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루피아 강세?!?!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42)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비즈니스 | 루피아 강세?!?!

writerprofile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dalk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10-09 08:15 조회7,951회 댓글8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14294

본문

요즘 루피아가 미친듯이 강세를 보이는데.....
루피아 환율 방어 목적으로 채권 발행 , 미국 금리 인상 그리고 기타 경기부양책등에 따른 결과인지....
아니면 또 다른 이유가 있는지요?????
신문이나 여러곳을 찾아보고 물어봐도 딱히 이렇다할 내용은 없는것 같은데 갑자기 루피아가 미친듯한 강세네요....
고수님들 정보 공유 좀 부탁 드립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요.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꿈이뭡니까님의 댓글

꿈이뭡니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개인 소견입니다만... 미국 금리인상 지연이 공통적인 이유라면 경험상 한국과 비교를 했을때 대부분 한국의 환시장이 인도네시아 환시장보더 유동성이 일시적으로 더큰 경우가 많다고 봅니다.  같은 시점에서 한국에서도 물론 원화 강세를 보였다지만 인도네시아 만큼은 아닙니다.  이를 봤을때 당국개입이 맞물렸다고 생각합니다.

ondalkd님의 댓글

ondalk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많은 분들께서 답변 주셨는데 이제서야 글을 보게 되었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금일 루피아 강세가 약간 추춤한 상태인데.....
제 생각에도 당분간은 13,000원대 전후로 움직이지 않을까라 생각됩니다.

organizer님의 댓글

organiz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안녕하세요. 
(결론적으로) 루피아가 강세로 전환 한 주 원인은 위에 말씀하신데로 미국의 금리인상 지연 때문입니다.
 - 미국 금리가 언젠가(연말 또는 내년 초) 인상 된다면 다시 환율이 약세로 전환 될 것으로 전망이 됩니다. 
 - 97년 외환위기는 현재와 같이 94년부터 중국 경기침체, 미국의 금리 인상이 시작 되었고 97년 외환위기가 온거라고
  합니다. 지금의 상황도 유사하다고 전문가들은 예기하고 있습니다.
 - 97년 외환위기가 유사하다면 이제부터 카운트 다운이 들어 갔다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 이 흐름을 되돌리려면 실질적이고 엄청난 개방과 대책이 필요한데 현실적으로 전혀 그런 위기를 늦끼지는
  못하는 것 같습니다.  일례로 외국인 투자 규제를 완화한다고 하면서 외국인에 대한 취업비자 규제를 엄격하게
  적용하는 등 모순된 정책을 내놓는 걸 보면 그렇다고 보여집니다.
 - 한편으로 동남아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중국과 일본의 패권다툼이 보이지 않게 진행되고 있는 듯 합니다.
  중국과 일본의 투자가 많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들 국가는 세계 달러 보유 1위 및 2위 국가입니다.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가 외환위기 가능성이 있다면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달러를 빌려주고 영향력을 더
  확장하려 하지 않을 까 생각이 됩니다.
 - 앞으로 몇 년간은 이런 추세로 가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가야 할 듯 합니다.
 - 위기가 기회가 될 수 있는 요인에 준비도 해야겠지만, 상황에 따라서 몇 년간 어려운 여건을 잘 헤쳐 나가야 할 듯
  합니다. 
 * 위에 제가 쓴 글은 저의 소견임에 불과 합니다. 조금이라도 참고가 되지 않을까 해서 개인적인 견해를
  적어봅니다.

댓글의 댓글

응삼이님의 댓글

응삼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미국의 금리인상은 오래전부터  예고로 이미 상당부분 시장에 반영되어 미국이 금리를 인상한다해서 시장에 강한 임팩트를 주긴 어렵습니다 인상한다해도 바로 미국으로 달라가 급히 귀환하기는힘들고  윤전기로 돌린 달러가  시장에 넘치고 잇어 회수를 해야 할텐데 미국연준의장 재닛 엘렌 할무이가 워낙 빠꼼한 양반이라 올리고 싶어도 올리지 못하는상황입니다  인니는지역 경제 우방국 아세안국가들과 금융적으로 연결되지못해  다들돈이 없는나라라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에서 어디 부터 시한폭탄이 시작 될지 모르는 상황입니다 언제 외환이 엥꼬될지 모르고 그나마 외환보유고 상황 외환장단기 부채상환데이타 신뢰도가 상당히 낮습니다 돌똘한 조코위경제 브레인들이 자국 금고 사정도 모르는것은 아니나 어떻게  언제 누구한테 손을벌려 금고에 위기관리를 위해 외환 상당량을 채워야 할텐데 불똥이 튀어야  그때 손을 벌릴지 아님 운에 맡끼고 국가 존심을 세우는건지 솔직히 아슬아슬합니다  이곳에 경제 활동을 하는교민기업이나 인니 기업들 외환 리스크 관리에 신경을 써야 할때입니다

운제님의 댓글

운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이틀전에는 새 무역장관의 새로운 정책 관련해서 루피아 강세를 보였고 금일 루피아강세는 그룹셈푸르나에서 채권인가(본드)인가 약2.1인가 21트릴리온인가를 팔아서 그렇습니다. 신문 찾아보시면 나올것입니다. 저는 투자부문에서 일하는 친구한테 들은이야기입니다.

응삼이님의 댓글

응삼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미세하게 조금씩 올려야지 이리 무작정 오르는것은 전혀 도움이 안돼죠 팔아먹을것은 없고 수입줄이는것도 한계가 있는지라 그냥  내버려두고 아주 바닥까지 용인하는것이 도움이 될겁니다 암튼 환율 약세가 경제에 부담을주는것은 사실입니다 2년사이 50프로 이상 바닥치는것 정부재정으로 빛내 경기부양이나 하면 좋을텐데 해외정부자본이  인니정부에 빌려줄데 찿고있는데 날름날름 받아 먹지못하는조코위정부가 한심스럽게 보입니다 경제정책 추진력제로

shiraz님의 댓글

shiraz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그러면 앞으로 어떻게 되겠느냐..라는 생각이 드는데, 머 인터넷에 개인의견 쓰는거니 한번 써보져.

지금의 루피아 강세 + 세계경제의 전반적인 반등은, 근본적인 경제체질개선에 기인한것이 아니라, '올해내로 예상되었던 미국 금리인상이 몇달더 연장될것이다.' 라는 기대심리를 기반으로 합니다. 펀다멘탈개선으로 인한 상승이 아니라 기술적인 반등의 성격이 강합니다. 지난 수개월간 너무 저평가되었다라는 의견이 금리인상연기 가능이라는 호재를 만나서, 인니의 경우에는 정부추가개입도 추정- 불꽃을 지핀것으로 생각됩니다.

인니경제의 펀다멘탈을 상징하는 몇개단어들, 대중국수출, 자원수출, 저임금기반 제조업 - 모두 당분간은 그다지 긍정적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shiraz님의 댓글

shiraz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여러가지 이유가 복합적입니다.

우선 미국의 금리인상의지가 많이 약화된것으로 보여지고 있어서, 그동안 올해내로 전망되었던 금리인상의 가능성이 점점 낮아지고 있습니다. 이 덕에 한국 및 타 동남아 국가도 반사영향을 받아서 환율이 강세가 되고 있습니다.

그 와중에 인니 루피아는 유독 더 강세인 이유는, (추정입니다만) 기존에 지속적으로 환시장에 개입해온 인니금융당국이 이를 기회로 추가적으로 더욱 강하게 개입하고 있는것으로 보여집니다. 몇달후 정부 외환보유고를 봐야 확인이 가능할것입니다만 지금까지 공공연히 강약을 조정하며 환율에 개입해온것을 봤을때 사실일것으로 생각됩니다.

그 외에 추가로, 말만잘하는 인니정부가 어떻게 실행할지는 모르겠으나 추가적인 경기부양책을 적시에 발표하고, 내각재편에 맞물리며 제대로 홍보하여 다시한번 시장에 약간의 신뢰감을 준면이 있습니다. 인니정부가 그동한 하는짓들을 볼때 실행과 효과는 미지수이겠으나 그나마 이런 쇼도 제대로 못하는 어느다른 나라들 보다는 시장에 신뢰감을 줄수 있고 그나마 긍정적인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시장 일부 소수의견으로 이머징마켓국가들이 이제 저점을 찍었다. 라는 전망이 생기고 있습니다. 물론 소수의견이고 아직 입장들이 첨예하게 다릅니다만 이런 소수견해가 생기고 있다는 점 자체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5,297건 45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065 비자 싱가폴 당일비자와 관련하여 여쭙습니다. 댓글5 뿌아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28 11265
4064 은행 공항에 씨티은행(city bank) 현금지급기(atm) 있나요? 댓글2 자카르타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05 9528
4063 비자 Kitas 발급을 위한 자녀들의 나이 제한 댓글4 토리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23 14781
4062 비자 kitas 연장할 수 있을까요? 댓글12 라라종그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19 10843
4061 건강 기관지에 좋은 도라지,모과,생강 에 대하여 알려주세요, 댓글3 쭈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25 13611
4060 비즈니스 강제 EPO 방법 아시는분 ??? 댓글6 코막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14 10531
4059 은행 웨스턴 유니온 사용 댓글3 런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18 8464
4058 여행 입출국시 면세점서 대형트렁크 구입시 기내반입 가능한지요? 댓글2 nonam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22 7501
4057 건강 담낭 담석증 복강경 수술 가능한 현지병원 댓글7 sucr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27 13872
4056 비자 케이블 나온 후 비자 받을 때 여권 교체 가능한지요? 댓글3 C드래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07 11394
4055 통관 소주반입 댓글9 firs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20 17017
4054 건강 치아 스켈링을 하려구요~ 댓글2 호빵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19 8956
4053 생활/문화 6개월 아기용품 궁금 댓글4 샤이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01 8911
4052 비자 말레이시아 주재 인도네시아 대사관 위치 부탁드립니다 댓글2 마라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09 11113
4051 비즈니스 수입 관련 문의 (급해요) 댓글6 saranghaz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18 8310
4050 비자 EPO 댓글4 SydKo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14 18677
4049 생활/문화 선물용 벌꿀 파는 곳 알려주세요. 댓글6 헛자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13 7023
4048 교육 초등 5학년 3학년 국재학교 추천해 주세요. 댓글4 콩심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26 7458
4047 건강 포경 수술 가능한 현지 병원 소개 부탁합니다. 댓글3 콩심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01 8872
4046 생활/문화 뿐짝에서 하루 숙박하는데 얼마정도 합니까? 댓글3 nangisu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18 7683
4045 기타 출국시 달러 가지고나갈수있는한도 댓글6 youngm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27 10296
4044 기타 현재 자카르타 교민수 대략 몇명인가요?? 댓글4 발리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07 14687
4043 통신/전자 wii와 playstaion3(black) 증고시세가 어떻게 되나요? 댓글2 씨앤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25 5879
4042 생활/문화 자카르타->한국 이사짐을 보내려는데 물량이 적으면 어떻하지요? 댓글7 blai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2-03 7903
4041 비즈니스 PP46 (법인세) 관련 질의 댓글3 Dionsens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3-04 6593
4040 여행 에어아시아도착공항이 가루다도착공항이랑 다른가요 댓글5 pingk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3-27 9522
4039 기타 콤비락 제작업체 댓글4 첨부파일 berbahagi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3-31 8021
4038 비즈니스 [카페창업] 자카르타 직장인 밀집지역 댓글8 오랑 두니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4-27 10291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