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계약직 / 연봉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63)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계약직 / 연봉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마스메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9-08-06 08:53 조회8,008회 댓글3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indoweb.org/love/bbs/tb.php/q_a/6833

본문

일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지금까지 일반 비숙련직원들에게만 적용하던 계약직을 간부급 직원들에게도 적용하려고 준비중입니다.

혹시 인도네시아 노동법에는 일반 계약직과 다른 간부급 직원들을 위한 계약직 명칭이나 조건이 따로 있는지요.....

그리고 한국등과 같은 연봉제라는 제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현재까지 제가 아는 바로는 계약직은 PKWT(Pegawai Kerja Waktu Tertentu)라는것 하나뿐이라고만 알고 있는데..... 이 명칭을 채용하면 기존 정규 간부직원들과의 괴리가 생기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물론 계약서내 내용을 간부급 수준에 맞게 조정(월급이나 복리 후생 등의 조건)하면 되리라 생각하지만, 명칭 역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바(비숙련 직원들과 간부급 직원들의 Status Pegawai가 동일하다는 이유)... 혹시 있는지 문의 드려봅니다.

그리고 겸사겸사 다른 회사에서 혹 저희처럼 간부급 직원들을 계약직으로 채용하고 있는 경우는 어떤 방식으로 하고 있는지도 여쭈어 봅니다.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마스메라님의 댓글

마스메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좋은 정보와 말씀에 감사드립니다......
저 역시.... 정규직과 계약직 사이에서 고민중입니다...
물론 제가 오너가 아닌 이상은 찍어 눌려서 하는 고민이기도 하지만요..ㅋㅋㅋㅋㅋ

seawolf님의 댓글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공장은 아니지만..
현지 인도네시아에서
5위안에 드는 은행의 경우..
매니저급중 계약직들이 다수 있습니다.
정규직과는 월급은 거의 동일하나 복리후생에서 차이가 큽니다.
(대부분 명문대 혹은 외국대학 출신이나 경력이 짧은 직원이 해당됩니다.)

기본적으로 핵심인력은 계약직을 하시면 안됩니다.
현재 위의 문제가 HR의 가장 뜨거운 감자이구..
현재로서는 꼭 있어야하는
그리고 일 잘하는
특정직원이 정직원 시켜주지 않으면 퇴사하겠다라는 강수쓸때..
소리소문없이..정직원시켜주는 미봉책을 사용중입니다.

특별히 비용 절감이 목적이 아니라면..
간부직의 계약직화는 비추합니다.
사기 및 충성도 문제 및
나중에 마스메라님이 머리아파져서리..ㅋㅋ
오너가 강제로 위에서 찍어 누르면 어쩔수없겠지만..==;

홍길동님의 댓글

홍길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간부급 혹은 중추역활을 하는 핵심인력에 대한 Status는 모든 회사의 고민거리라고 할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정말 회사에 필요한 인력인지에 대한 평가가 우선 되어야 한다고 판단 됩니다.
기존에 계약직(PKWT ; 기한부고용)사원에 대한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평가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으셨다면
최초 계약은 기한부고용에 의한 최초 2년, 이후 연장 1년 계약만료 이후 필요에 따른 1달 이상의 휴직기간을 거쳐 최장 2년의 계약을 할수가 있겠습니다. 즉 최대 5년이라는 계약을 할수 있습니다.
다만 핵심인력에 대한 (PKWTT ;무기한고용) 속칭 정식 혹은 정규 사원으로 승급을 하시고자 한다면 기한부고용 계약을 어느정도 실행한후에 업무성과에 따라 평가후 무기한고용으로 승급 혹은 재계약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폐사의 경우는 최초 2년 혹은 1년 계약 이후 평가에 따라 2차 계약을 하거나 혹은 월등히 성과가 좋을시에는 혹은 필요시에는 무기한고용으로 승급합니다.
다만 무기한 고용자들에 대한 비중이 너무 비대해 지지 않도록 적절한 조절이 필수가 되어야 합니다.
무기한 고용자에 대한 권고사직 혹은 PHK(근로관계종결;퇴직처리)는 아시다시피 당사자가 불복시에 노동재판소송까지 가야하기 때문이고 저역시도 해당문제로 인하여 현재 진행중인 소송이 현재 항소심 대법원 판결을 기다리는 중입니다.
급여부분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알고계시는 기본급+각종재수당+잔업수당 으로 산정하는 방식과
All In 이라고 하여 고정급(기본급+재수당+잔업수당 포함)으로 나뉘어 집니다. 예를들어 월 2 Juta라는 고정급(All In)을 적용시에는 잔업수당 및 재수당금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Jamsostek 및 JHT(의료보험)의 경우 기준으로하는 기본급이 수령금액을 기준한다는 부담이 있습니다. 즉 2백만 루피아를 all in으로 받는자에 대한 산재보험금 기준 역시 2백만 루피아를 기준으로 산정해야 한다는것입니다. 많은 회사들이 이를 편법적으로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산재보험을 적용시키는 경우가 많다고 할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2,994건 2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966 한국서 관광비자 받기 댓글7 파랑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27 12536
2965 한성김치 연락이안되요~ 댓글2 스윗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11 10427
2964 한국물건 수입할려면?? 댓글5 잡초i1987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23 12551
2963 은행 은행 .......답답해 미치겠네요..(britama bank) 댓글6 카네이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15 11931
2962 웨딩드레스 댓글2 오르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27 12793
2961 찌가랑에 거주 하려 합니다. 댓글3 인생한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03 8962
2960 08 르마단 댓글2 돈달래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29 11304
2959 법인 설립 건 문의 드립니다. 댓글8 바람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15 10949
2958 다음주 자카르타 컨벤션센터에서 하는 수공품 전시회에 관하여~ 댓글3 성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18 12256
2957 이노바 연비 어떻게 되나요? 댓글5 오랑인도네시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08 17566
2956 발리 드림랜드 연락처 알고 계신분?? 댓글3 호박마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26 9248
2955 BEJ(JSX, 자카르타 증권거래소)가..강제 폐쇄했다고..아시는 분? 댓글8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10 11867
2954 반둥쪽 outlet 매장에 댓글3 해인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20 10403
2953 Lock & Lock (록앤록) AS는 어디서 받나여? 댓글11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30 8966
2952 인도네시아어 어렵나요????? 댓글1 스포이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04 10288
2951 택배회사 알려주세요~^^ 댓글2 한무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24 8354
2950 선편 배송관련 질문입니다. 댓글4 아라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16 10668
2949 자카르타 시내 숙박문의입니다 댓글3 다이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16 8181
2948 기본 댓글8 Jawafro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22 7191
2947 인니에서 살기 댓글9 kim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07 9391
2946 얘네들이 생각하는 빠짜르의 개념은? 댓글17 치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19 9034
2945 말레이시아 가서 비자 만들때.. 댓글1 아락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13 7028
2944 루이보스티 파는 곳 아시는분 댓글4 정열정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28 9743
2943 신차구매후 들어가는 비용에대한 질문 댓글7 두리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18 10072
2942 찌까랑에 있는 외국인학교(영국?)에 대하여 아시는분 도움 부탁드립니다, 댓글8 karud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08 12997
2941 꽃가게는 어딨나요? 댓글5 조약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16 7742
2940 르바란 때 한국행 티켓은 언제부터 예약 가능 한가요? 댓글3 그린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24 9516
2939 부동산 담보대출제도가 있는지요? 댓글4 풍운7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06 12639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