지하면서 위치한 장소에 그대로 머무릅시다.

 

- 건물 내부에서는 파손되거나 넘어지기 쉬운 물건 주위를 피하고 견고한 탁자 밑이나 화장실(욕실)로 대피합시다.

대피할 때에는 유리파편 등을 조심합시다.

 

- 문틀이 틀어져 문이 안 열리게 되어 방안에 갇힌 사례가 있으므로 빨리 문을 열어 두어야 합니다.

 

- 거리에서 심한 진동이 오면 자세를 낮추고 진동이 멈출 때까지 잠시 그 자리에 머물러  있도록 하고

건물·가로등·전선에 접근하지 맙시다.

 

- 고층빌딩 안에 있는 경우, 창문으로부터 떨어진 견고한 책상 아래로 대피합시다.
 
- 번화가(빌딩가)에서는 떨어지는 물체(유리 파편, 간판 등)가 가장 위험하므로 우선 갖고 있는 소지품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건물과 떨어진 넓은 장소로 대피하거나 대형건물 안으로 대피합시다.

 

%B4%EB%C1%F6%C1%F84_nemablog.jpg

(악! 끔찍한 사고 발생! 지진 발생 시 대피할 때는 낙하하는 물건들이 많기 때문에 머리를 보호해야 합니다.

진동이 멈출 때까지는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다고요!!!)

 

 - 많은 사람이 모여 있는 곳에서는 출입구로 몰려가면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헬멧, 책가방,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고 떨어지거나 넘어질 가능성이  있는 물건을 멀리하면서

진동이 멈출 때를 기다려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 대피하지 않은 사람들은 건물 내 안전한 장소에 함께 머무르고 정전되거나 화재경보기나
 스프링클러가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B4%EB%C1%F6%C1%F85_nemablog.jpg

(지진 중 도로를 이동하게 될 경우, 더 끔찍한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 이동 중인 차량은 가능한 빨리 건물, 나무, 고가도로 전선아래, 주변의 정지된 차 등을
 피해 멈추고 도로나 교량의 피해정도를 살피며 침착하게 차량 밖으로 탈출합시다.

 

- 지진이나 불이 났을 때에는 엘리베이터를 절대 이용하지 맙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타고 있을 때 지진을 느끼면 즉시 각 층의 버튼을 전부 눌러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킨 후 신속히 대피합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갇히면 휴대전화로 119신고를 하거나

인터폰으로 관리실에 구조요청을  한 후 침착하게 구조를 기다립시다.

 

- 기상청 홈페이지(www.kma.go.kr)를 검색하거나 방송을 청취하여 지진 상황을 주의 깊게 파악합시다.

 

 

 

지진 상황 묘사 보다도 배우들의 표정연기가 정말로 일품이네요.
지진이 실제로 발생한다면 우리 모두의 표정도 저렇게 절망적으로 변하겠죠?
위급한 상황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안전하게 대처하는 자세를 갖춘다면
절망 속에서 한 줄기의 빛을 찾을 수 있을 겁니다.

 
 
 
 

signature_nemablog.gif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 발생 중 대피법

 

 (가만히 있어요! 무너지는 건물안에서는 허겁지겁 서둘러 탈출하는 것보다는
안전한 장소를 찾아 한 군데 머무르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 지진 중 발생한 대부분의 부상은 건물을 출입할 때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것이므로,

진동이 진행되고 있을 때에는 질서를 유지하면서 위치한 장소에 그대로 머무릅시다.

 

- 건물 내부에서는 파손되거나 넘어지기 쉬운 물건 주위를 피하고 견고한 탁자 밑이나 화장실(욕실)로 대피합시다.

대피할 때에는 유리파편 등을 조심합시다.

 

- 문틀이 틀어져 문이 안 열리게 되어 방안에 갇힌 사례가 있으므로 빨리 문을 열어 두어야 합니다.

 

- 거리에서 심한 진동이 오면 자세를 낮추고 진동이 멈출 때까지 잠시 그 자리에 머물러  있도록 하고

건물·가로등·전선에 접근하지 맙시다.

 

- 고층빌딩 안에 있는 경우, 창문으로부터 떨어진 견고한 책상 아래로 대피합시다.
 
- 번화가(빌딩가)에서는 떨어지는 물체(유리 파편, 간판 등)가 가장 위험하므로 우선 갖고 있는 소지품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건물과 떨어진 넓은 장소로 대피하거나 대형건물 안으로 대피합시다.

 

(악! 끔찍한 사고 발생! 지진 발생 시 대피할 때는 낙하하는 물건들이 많기 때문에 머리를 보호해야 합니다.

진동이 멈출 때까지는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다고요!!!)

 

 - 많은 사람이 모여 있는 곳에서는 출입구로 몰려가면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헬멧, 책가방,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고 떨어지거나 넘어질 가능성이  있는 물건을 멀리하면서

진동이 멈출 때를 기다려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 대피하지 않은 사람들은 건물 내 안전한 장소에 함께 머무르고 정전되거나 화재경보기나
 스프링클러가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지진 중 도로를 이동하게 될 경우, 더 끔찍한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 이동 중인 차량은 가능한 빨리 건물, 나무, 고가도로 전선아래, 주변의 정지된 차 등을
 피해 멈추고 도로나 교량의 피해정도를 살피며 침착하게 차량 밖으로 탈출합시다.

 

- 지진이나 불이 났을 때에는 엘리베이터를 절대 이용하지 맙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타고 있을 때 지진을 느끼면 즉시 각 층의 버튼을 전부 눌러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킨 후 신속히 대피합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갇히면 휴대전화로 119신고를 하거나

인터폰으로 관리실에 구조요청을  한 후 침착하게 구조를 기다립시다.


 

[출처] 영화로 보는 안전상식 : <대지진>을 통해 알아보는 지진 안전수칙|작성자 네마

진이 발생했다! 지진 발생 중 대피법

 

 (가만히 있어요! 무너지는 건물안에서는 허겁지겁 서둘러 탈출하는 것보다는
안전한 장소를 찾아 한 군데 머무르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 지진 중 발생한 대부분의 부상은 건물을 출입할 때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것이므로,

진동이 진행되고 있을 때에는 질서를 유지하면서 위치한 장소에 그대로 머무릅시다.

 

- 건물 내부에서는 파손되거나 넘어지기 쉬운 물건 주위를 피하고 견고한 탁자 밑이나 화장실(욕실)로 대피합시다.

대피할 때에는 유리파편 등을 조심합시다.

 

- 문틀이 틀어져 문이 안 열리게 되어 방안에 갇힌 사례가 있으므로 빨리 문을 열어 두어야 합니다.

 

- 거리에서 심한 진동이 오면 자세를 낮추고 진동이 멈출 때까지 잠시 그 자리에 머물러  있도록 하고

건물·가로등·전선에 접근하지 맙시다.

 

- 고층빌딩 안에 있는 경우, 창문으로부터 떨어진 견고한 책상 아래로 대피합시다.
 
- 번화가(빌딩가)에서는 떨어지는 물체(유리 파편, 간판 등)가 가장 위험하므로 우선 갖고 있는 소지품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건물과 떨어진 넓은 장소로 대피하거나 대형건물 안으로 대피합시다.

 

(악! 끔찍한 사고 발생! 지진 발생 시 대피할 때는 낙하하는 물건들이 많기 때문에 머리를 보호해야 합니다.

진동이 멈출 때까지는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다고요!!!)

 

 - 많은 사람이 모여 있는 곳에서는 출입구로 몰려가면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헬멧, 책가방,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고 떨어지거나 넘어질 가능성이  있는 물건을 멀리하면서

진동이 멈출 때를 기다려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 대피하지 않은 사람들은 건물 내 안전한 장소에 함께 머무르고 정전되거나 화재경보기나
 스프링클러가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지진 중 도로를 이동하게 될 경우, 더 끔찍한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 이동 중인 차량은 가능한 빨리 건물, 나무, 고가도로 전선아래, 주변의 정지된 차 등을
 피해 멈추고 도로나 교량의 피해정도를 살피며 침착하게 차량 밖으로 탈출합시다.

 

- 지진이나 불이 났을 때에는 엘리베이터를 절대 이용하지 맙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타고 있을 때 지진을 느끼면 즉시 각 층의 버튼을 전부 눌러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킨 후 신속히 대피합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갇히면 휴대전화로 119신고를 하거나

인터폰으로 관리실에 구조요청을  한 후 침착하게 구조를 기다립시다.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 발생 중 대피법

(가만히 있어요! 무너지는 건물안에서는 허겁지겁 서둘러 탈출하는 것보다는
안전한 장소를 찾아 한 군데 머무르는 것이 더 안전합니다)

- 지진 중 발생한 대부분의 부상은 건물을 출입할 때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것이므로,

진동이 진행되고 있을 때에는 질서를 유지하면서 위치한 장소에 그대로 머무릅시다.

- 건물 내부에서는 파손되거나 넘어지기 쉬운 물건 주위를 피하고 견고한 탁자 밑이나 화장실(욕실)로 대피합시다.

대피할 때에는 유리파편 등을 조심합시다.

- 문틀이 틀어져 문이 안 열리게 되어 방안에 갇힌 사례가 있으므로 빨리 문을 열어 두어야 합니다.

- 거리에서 심한 진동이 오면 자세를 낮추고 진동이 멈출 때까지 잠시 그 자리에 머물러  있도록 하고

건물·가로등·전선에 접근하지 맙시다.

- 고층빌딩 안에 있는 경우, 창문으로부터 떨어진 견고한 책상 아래로 대피합시다.
 
- 번화가(빌딩가)에서는 떨어지는 물체(유리 파편, 간판 등)가 가장 위험하므로 우선 갖고 있는 소지품으로 머리를 보호하면서

건물과 떨어진 넓은 장소로 대피하거나 대형건물 안으로 대피합시다.

(악! 끔찍한 사고 발생! 지진 발생 시 대피할 때는 낙하하는 물건들이 많기 때문에 머리를 보호해야 합니다.

진동이 멈출 때까지는 움직이지 않는 것이 좋다고요!!!)

 - 많은 사람이 모여 있는 곳에서는 출입구로 몰려가면 안전사고가 발생하여 더 큰 피해를 을 수 있으므로

헬멧, 책가방, 방석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고 떨어지거나 넘어질 가능성이  있는 물건을 멀리하면서

진동이 멈출 때를 기다려 침착하게 대피합니다.

 - 대피하지 않은 사람들은 건물 내 안전한 장소에 함께 머무르고 정전되거나 화재경보기나
 스프링클러가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지진 중 도로를 이동하게 될 경우, 더 끔찍한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 이동 중인 차량은 가능한 빨리 건물, 나무, 고가도로 전선아래, 주변의 정지된 차 등을
 피해 멈추고 도로나 교량의 피해정도를 살피며 침착하게 차량 밖으로 탈출합시다.

- 지진이나 불이 났을 때에는 엘리베이터를 절대 이용하지 맙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타고 있을 때 지진을 느끼면 즉시 각 층의 버튼을 전부 눌러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킨 후 신속히 대피합시다.
 만일 엘리베이터에 갇히면 휴대전화로 119신고를 하거나

인터폰으로 관리실에 구조요청을  한 후 침착하게 구조를 기다립시다.

[출처] 영화로 보는 안전상식 : <대지진>을 통해 알아보는 지진 안전수칙|작성자 네마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공간이동님의 댓글

공간이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상기 정보에 따르면 건물안 튼튼하고 견고한 책상 아래쪽에 있는 것이 더 안전해 보이는데,
현재까지 살면서 지진이 나면 전부 회사 또는 공장 건물 밖 또는 아파트 밖으로 피했는데,
앞으로는 회사 건물이나 아파트 내부에 있어야 하는 것인지 좀 혼동이 됩니다.

아파트 고층에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인니에서는 어떻게 지진시 어떻게 대비하는 것이
좋을까요? 몇 년전에 밤 12시 전에 지진이 나서 전부 아래 내려왔는데,
거의 모두 아파트 근처 20M 반경에 몰려 있더군요. 건물이 무너지는 강진이었다면,
건물 밖으로 탈출한 의미가 없을 뻔 했습니다.

찐따천사님의 댓글

찐따천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좋은글 감사 드립니다. 벌써 2번째지만 안전 수칙 보다는 우선 뛰쳐 나가고 보자...이생각이 먼저 들더라구요...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2,103건 8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907 차안에서도 인터넷을 하자. 인도삿 3G 소개 댓글19 요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23 12527
1906 인도네시아에서 한국어능력시험 보려면... 댓글6 몽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26 14646
1905 우이 대학에 대한 정보를 부탁합니다. 댓글4 Par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14 8224
1904 어학연수를 생각하는 학생입니다. 댓글13 레이몬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24 8318
1903 IndOWeB쿠폰이란..? 댓글4 젊은여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08 9971
1902 비장연장 관련 도움요청합니다 댓글3 치토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21 9110
1901 블랙리스트로 선정된 택시회사랍니다. 댓글10 맡아하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14 8633
1900 [건의]여기 달력이요 댓글3 para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14 11684
1899 기타 인니 의료(퍼온글)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22 9984
1898 답변글 텔렉스받고 몇 일만에 인도네시아에 입국해야 하나요? 댓글2 goodneighbo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31 11261
1897 텔콤 스피디 한국망 댓글6 jksta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22 9802
1896 인도네시아 핸드폰 사용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댓글5 rts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18 7160
1895 항공권 관련 질문 드립니다. 댓글2 Designer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13 7081
1894 도우미 어디서 구하나요? 댓글1 나뭇잎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06 8013
1893 이 게시판에도 전작권에 대해 댓글22 누리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29 6315
1892 인도웹 가입자수는? 댓글1 김석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22 7051
1891 자카르타 홉 국제학교 (Hope International School)(유아원 부터 고등학교) Jaebi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18 6301
1890 면허증 취득에 대해서.... 댓글15 keemu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09 11322
1889 생활/문화 인도네시아에서 결혼신고 관련 질문 드립니다. 댓글7 AbsncMakesDH…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03 6482
1888 비자 현재 법인설립절차 진행중인데요..현재는 도착비자로 들어와 있는데 KITAS발급이 가능한가요? 댓글3 choibu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31 7229
1887 TOYOTA 러쉬 G 와 S의 차이가 뭐죠? 댓글3 1ManCorpMin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13 10938
1886 2010년 월드컵 경기 생중계 되나요? 댓글2 돈데크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07 7606
1885 아이폰 VS 블랙베리 오닉스 댓글6 개꼬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29 7596
1884 인도네시아 이주하는데요 어떤짐을 가져가야하는지? 댓글10 sleepingbea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19 6865
1883 아파트 임대 - 관리비는 누가 내나요? 댓글4 dec21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12 6820
1882 LG 인터넷 전화 사용을 하려고 하는데..... 댓글3 철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01 11199
1881 이용할만한 도서관이 있나요? 댓글4 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27 10338
1880 새로나온 한국전용 인터넷?? 댓글5 여니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19 10041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