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사업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697)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swif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0-06-23 17:16 조회8,567회 댓글11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indoweb.org/love/bbs/tb.php/q_a/10219

본문

안녕하세요.
개인 사업을 시작하려하는 새내기 입니다.
직장다니다 그만두고 사업준비를 하는중인데요..
이곳에 세븐일레븐 편의점을 낼려고합니다..
현지인 친구들한테도 많이 물어봤는데 아무래도 한국분들의 경험이나 지식이 더 나을꺼 같아 질문드립니다^^

1.준비해야할것,
2.사업 비용
(현재 개인땅이 있습니다. 그곳에 지을려하는데요 땅을 제외한 기타 허가와 들어가는 비용 등 알려주세요.,
땅의 위치는 땅그랑이고 그옆엔 큰 마을이 있습니다..이미 근처엔 멕도날드와 자이언트가 들어와 있고 아직 이주변엔 세븐일레븐은 없습니다.)
3.이사업에 대한 충고한마디 부탁드립니다.
4. 어머니가 현지분이라 사업자등록은 어머니 이름으로 하려 합니다.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호야대마왕님의 댓글

호야대마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런 분위기의 동네면...
아싸리 브랜드 네임 시작하는 세븐일레븐 말고 별다방쪽을 생각해보심이 어떨지 싶네요 ㅎ;

swift님의 댓글

swif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추후 업체와 만나서 장소 협의할때 약간 밀릴꺼같으면 최대한으로 어필해야겠죠^^
타림님 말씀에 많은 도움되었습니다.이렇게 아낌없느느 조언주셔서 감사드려요^^

타림님의 댓글

타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보험형식은 있는 경우도 있고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약에 없는 경우는 추후 협상을 통해 계약서에 명시할수도 있고 못 넣을수도 있을거라 생각 합니다.
보험 형식이 들어간 경우를 예로 들면
한달 매상이 0 ~ 200jt 이하이면 투자자에게 10jt 를 이익금으로 주고
200 ~ 300jt 이면 매상의 7%를 300jt 이상은 매상의 10%를 투자자에게 준다.
위와 같이 개인투자자에게 최소의 이익금을 계약서에 명시합니다.
제가 만약 세븐일레븐을 한다면 swift님이 가지고 계신 장소의 장점을 회사에 최대한 어필하여
회사와 네고를 통해 더 높은 %의 이익금과 최소 이익금이 명시된 계약을 할수 있도록 노력할것 같습니다.

이외의 보험형식을 본 경우는 개인이 관리하는 시스템이라는 전제하에
회사에서 매상이 얼마까지 올라갈때까지 관리하다가 얼마 이상이면 개인에게 넘겨주는 방식과
회사에서 운영하는 매상이 좋은 지점을 개인에게 팔아서 개인이 운영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swift님의 댓글

swif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조목조목 알찬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타림님^^
모든 사업이 쉽지 않은만큼 이것 역시도 많은 지식을 바탕으로 사업건을 가진 회사와 만나야겠네요,,
일단은 현지친구들에게도 부탁을 해놨었는데 마침 방금전 현지친구를 만나고 오는길인데 그친구의 친구도 세븐일레븐 사업 준비중이라고 하더군요.. 보고르 지역에요 다행히 개인 투자자 받는다고 하여 일단 한시름 놓았습니다.
일단 제가 보유하고 있는 땅그랑 지역 땅에 체인점을 내고는 싶지만 타림님 말씀대로 내고 싶다고 하여 낼수있는 문제가 아니니 이건 일단 입점권을 가지고 있는 회사와 논의를 해야겠네요,, 비용은 제가 생각했던 비용과 일치합니다,, 문제는 3번인데 프렌차이즈 사업이란게 처음접해보는 지라 말씀하신데로라면 투자로 보는게 맞는거겠군요,,처음 시작하는 사업이고 실수없이 첫걸음 잘띠우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습니다. 좋은 정보주셔서 감사드리구요 ,,한가지 더 여쭙고싶은데요,,
한국의 프렌차이즈는 일단, 입점이 되고나서도 초기 입점부터 꾸준히 관리를 해주는 형식이잖아요? 뭐 예를들어 계약서상에 수익률 몇%해서 몇달,몇년 이런식으로 그것에 못미치는 수익률이 나올경우엔 보상(보험)형식처럼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들이 있는데, 인도네시아 역시도 이런 체계적인 관리 프로그램들이 있는지 당연히 존재하겠죠? 해외 유명 브랜드 같은 경우엔 더 그럴듯 싶은데 혹 알고계신다면 답변 부탁드릴꼐요^^;

타림님의 댓글

타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 준비해야할것
세븐일레븐 인도네시아 사업건을 가진 회사에 연락하시어 개인 투자자를 받는지, 아니면 앞으로 계획이 있는지 물어보십시오. 제가 알기로는 아직 들어온지 얼마 안되서 직영점만 계획하고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만약 개인투자자에게 주거나 앞으로 계획이 있으면 회사에서 어느지역은 가능하고 어느지역은 안된다고 정해 놓을겁니다. 가능한 지역에서 회사에 맘에드는 장소를 찾으셔야 하는데 이 과정이 굉장히 까다롭습니다.

2. 장소가 결정됬으면 들어가는 비용은 경험상 평균적으로 대략 건물 크기 50~ 90sqm 에 땅, 건물, + 600jt에서 700jt 정도입니다. 물론 위치와 인테리어에 따라 +@가 될수 있습니다. 허가는 대부분 회사에서 합니다. 물론 기본적인 땅 sertifikat (HGB/Hak Milik), 건물 IMB/IPB는 있으셔야 합니다.

3. 사업에 대한 충고
해외 브랜드 편의점 프렌차이즈는 보통 프렌차이즈와 많이 틀립니다.
보통 프렌차이즈는 개인이 관리하며 매달 매상에서 몇%을 회사에 주고 남은 이익금을 개인투자자가 가지고 가는 방식인데 해외 브랜드 편의점은 회사에서 모든 관리를 하며 매달 매상에서 몇%을 개인투자자에게 주는 방식입니다.
말이 프렌차이즈이지 그냥 투자로 보시면 됩니다.
특히 세븐일레븐과 같은 해외 유명 브랜드 프렌차이즈는 하고 싶어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장소 선정이 까다롭고 시스템이 회사에게 굉장히 유리합니다. 정작 매상은 높아도 개인이 가지고 가는 돈은 얼마되지 않을 확율이 큽니다.

4. 현지분이시면 당연히 가능하십니다.

swift님의 댓글

swif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혹 해당사업과 동일한 사업을 직접 하시는 한국분이나 또는 현지인 지인중 마켓을 운영하고 계시는분이 있으시면 이사업에 대한 정보를 같이 공유해주셨으면 합니다.
((범고래잠수함님 말씀데로 세부사항은 여기서 논할문제는 아닌거 같으니, 이외에 교민분들의 좋은 조언이나 경험을 공유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아!! 참고로 곧있음 인도네시아에 롯데리아 가 입점한다는데 전망이 어떨지 궁금하네요..

swift님의 댓글

swif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궁금한게 한가지 있습니다.
혹 만약 세븐일레븐 입점권을 가지고있는 회사와 비즈니스 체결이 되어 체인점을 열수있다고 하더라도
제가 원하는 지역에 체인점 오픈은 회사에서 결정하는 거겠죠? 지역 사정을 검토후 제가 오픈하려고하는 지역이
불가할수도 있는거죠? 비즈니스 성사되고 이곳도 한국처럼 관리지원팀에서 세밀한부분까지 초기관리를 해줄지도 궁금하네요 인도네시아 특성상,,

댓글의 댓글

범고래잠수함님의 댓글

범고래잠수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건 세븐일레븐 가서 물어보시길..
여기 올릴 성격이 아닙니다.
대답은 세븐일레븐 맘이니..
그럴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다니까여.

현재로선 세븐일레븐쪽에서 외부에서 운영하게 지점낼 계획없다 혹은
자격이 미달된다로 나올 가능성이 무시 못하게 큽니다.
그것부터 확인해보지 않음..그냥 삽질하는거니까여.

여기에 올려서 세부사항
이래 저래 물어보는건 일반론 말고는 도움이 되지 않을듯..
저도 댓글은 더이상 안달겠습니다.

swift님의 댓글

swif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답변 감사드립니다^^ 일단 가장 걱정했던 부분이 민간에게도 운영권을 주느냐 이것이 였습니다.
제가 알기론 얼마되진 않았지만
PERTAMINA도 민간운영권을 주는걸로 알고있지만,,이제막 인도네시아에 들어온지 얼마안되는
세븐일레븐이 이와같이 시행하는지 모르겠습니다.ㅠ
만약 가능하다고 한다면 무조건 추진할 생각입니다..타 인도마켓이나 써클케이보단 현재 세븐일레븐이 현지인 젊은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으니 사업가치는 있어보입니다.. 자금이 만만치 않을것을 예상하여 제 적금과 일단 부모님께서 도와주신다곤 하였는데 걱정이 많네요,, 세븐일레븐 메이커 값만해도 얼마일지,,아직 초기 입성단계라 이것도 걱정입니다.ㅠ
좋은 조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꼭 성공할수 있게 기도해주세요^^;

댓글의 댓글

범고래잠수함님의 댓글

범고래잠수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세븐일레븐은 공기업이 아닙니다.
정치권과도 관련없구여.
Pertamina와 비교는 적절하지 않다고 봅니다.

다른 사업자에게 지점을 오픈 하고 안하고는..
회사 맘이죠. (단기,중기,장기 전략과 연동되어서 갈겁니다. 더 사업권자에게 유리한 조건으로..)

인기가 많은것이 꼭 매출로 연결되지만은 않은듯..
특히 상대적으로 고가인 경우는 더욱 그렇습니다.
외국에 거주해본 경험이 있거나 외국인 또는
상류층이나 세븐일레븐 알지..
대부분의 사람들에겐 생소한 브랜드일듯..

만약에 허가를 받고, 부모님의 지원을 받아서 여신다 하더라도..
나가는 실제 전체 비용 + 리스크비용 + 금융비용(부모님 주신돈도..은행에서 대출받은 것으로 계산하셔야함)
+ 본인 인건비 + 로열티 + 임대비등등과
예상 매출액 (이건 데이터 자료만 믿지말고,
실제 지점 앞에가서 며칠 죽치고 앉아서..사람들 사가지고 나오는 물건 금액 계산해보시길)과
비교해서 플랜을 잘 짜시길..

범고래잠수함님의 댓글

범고래잠수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세븐일레븐이 자칼타에 들어왔군요.

1. 먼저 세븐일레븐 인도네시아 사업권 가진 쪽에 문의해야합니다.
    중앙운영인 경우는 따라서는 외부에서 지점 내는것 자체를 안할수도 있습니다.

2. 역시 세븐일레븐 인도네시아 사업권가진 쪽에 문의..
    재산 상태..보증금..초기 점포 비용등..세븐일레븐 자체가 고가 제품이 많은 관계로
    한두푼으로 덤비긴 힘들듯. 특히나 초기에는 외부인 운영 지점을 연다고 해도..
    상당히 까다로운 조건을 제시할 가능성이 큽니다. 한두 지점 운영 잘못되면 전체 이미지가
    죽으니까여.

3. 첨하는 사업이면 한번에 모든것 거는것은 좀 지양하시길..

4. 나중에 회사 잘되도 명의자가 회사를 날로먹을 확율은 없어서 좋겠습니다. ^^;
  대신 부모님게 민폐 안끼치게 절대 무리하게 뭘 하시진 마시길..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2,312건 61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32 수라바야 정보 댓글20 바람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09 12327
631 답변글 애견반입-절차-비용이... Jakart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20 5443
630 한국 라면 스프 댓글8 첨부파일 킹왕짱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10 7551
629 가루다항공 7월 3일부터 7월 13까지의 프로모션 운임 요금 입니다.(참고) 댓글1 배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24 5742
628 Garuda Indonesia offices (유럽) 댓글1 킹왕짱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01 5598
627 신종플루의 예방법.... 댓글4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25 5684
626 지진발생시 안전수칙 댓글4 데미그라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04 5816
625 미쓰비씨 트리톤 커먼레일 고장 해결 방법 아시는분 계신지요? 댓글2 첨부파일 루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18 8379
624 ALI SPONSOR 비용에 관한 문의 무교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28 4736
623 재입국 허가 발급 받을 때요... 댓글1 마린걸이될꺼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22 5064
622 저기 많은 답변에 감사드립니다.마지막으로 질문좀 다시 드릴께. 댓글4 돈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15 5079
621 크리스킴 미용실 도주에 대해.., 댓글4 jakho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18 7427
620 인도네시아 정기 연휴가 어떻게 되나요? 댓글2 아미76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09 7429
619 많이 궁금합니다. 댓글11 obic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14 6244
618 찌까랑 괜찮은 하숙집을 추천해 주세요. 댓글2 yoe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05 6306
617 연세대에 입학시키는 노하우 알파와오메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13 6117
616 6월 12일 토요일 주님의 교회 바자회에 마니 오세요 댓글3 곰돌이푸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03 5869
615 인니 부동산용어 - Strata title (Strata 소유권) 과 Sinking Fund? goodneighbo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09 6350
614 저도 골프 초본데.. 댓글2 당근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17 6512
613 이런 황당한일이~~~ 댓글1 보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13 4673
612 도마뱀을 나가게 하는방법 없을까요? 댓글10 vidki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03 8112
611 교육 (입시이야기) 2011학년도 특례입시 주요대학 지원 현황(중앙, 홍익, 숙명, 한국외대) 첨부파일 neversnow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18 7894
610 비자 은퇴이민(실버비자)을 위한 한국에서 준비해야 할 서류는 무엇인지요? 댓글5 까르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05 7852
609 학교 인도네시아어 연수 프로그램 댓글4 첨부파일 Alber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27 7749
608 이니에서 PC방 사업이 좋을까요? 댓글5 Par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08 11377
607 인도네시아 말랑시티 궁금해요 댓글4 이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01 12816
606 별명바꾸기^^ 댓글10 젊은여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21 9244
605 인도네샤 관광비자 체류기간 댓글3 nakom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1-16 11078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