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식모 월급 얼마인가요?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27)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기타 | 식모 월급 얼마인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찡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2-04-11 08:52 조회12,250회 댓글22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indoweb.org/love/bbs/tb.php/q_a/27034

본문

한국음식,빨래,청소 하는 식모는 월급을 얼마 줘야하나요?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보니또님의 댓글

보니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참  황당한  내용이라는  느낌입니다.  참고적으로  저는  인니외  타  국가를  몇개국  몇년씩  근무했지만  가정부  둔 적이  없습니다.  인니에  계시면  당연히  구비품목으로  가정부를  생각하는   같은데  왜  굳이  구할려고  애써고  좋니  나쁘니  토  달면서  데리고  있습니까?  골프장에  클럽만  전해주고  겨우  솔질  몇번  해주는  캐디피도  10만이  적니  많니  하는판인데  좀  앞뒤  안  맞는  같습니다.  제  주변에  20대  신혼도  가정부  두고  있습니다.  과연  이게  맞을까요???  애기가  있으면  보모도  한명  추가하겠죠...  남들  하니까  나도  라고  말씀하시면  곤란하고  너무  해외생활  편안하게  궁리하시는  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이  친구(가정부,  보모,  운전기사)들  결코  우리를  감사하게  생각하지는  않을입니다.  우리  옛날애기에  딸을  식모로  보내고  아들은  머슴으로  보낸  내용들과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필요하면  데리고  있어야  하고  그렇다면  적절한  대우는  해주고  따져야겠죠...

병아리님의 댓글

병아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가정부 문제도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의하여 수요은 많고 공급은 적은데에서 기인합니다.

한국음식하는 가정부 평균 월급130*식대*20*주택(1인코스기준)30*교통비절감월 20정도*용돈10 하면 실제 가정부 월급은 200을 상회하는 수준 입니다.
현재 자카르타 대졸 초임수준이나 최저 급여를 상회 합니다.

해결책은

가정부를 서로 찾으려고만 하고 가르치지를 않습니다.
이전 1,5 세대들은 가정부가 없어서 다 가르쳐서 썻습니다.
지금 오는 사모님들이 하나씩만 가르친다면 이렇듯 어렵지는 않은듯 합니다.

무조건 찾지만 말고 각 가정에서 한명씩만 가르쳐서 가정부 문제로 골치 아프지 않길 바라면서~

댓글의 댓글

홍알이님의 댓글

홍알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요즘은 시골에서 경력없이 올라오는 초짜 10대들도 7,80을 당연 달라 하네요.  부식비 별도...그리고 어려서 그런지 이동이 빈번하고, 울면서 집에 가고 싶다들 하니... 정말 도우미 쓰기 힘듭니다. 파출부도 구하기 힘들고  ㅠ.ㅠ

댓글의 댓글

써니야님의 댓글

써니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10년이면 강산이 바뀐다는 말이 있잖아요?
요즘은 1년만 지나도 휙휙 바뀌는 세상이예요.
시간이 흐르는 생각을 감안하셔야 합니다. 이건 비단 이곳의 문제는 아녜요.
한국도 마찬가지예요.....

댓글의 댓글

나뭇잎님의 댓글

나뭇잎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맞아요. 너무 식모 월급 많이주고 하는 일없이 집만 지키고.. 좀 통일해서 적당히 덜도말고 더도말고 적당한 선에서 서로 통일하면 좋을 같아요

댓글의 댓글

Jawafrog님의 댓글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일 없이 집만 지키면 식모 안쓰면 되지요, 월급이란 이 쓰는 사람 일하는 사람 양 당사자간의 합의 인데, 일을 잘하면 더 주고 못하면 덜 주고 그런 이지. 그걸 작당해서 얼마 이상 주지 말자
그렇다면 지난 번 현지 채용이 한국 파견 주재원에 비해 형편 없는 대우를 받을 때 다들 욱해서 했던 말이 이율배반이 아닌가요?

한국사람 현지 채용은 꼬박꼬박 월급 맞춰서 다 줘야 하지만, 인니인은 작당해서 급여 올려주지 말자고 하는 건 너무 이기적인 아닙니까?
인건비 올라서 걱정이다, 이런 푸념이라면 얼마든지 쓸수 있지만, 한국인끼리 통일해서 얼마 이상 주지 말자
그러면 "현지 채용을 할 때,  사업주끼리 작당해서 얼마 이상 주지 말자" 이 말과 무엇이 다른가요?

인도네시안이라서 싼 값에 월급 주고, 조선족이라서능력에 상관없이 한국인만 못한 월급으로 당연하게 줘야 되고...
급여란 게 업무능력, 회사에서 필요한 부분의 중요도 이런 에 따라 좌우되는 이지, 국적에 따라 무슨 원산지 증명에 따라 달라지는 인가요?
이러면서 우리가 무슨 자격으로 현지채용 차별하지 마라 이렇게 말 할 수 있습니까?

우리부터 바뀌어야 하는 아닙니까? 남에게 바꾸라고 하기전에 말 입니다.

댓글의 댓글

써니야님의 댓글

써니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동감합니다.
위에 우리는 서양사람이 아니니 그렇게 많이 줄 필요없고 그렇게 줘봤자 다 소용없다고 하는데요
제 주변엔 어느정도 대우해주고 잘해주니까 까까들도 잘 하고 서로 좋은 관계 유지하는 경우 많이 봤습니다.
그래서 저도 많이 깨닫게 되는 부분이 많았어요.
지역마다 차이가 있을수는 있어요.
하지만 이곳 물가도 얼마나 올랐는데요.....
한국인끼리 식모월급 통일하자고 하시는 분도 계신데 농담인줄은 알지만 그렇게 하면
아~~~무도 한국집에 안오죠.

massein님의 댓글

massei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갑자기 오른 식모몸값이 무섭군요 기본 40-50 이던 월급이 언제 저렇게 많이 올랐나요 저는 2년 전에 55 로 시작하여 지금 야채값까지 80줍니다 아마 울 식모가 이런 사실을 알게 되면 울 집에서 일할까요 150 이상은 좀 많은 같아요

작은행복님의 댓글

작은행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리뽀 까라와치 평균적으로 첨에 80 + 부식비 주 5만 줍니다.
쌀 이랑 라면은 사주고..
해가 바뀌면 10만 올려주고 러바란 보너스 100% , 퇴직금 없고..
근데 한국 음식 좀 한다 싶으면 150 입니다.....
진짜로 한국음식 잘하면 200에도 줄을섭니다....

sibang님의 댓글

siba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저희는 서양 사람이 아님니다 ㅎㅎ
그내들이 이렇게 현지인들 간댕이를 부게 만들었죠 ㅎㅎ
1,500 을 주든..2,000 을 주든 떠날때 절대로 큰절 안하고 떠남니다 ㅎㅎㅎ

지속적으로 돈만 요구한다면 상황적으로 지금에 가정부는 아니라고 봅니다.
대리고 계신만큼 앞으로 계속 더한 요구가 있을이고..
시간이 지날수록 짜르기가 어려워 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주위에 한국분 도움을 받으세요.
당장은 좀 불편하셔도 신중하게 생각 하시고, 아시는분 통해서 사람을 구하시는게
합리적이라 봅니다.

요구하시는 다 들어주시면 끝이 없고요...머슴이 주인돼고, 주인이 머슴됍니다.

kemenangan님의 댓글

kemenang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두배는 아닌데,,, 사실 서양사람들 집에 있는 식모들은 음식도 안하고 일주일에 세번 오는데도 1,500,000씩 주는 사람도 있어요.

sibang님의 댓글

siba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위에 상세히 말씀해주신 FrizFreleng 님의 말씀 공감하고요... ㅎㅎ
찡아님께서는 참고하시고 조정을 좀 하셔야 할듯...^^*

한국사람들 정도 많고 또한 정에 약한이 사실 입니다.
정에 이끌려서 계속 도움 주시면 끝이 없고요...

받는에 익숙해져 있기에 고마움도 별로 모르고요..당연한으로 치부해 버립니다.
신경쓸일도 많은데 가정부 까지 신경쓰이시면 피곤이 배가돼죠 ㅎㅎ

확실하게 월급과 기타 부식값을 정하시고 지켜 보시면서 가끔 알아서
용돈 정도 챙겨주시고요..(용돈 줘도 큰 의미는 없고요..)

물론 현지인 가정도우미가 다 그런은 아니지만 대부분이 그렇다는 이죠 ^^*
내일이고 모레이고 바로 그만둘수도 있다는 생각을 항상 하시기 바랍니다.
아무리 잘해주고 신경써줘도 떠날때는 소리없이 냉정 합니다 ㅎㅎ

찡아님의 댓글

찡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제가 이곳에 온지 얼마 안됐어요.찌까랑은 식모 구하기도 힘들다고 해서
달라는 데로 줬는데 아닌 같네요.
도움주셔서 감사합니다.꾸벅...

댓글의 댓글

나뭇잎님의 댓글

나뭇잎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달라는대로 주면 어떡하시나요. 보통 100만루피아 미만이나 식대포함 다 해서 100만 루피아 줍니다.
너무 많이 주면 다른 사람이 피해보지요.

요즘 식모 월급이 너무 많이 올랐어요
무조건 달라는대로 주면 안됩니다.
다른 집들이 피해를 보지요.

찡아님의 댓글

찡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음 그렇군요. 저희는 현재 1,400,000만루피아주고  부식은 사다주고
양념이나 기타 자자란거 사라고 500,000만 루피아 줍니다.
우리가 많이 주는건가요?

댓글의 댓글

연평도님의 댓글

연평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식모의 근무 연수나 일 하는에 따라 줄 수도 있지만, 제가 아는 일반적인 수준에 비해서 2배는 되는듯 하군요...^^

FrizFreleng님의 댓글

FrizFrele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현재 약 1,200,000루피아 정도(야채값, 쌀값, 전기세, 물세 미포함, 가끔 병원비 확 깨짐)
한국집에서 수습으로 약 500,000루피아부터 시작해서 석달 후 800,000루피아로 오르고
일년에 십만 루피아씩 올라가는 케이스
약 4년 정도 되면 한국음식이나 한국사람 습성을 잘 파악하는 같아요.
밥은 같이 먹으면 따로 밥값 안줘도 되지만
밥을 따로 먹게 되면 일주일에 50,000루피아씩 반찬값을 줍니다.

여기서는 한국 사람도 한국음식 맛이 잘 안나오는데,,,,
식모는 있으면 골치아픔...
항상 가방에 뭘 하나씩 꾸불쳐 놓고(뭐 비싼도 아니지만, 왠지 기분나쁨)
맨날 거짓말하고(뭐 걍 말해도 전혀 기분안나쁜데, 꼭 거짓말 하다가 걸려서 기분 더 나쁘게 함)
걍 세탁기 쓰시고
청소기 쓰시고 가끔 스팀청소기로 밀고...(걸레질 하면서 바닥에 물이 한가득...)
밑반찬은 슈퍼에서 사놓으시고, 외식 가끔씩^^*
 
가르쳐 놓으면 월급올려달라고 합니다..
일년에 한번씩 집에 보내줘야하고...
일년에 한번씩 보너스 지급해줘야하고..
방에 TV넣어줘야되구요...
가끔씩 에어컨을 요구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그리고 외로움을 많이 타기 때문에 반드시 친구를 데리고 와야합니다.
결국은 2명이 되지요.
이래저래 요구하는게 너무 많이 집니다. 다 들어주시면 좋겠지만 나중에 제가 청소하고 있고
가정부는  TV보고 있는 웃지못할 헤프닝이 ㅋㅋㅋ
그래도 저는 지금 가정부를 아주 좋아합니다. ㅋㅋㅋ

나라가 발전함에따라 가정부들의 인권도 많이 신장되었습니다.
내공있으신 분들은 또 다른 가격대를 가지고 계실 수 있겠습니다.
이상 주관적인 댓글이었습니다.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4,592건 27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864 기타 회사 여직원 출산휴가 기간이 궁금해요.. 댓글7 소나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17 9493
3863 여행 뿔라우 스리부 뿌뜨리섬 비용 얼마나 드나요? 댓글8 승처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25 17034
3862 통신/전자 수마리콘 인터넷 문의 드려요 댓글2 초보인도네시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15 6865
3861 비즈니스 인도네시아에 중소기업 진흥공단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댓글4 happyviru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25 9759
3860 생활/문화 elevenia 에서 갤럭시 4 주문하시고 받으신분 혹시 계신가요? 댓글14 keepgoi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03 13323
3859 답변글 통신/전자 인니 현지에서 노트북 구매 후 한글 Windows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댓글9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23 11886
3858 여행 말레이시아 여행 정보 요청 댓글10 rabbitju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2-16 10444
3857 비즈니스 인도네시아에 로또나 토토가 없는 이유는? 댓글5 보보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13 11012
3856 건강 그라비올라씨앗 댓글13 saranghaz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20 16144
3855 교육 클라리넷 학원 혹은 강사 연락처 부탁드립니다. 댓글1 cli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1-30 7349
3854 통신/전자 오지 지역에서의 인터넷 가능 방법은??? 댓글9 papuapal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2-06 14796
3853 비자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현지인 유모를 한국으로 단기간으로(1달정도)데려가려고 합니다. 절차가 궁금합니다. 댓글3 윤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2-23 12243
3852 비자 인도네시아 대학원 진학 댓글2 세이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02 8325
3851 생활/문화 이번에 취업하면서 인도네시아로 처음가게 되었는데 아는게 아무도 없네요. 도와주세요!! 댓글9 인리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2-27 10822
3850 생활/문화 안녕하세요,, 미숫가루를 사고싶은데.. 댓글6 rickowe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4-30 7025
3849 생활/문화 인니로 인삼제품을 보낼수 있나요? 댓글2 그럴줄알았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6-15 6945
3848 비즈니스 인니인 직접판매 장기간 판매할 상품을 찾습니다. 댓글10 통역컨설턴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9-17 8115
3847 교육 발리에 한국 유치원있나요? 댓글2 루미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7-22 4796
3846 비즈니스 메탄알콜 댓글2 인생무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8-19 8977
3845 통관 카메라. 댓글3 카츠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9-23 6211
3844 건강 바퀴벌레 없애는 약이 있나요 댓글9 구름시다바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0-13 7569
3843 부동산 현지인과 결혼하여 집 구매 관련 궁금합니다. 댓글9 워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4-01 8595
3842 숙박 자카르타에서 살만한 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댓글7 Deshaw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12 5333
3841 은행 발리 bni 통장 댓글3 쁘띠아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2-24 5033
3840 비자 비즈니스 비자 댓글5 saranghaz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2-04 5201
3839 기타 혹시 자카르타 남부 한식당중 도가니탕 또는 족탕 깔끔하게 잘하는곳 아시는분 ??? 댓글1 Awan123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7-26 7306
3838 통신/전자 인도비젼에서 Kbs world 채널이 계약완료로 중단되었는데... 댓글1 Jho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14 6619
3837 여행 급합니다ㅠ2일 여행인데 긴급여권으로 자카르타입국될까요? 댓글1 Ppp루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5-24 4751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