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전보 발령에 대한 거부 직원 처리 문제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684)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세법/법률 | 전보 발령에 대한 거부 직원 처리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BONAJOU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6-04-06 13:53 조회5,966회 댓글7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28446

본문

고수님 답변 부탁드려요.

 

1년 3개월된 직원입니다.

몰 판매원(SPG)으로 입사하여 근무하다 똘똘하여 지점 직원으로 이동하여 근무하였습니다.

지점이 가게 계약이 완료되어 문을 닫었습니다.

다른 지점에 자리가 없어 본사에서 트레이닝하다가 몰 판매가 부진하여 2~3개월 업무 지원하라고

전보 발령하였는데 이를 거부하고 계속 본사로 출근하며 아침 브리핑 참석 후 사라져서는

저녁 브리핑에 참석하고는 퇴근합니다.(참고로 아침,저녁 브리핑시에 사진을 찍어 출.퇴근 확인합니다.)

근무했던 지점과 몰 판매장은 지역이 같아서 출.퇴근은 전혀 문제 없습니다.

경고장도 3회 서류 진행하였습니다.

어디서 들었는지 회사에서 해고하면 해고 퇴직금과 근속, 손해 보상금을 받을수 있다 하여 이런 행동을

하는 것 같습니다. 생각이 나쁘기도 하고 다른 직원도 같은 생각으로 같은 행동을 할까 염려되어

해고를 못하고 있습니다.  

고수님,,,좋은 방안이 있는지요?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명랑쾌활님의 댓글

명랑쾌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전반적으로 칼의노래님 의견에 동의합니다만, 정상 퇴직금 정산은 생각이 다릅니다.
직원이 해고를 유도하기 위해 의도적인 태업 및 지시거부를 했는데 그 직원을 해고하고 정상 퇴직금을 지급한다면, 회사측이 직원의 의도대로 따라준 상황이 됩니다.
이 경우, 다른 직원이 악용할 가능성이 다분해질 거라 생각합니다.
그나마 1년 3개월 근무자라 퇴직금이 적기 때문에 큰 부담은 없기 때문에 그리 정리할 수도 있습니다만, 그 처리가 '전례'로 남게됩니다.
훗날 5년 이상 장기 근속자가 악용할 경우, 타격 및 부담이 훨씬 심각하고, 그보다 더 큰 문제는 그런 일이 언제든지 또 터질 가능성이 상존한다는 부분입니다.

제 생각에는 면담(혹은 협상?)을 통해 합의금을 지급하는 조건으로 자진퇴사 형식으로 정리하시는 편이 낫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협상을 위해 귀책사유에 관한 물적 증거를 최대한 확보하셔야겠고요.
그 합의금이 근속연수를 근거로 한 퇴직금 보다 적어야 바람직하겠지만, 혹시나 더 많더라도 차라리 그 편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정량화된 합의금은 단기 근무자에게는 유리할 지 몰라도 장기 근속자에게는 불리하고, 회사의 중요자원은 장기 근속자입니다.
근속연수에 비례하는 퇴직금 지급은 장기 근속자를 유혹에 빠지기 쉽게 만들뿐더러, 회사 부담도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증대됩니다.

댓글의 댓글

칼의노래님의 댓글

칼의노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명량쾌할님께서 좀더 구체적으로 보충 설명이 잘 되신것 같습니다^6^
골치 아픈 직원 한명으로 전체 분위기 그리고 사업하시는분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는 제가 제시한 금액의 범위 이내에서 1차적으로 잘 타일러고 금액을 낮추어서 서로 합의하면 가장 좋습니다. 위에서 제시한것은 협상의 실패로 인하여 직원이 끝까지 버틸 경우엔 최대로 결론 내릴 수 있는 방법이니 참고 바랍니다.

칼의노래님의 댓글

칼의노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 자세히는 모르겠으나 정황상 귀사의 고용관련 서류에 일정부분 하자가 있어 보이오니 1년 3개월 근무라면 퇴직금 2개월치(월통상임금)및 손해보상금 15% 지급하시고 고용을 종료 하시는게 좋습니다.
2. 일방적 해고일경우 퇴직금 2배를 주어야 하나 지금의 경우는 근무지 이탈, 명령불복종등 근로자의 귀책사유가 많으므로 경고장 1,2,3를 순차적으로 발급하시고 바로 해고조치 하시는게 조직의 분위기상 장기적으로 훨씬 더 나을것으로 판단됩니다. 노동부는 어차피 현지인의 입장에서 대변하는 것이라 저희 같은 외국인 사용자가 의지할 바가 못됩니다.
3. 퇴직금 계산 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예를 들어 월 통상임금이 3백만루피아 가정시)
    1). 해고보상금: 3,000,000 x 2 x 1 = 6,000,000
    2). 근속보상금: 근무기간 3년 미만이므로 해당없음
    3). 손해보상금: 6,000,000 x 15% = 900,000
    4). 합계: 6,900,000
4.  어차피 지금의 행태를 보면 자진 퇴사 의사는 전혀 없어 보이며 그럴경우 매월 급여가 꼬박꼬박 나가는데다가
    주변 직원들의 근무에도 악영향을 주게 되므로 빠른 조치가 합당하리라 봅니다.
5. 직원 고용시에 정규직(PKWTT) 및 계약직(PKWT)에 대한 구분을 확실하게 서류상으로 작성을 하여 비치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노동법의 기본적인 지식을 숙지하여 대응하심이 좋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BONAJOUR님의 댓글

BONAJOU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3개월 견습기간을 가지고 나서 Surat Perjanjian를 1년으로 계약하였는데 지역 노동부 해석이 정규직이라 하내요.
전보 발령에는 이의 없이 회사 지시에 따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댓글의 댓글

명랑쾌활님의 댓글

명랑쾌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노동법 상 견습기간 3개월은 계약직에는 부여할 수 없고, 정규직에만 부여할 수 있습니다.
견습기간을 두었다면 정규직으로 뽑겠다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가는세월님의 댓글

가는세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mobilewrite 상기 답변에 잘 요약되어 있네요.
제일 중요한 건 3항에 근무자 무단이탈과 증인자필확인서를 첨부하여 노동부에 해고방안에 대한 해석이 필요합니다. 나머지 부분과 사규에 윗분 지적하신 사항이 명시되어 있는지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뉴질만세님의 댓글

뉴질만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얕은 지식이나마 도움을 드리고 싶지만.. 사전정보가 좀 부족하네요..

일단,
1.해당직원이 정규직인지 계약직인지가 먼저 확인필요합니다. 정규직의 경우만 퇴직금 등의 지급여부가 결정됩니다. 계약직이면 잔여기간 급여지급 의무가 있구요.
2.경고장 3회발행시 해당직원의 서명이 되어있는지(본인이 과오를 인정)도 중요합니다. 본인 서명이 필요합니다.
3.오전브리핑후 저녁브리핑까지 사라졌다(??)는 얘기는 근무지 무단이탈로 봐야하는 인사담당은 이에대하여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도 중요합니다. 상기 내용이 사실이면 사측에서 먼저 관할 노동부담당을 만나셔도 될것 같습니다.
4.몰(SPG) -> 지점 -> 본사트레이닝 이후 다시 다른 몰로의 전보발령을 거부한다는 얘기이신것 같은데... 일반적으로 계약서에 근무지발령관련 회사의 방침을 따른다는 조항이 들어있습니다.. 계약서내용을 먼저 확인해 보세요..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6,216건 72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228 통신/전자 휴대폰 관련(한국서 구입하는게 나을까요? 인니서 구입하는 게 나을까요?) 댓글6 물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08 6317
4227 부동산 Pekanbaru 가족 주거 집, 챠랑 렌트 및 교육환경 댓글3 정보장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27 7504
4226 비자 국제결혼에 의한 KITAP 소유자는 취업이 가능한가요? 댓글32 Isaac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11 12566
4225 숙박 호텔위를 알려고합니다 댓글6 강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8-13 6603
4224 생활/문화 어느은행 신용카드가 혜택이 좋은가요? 댓글10 방황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15 11825
4223 비즈니스 호주 시드니 목재 및 재활용 비즈니스 업체입니다. 호주리사이클링ㅇ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26 3652
4222 생활/문화 아기 사진관 어디 있나요? 댓글5 윈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22 10806
4221 비즈니스 이불공장 댓글3 obca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5-26 4939
4220 기타 .. 댓글3 나리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04 9537
4219 여행 여행사 추천좀해주세요 자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6-18 2426
4218 비자 학생비자시 동반비자가 가능한지 여쭙니다. 댓글2 꾼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07 6864
4217 비즈니스 카펫 공장 관련문의 댓글3 자칼로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7-11 3827
4216 기타 유로2012 볼수 있는 싸이트는 어디인가요? 댓글2 젤로는천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12 9539
4215 생활/문화 일본인 친구를 만들고싶은데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요..? 댓글4 Min9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8-09 7135
4214 생활/문화 진주집을 찾고 있어요^^ 댓글1 프린시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15 10204
4213 차량/교통 중고차 구매시 metro polda에 문자메시지 차량 조회하기. 댓글11 JettㅡLe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23 6825
4212 비자 비즈니스비자 관련 질문드립니다 댓글1 roosthen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8-25 24650
4211 건강 치과 소개좀 부탁드려요 댓글5 제니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01 8916
4210 은행 주재기간동안 모은 돈, 귀국시 어떻게 가져 갈 수 있어요? 댓글4 ultrabe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9-05 8796
4209 비자 싱가폴에서 직접 키타스 수속 어떻게하나요 ? 작은행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09 6870
4208 비즈니스 식당을 창업하려고 합니다. 댓글4 압둘라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12-16 11614
4207 세법/법률 인니에서 경험 많으신 세무사 추천 바랍니다 바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13 7452
4206 비자 급합니다 인도네시아인 친구가 비자 거절 당했어요 ㅜㅠ 댓글4 Coincidenc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23 6639
4205 생활/문화 이민예정인데.. 현재 거주하시고 계신분들의 도움을 요청합니다. 댓글9 카미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19 11907
4204 교육 인니어를 20대 때 배우기에 적절할까요..? 댓글6 뉴플리머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1-15 5693
4203 기타 찌까랑 zip code 는 무엇인가요?? 댓글2 제아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26 7417
4202 생활/문화 국제결혼 절차와 혼인신고 질문 [선 한국 vs 선 인도네시아] 댓글5 독차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2-09 5871
4201 차량/교통 기사 THR 얼마가 적정한가요? 댓글4 바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03 7130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