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최근 환율이 많이 오르는데 이유가?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886)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은행 | 최근 환율이 많이 오르는데 이유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뿌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1-09-15 10:50 조회9,628회 댓글1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indoweb.org/love/bbs/tb.php/q_a/16634

본문

모두 모두 건강하시지요?
최근에 달러 환율이 한화에서도 루피아에서도 많이 올랐습니다.
많이 안정되어 있었는데 갑자기 200루피아 정도가 올랐네요.
무슨 일이 있는건가요?
또 세계경제의 어려움이 닥쳐오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 되어서요.
이곳 인니는 세계경제의 어려움에도 큰 요동이 없는 것 같이 보였었는데.....
혹시 환율변화에 대해 좋은 분석이 있으신 선배님들 계시면 많이 가르쳐주시기 바랍니다.
앞으로의 추세에 대해서도 많이 듣고 싶어요~
환율의 변화 참 민감하네요~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과일왕자님의 댓글

과일왕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공감이 팍팍가는 내용 잘 보고 갑니다....^^ 이스틴님 ~~

주식...정말 화딱지날만큼 개미들 우롱하는듯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동남아 5개국 투자 펀드를 들었는데요...
어째 투자국 사정보단 오히러 한국 코스피만으로 결정이 되는듯 하네요.

어스틴님의 댓글

어스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이곳에서 달러, 한화, 루피아는 참 민감한 부분이지요.
저도 갠적으로 여러모로 예의주시하지만 참 어렵다고 봅니다.

우선 제 개인적인 생각은,
앞으로도 달러는 계속 강세쪽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즉, 달러메리트가 많이 발생할 것으로 봅니다.
그럼 왜 세계경제의 중심인 미국경제가 침체되면 달러가치가 하락해야 하는데,
원화대비, 혹은 루피아 대비 달러는 왜 올라가고 있느냐 하는 의문이 생기게 됩니다.
그것은 상대적인 사슬구조 때문입니다.

과거 한국이 외환위기때 시중 금리가 30%까지 치솟은 경험이 있었죠.
그때 당시 대단했습니다.
달러대비 원화가치는 약 1,400원까지 고공행진했었습니다.
오늘 환율을 보니 달러대비 한화가 이미 1,130원입니다.
과거 한국 외환위기 초입 당시 달러대비 원화가치의 급격한 변화가 생각납니다.

물론 과거보다 현재 한국 경제가 많이 든든해졌다고는 할 수 있지만,
안타깝게도 아직도 한국경제는 미국경제의 우산아래 있습니다.
미국경제의 작은 흔들림에도 그 힘은 2~3배가 되어 한국에 큰 충격을 줍니다.
특히 한국경제는 반도체를 비롯한 수출주도경제라
미국을 비롯한 세계경제의 침체와 파국은 한국에 대포알처럼 직격탄이 되어 큰 충격을 줍니다.
즉, 미국경제가 침체되어 달러약세가 되도, 원화는 오히려 가치가 떨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런 상황이 계속 진행된다면 세계적인 경제침체를 떠나 파국으로 치닫는 상황이 되겠죠.
일부에서는 과거 IMF도 미국의 작품이라고 하는 말이 있습니다만,
만약 세계경제의 침체가 심각하다고 판단이 된다면,
분명 미국은 아시아에서 또 다른 희생양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시간이 없어 중략합니다만,
결론적으로,
제 작은 소견으로는,
당분간 달러는 돈이 있을 때마다 사 놓는 것이 금상이고,
특히 여유 돈이 있다면 금에 투자해 놓는 것이 첨화라고 봅니다.
세계경제의 침체와 달러가치,유로가치의 하락은 실물인 금의 가치를 더 키워주기 때문입니다.
특히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는 미국경제의 종속아닌 종속(?)에 있기 때문에
미국 경제가 침체되어 달러가 국제적으로 약세여도
상대적 사슬구조에 따라 오히려 한국과 아시아의 통화가치는 떨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덧붙이면(사견입니다)
한국에서는 당분간 부동산구입은 위험한 일입니다.
조금 더 지나면 현재 가격보다 아주 싸게 구입할 시기가 올 것입니다.
오히려 지금은 위험회피를 위해 모든 부동산을 현금화시키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현재 한국경제는 혼잡레이션 상태입니다.
내수경제는 침체되고, 물가는 살인적이고, 실업사태는 심각하고,
단지 수출만 좋아보입니다. 그런데 지난 8월 무역수지는 큰폭 감소했습니다.
이미 세계경제는 점점점점 침체되고 더 위험해 보입니다.
미국이나 유로존 국가에서 사태가 터지면 먹이사슬처럼 모든 나라에 번집니다.
이미 그리스는 통제불능이고 같은 유로 이태리도 비슷합니다.
그리고 이것이 다른 유로존국가로 번지면 주채권국인 프랑스마저도 위험해 집니다.
마치 채권채무관계가 먹이사슬처럼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더욱 심각한 것은,
이렇게 촉발된 그네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들은 한국이나 아시아에 화살을 돌릴 지도 모릅니다.
그 주역은 아마도 미국이 될 것입니다.
이것은 안타깝게도 예측가능한 영역입니다.
 
또한 현재 한국 주식시장은 급격한 변동성을 보이고 있는데,
제 갠적인 생각은 당분간 주식시장은 쳐다보지 않는 것이 상책입니다.
지금처럼 코스피 지수가 계속 주기적으로 빠지게 되면, 전저점보다 더 깊게 빠질 것이고,
그러다보면 코스피가 1000선 이하로도 빠질 수 있습니다. 
물론 단번에 그리 빠지지는 않지만,
서서히 가랑비에 옷 젖듯이,,
그렇게 큰 대세하락을 시작하는 것이죠,
단지 시간의 문제라고 봅니다.
지금 매일매일 요동을 치는 코스피를 보면,
마치 살 날이 얼마남지 않은 사람처럼 발광하듯이 보입니다.
미친 사람이 있을때는 속히 자리를 피해야 합니다.
괜히 구경하다가, 끼어들다가 다칩니다.

지금은 세계경제가 한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부분이고,
언제 어느때 경제파국이라는 시한폭탄이 터질 지 모릅니다.
어찌보면 수 년전 미국에서 발생한 리먼사태는 어찌보면 세계경제침체의 신호탄일지도 모릅니다.
그리스에서 한방 터지고, 다시 이태리에서 터지고, 다시 스페인으로 번지면, 아주 위험합니다.
이것은 한번에 폭탄처럼 일시에 다 터지지 않습니다.
천천히 하나씩, 하나씩 터지게 되고, 그러다 다시 대책을 찾고,
그러다 다시 엉뚱한데서 터지고,, 그래서 다시 대책을 찾고, 그러다 조금 지나면 다시 터지고,,

단지 그냥 제 생각을 말씀드린 것이니 참고만 하시기를
꾸벅^^

우냉님의 댓글

우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유럽발 그리스 디폴트 위기로 빚어진 상대적 안전자산 달러 확보를 (금은 비싸니까) 위한 단기적 환율 변동입니다.

아래기사 참조

http://media.daum.net/economic/stock/bondsfutures/view.html?cateid=100017&newsid=20110915151350281&p=chosunbiz

중국 및 기타 국가에서 유로존을 도와 준다니 장기간 지속 되지는 않겠지요.

향후 갑작스런 변동은 몇차례 더있을거라 예상 됩니다. (특히 한국 원달러 환율)

인도네시아 루피아는 한국대비 변동폭이 그리 크지 않을 겁니다.

달러 한국에 보내시는 분들 미리미리 송금해 놓으시고 찬스 잡아서 높은 환율에 환전 하세요~

얼마만의 1100원 대 입니까~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6,218건 19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714 세법/법률 개인 소득세 관련 문의 댓글3 아데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03 6778
5713 은행 환전시 어떤 방법이 가장 이득일까요? 댓글3 꾼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09 7470
5712 여행 반둥 sari ater를 온천 문의드립니다. 댓글5 강남styl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12 8135
5711 통신/전자 컴퓨터 도매상가 또는 기계식키보드. 댓글3 빈스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20 7005
5710 기타 인도네시아 나무에 관한 질문이요 댓글1 박코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24 6955
5709 숙박 자카르타 남쪽 근처에서 8월 3주간 머물 숙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댓글5 DAV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06 6673
5708 통관 가루다항공 수화물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댓글8 착한반둥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1 9569
5707 통신/전자 안녕하세요 댓글2 한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4 6258
5706 비자 너무헷갈려서요.꼭좀 도와주세요.ㅜ.ㅜ 댓글2 쭈쭈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23 7238
5705 차량/교통 공항에서 자카르타 가는법 댓글5 석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31 7312
5704 기타 지역별 가이드 구하는 방법 궁금해요. 월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08 5120
5703 생활/문화 발릭파판에 한국식당이 있나요? 댓글6 shre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14 9494
5702 통신/전자 한글문자되는 가벼운 전화기 알려주세요 댓글2 ANDREAGAS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19 7301
5701 기타 콤플랙 경비 월급 어떻게 주나요? 궁금합니다. 댓글1 초마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22 7279
5700 교육 한국어선생님 모십니다 댓글3 완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30 6406
5699 기타 폐기물 관련 댓글5 쉬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08 8061
5698 기타 인니 운전 면허증 발급관련 문의.. 댓글6 아이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15 8446
5697 건강 산부인과 관련문의 드려요 댓글3 pkcoj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11 9712
5696 비즈니스 LED NEON 옥.내외 광고간판 댓글1 폴리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25 6382
5695 생활/문화 효과 끝내주는 바퀴벌레 약. 댓글7 짜리짜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27 10723
5694 세법/법률 고수님; 키탑 자격에관한해석부탁드림니다. 자동생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10 8028
5693 교육 [실시간 원격 수학 과외]_오피스에듀 댓글1 첨부파일 콩돌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16 7758
5692 비즈니스 세무 회계 시장정보 컨설팅 TokoIndones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22 7524
5691 생활/문화 자카르타 거주 중이신 주부 분들께 설문요청 드립니다. (설문 완료) 댓글4 OKHOM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08 4063
5690 생활/문화 천연비누 재료 구매 댓글3 hey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27 10839
5689 기타 일 잘하는 뚜깡 아시는 횐님!! 댓글3 인도네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22 10199
5688 생활/문화 elevenia 에서 갤럭시 4 주문하시고 받으신분 혹시 계신가요? 댓글14 keepgoi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03 13379
5687 생활/문화 이사업체 댓글7 kind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09 13696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