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요 알려주세요~ > [특례입시 칼럼-30] 2010년 입시를 위한 전략-수학을 포기하라!!!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06)
  • 최신글

LOGIN
1.서로의 매너와 예의를 지켜주시고 중복된 질문은 하지 말아주세요!!
2.질문하시기전에 꼭!! 하단에서 게시물을 검색하신 후 질문하기 바랍니다.
3.답변을 쉽게 할 수 있게 질문을 명확하고 쉽게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특례입시 칼럼-30] 2010년 입시를 위한 전략-수학을 포기하라!!!

writerprofile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알파와오메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9-05-24 15:17 조회7,342회 댓글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indoweb.org/love/bbs/tb.php/q_a/19999

본문

제목이 참 자극적이다.

<수학을 포기하라...>

 

입시 상담으로 수만명을 접한 필자에게는 본의 아니게 점쟁이가 되어버렸다.

최소한 누가 어느 정도의 대학에는 붙을 것인가를 얼굴만 봐도 대강 짐작이 된다.

그 정도는 고사하고 과거 서울대 특례입시가 시행되었을 때,

서울대 법/의/상경/사회 까지는 누가 붙을 지 거의 100%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었다.

소위 말해서 갈 놈은 결정되어 있다는 것이 입시 8개월 전에는 확인할 수 있는 일이다.

단지 예상에서 오차가 약간씩 발생하는 것이 인문과 자연대다.

그 오차의 범위가 총 정원의 30% 정도이며 이러한 변수가 합격의 의외성을 만든다.

 

굳이 이런 이야기를 서두에 꺼내는 이유는,

그 마의 <30%> 때문이다.

입시생이건 학부형이건 누구나 그 30%를 꿈꾸고 자신이 그 30% 안에 포함될 것이라는 환상에 빠져 있다.

그래서 앉으나 서나 언제나 수학에 대한 몰입을 넘어서서 강박관념에 빠져 있을 정도다.

 

그렇다면 한 번 생각해 보자.

서울대 특례입시가 폐지된 지금 그 대상은 연세대로 바뀌었다.

연대 의치예/경영 경제/ 사회대가 과거의 서울대 어쩌구 학과의 계보를 잇고 있다.

즉, 연대 위의 학과는 갈 놈들이 이미 정해져 있다는 말이고,

그 예외적 변수가 과거 30% 보다 현격히 줄은 15% 정도의 변수만이 존재한다는 얘기다.

올해 그렇게 치열하고 끔찍했던 입시의 충격이 연대 입시에 있었음은 위와 같은 사실 때문이다.

변수가 없이 말 그대로 갈놈만 가는 삭막한 순위의 시대가 올해 연대 입시의 총체적 결과라 할 수 있다.

더욱이 문과는 완전히 예외 없이 갈 놈만 갔고,

그나마 이과에서(그것도 특례 이과이기에 가능한 일이지만) 15%의 변수가 적용됐다.

 

위의 사항을 토대로 다른 측면을 살펴보자.

특례입시에서 수학이 필요한 이유는 연대와 고려대 그리고 이과 지망에 국한된다.

수학이라는 과목이 가진 문제점은 매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데 있고,

투자된 시간에 비해서 성과를 보장할 수 없다는 데에 있다.

더 나아가서 수학은,

국어와 영어 그리고 에세이/논술의 학습시간을 잠식할 수밖에 없는 본질적인 속성을 지닌다는 것.

입시적 측면으로만 봐도 그러한 투자가치에 비해서 효용가치가 비례하지 않다는 비효율성을 가진 것이

특례입시의 수학이 지닌 위상이다.

 

즉, 문과지망생의 경우로 본다면 수학은 고려대와 연세대를 제외하면

입시라는 측면에서는 전혀 불필요한 과목이자 전체 과목 성적의 하락과 정체를 불러일으키는 원흉이다.

 

그렇다면 <특례입시를 위한 과목적 선택>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이제 3학년에 올라갈 예정이라면 단호한 결단을 내려야 한다.

물론 이 결단에는 <문과>라는 전제가 필요하다.

 

전 칼럼에서도 끊임없이 주장한 것처럼 수험생들의 학력지수는 수학을 보는 대학이니 안 보는 대학이니에 따라

격차가 나지 않는다.

성대가 연대보다 더 실력이 좋을 수도 있으며 중앙대가 고려대보다 더 나은 실력을 가진 수험생이 합격할 수도 있다.

학교별 분류는 단지 수학을 보느냐 안 보느냐에 의해서 나뉘어질 뿐이고,

수학을 오래 전부터 준비했느냐 아니면 급조하느냐에 따라 붙고 떨어짐이 결정될 뿐이다.

 

이러한 현실적 입시상황을 고려할 때,

고대와 연대를 가기 위해서라면 이미 고1부터 수학에 대해서 깊이 있는 학습이 필요하며,

아울러 그러한 학습을 한 수험생만이 수학에 대한 집중을 고3에도 진행해야 한다.

반대로 이와 같은 학습과정을 치르지 않은 수험생은 당연하게도 수학을 버려야만 입시에서 성공을 할 수 있다.

 

지금은 무작정 세계일주를 위해서 어느 한 비행기를 타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어느 나라로 갈 것인가를 확정하고 떠나야 하는 선택의 순간이란 뜻이다.

 

고연대를 준비한다는 것은,

국어/영어/수학/에세이/내신/특별활동/AP/SAT 등등 온갖 과목과 과정을 다 치러야 한다는 것이며,

성대 및 여타대를 준비한다는 것은,

국어/영어/논술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고연대는 그만큼 과목과 과정에 대한 투자의 시간이 많기에

성대 및 여타대를 집중 준비하는 수험생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국어/영어/논술에 대한 집중도나 완성도가

현격하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즉 고연대 입시는 그들을 위한 그들만의 리그이고,

성대 및 여타대는 고연대 준비생들이 불리해 질 수밖에 없는 <그들 밖의 리그>다.

그 작은 징후가 올해 입시 결과에서 나타났으며

2010년에도 그 정도가 더욱 심각하게 나타날 것임은 명백한 사실이다.

 

결론적으로 선택의 상황은 이렇다.

고연대를 볼 친구들은 지금까지 해왔던 바 대로 죽어라 수학을 공부하면 될 것이고,

수학을 제대로 하지 못한 친구들은 <수학을 버리고>,

죽어라 국어/영어/논술에 집중 또 집중을 해야만이 입시현실에서 목숨을 부지할 수가 있다.

쓸데없는 허위에 빠져서 거품을 헤엄치지 말고,

자신에게 도래할 현실을 직시해야만 한다.

 

입시에서 이길 수 있는 길은,

시행착오를 최소화하는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적확한 시기에 적확한 선택을 해야만 하는 것이며,

그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전문가의 충언에 귀 귀울여야 한다.

 

선택이 오류를 만들어내고 결국 시행착오의 시기가 깊어져서 입시에 실패하는 참담한 결과를 가져오는 까닭은,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스스로의 합리성에 빠져 버리기 때문이다.

그것은 자기합리에 불과할 뿐이지 결코 객관적 합리성이 아니다.

입시는 스스로가 만들어 나가는 것이 아니다.

이미 그 절대적 기준이 존재하는 것이며 수험생은 단지 그 기준에 조금더 가까이 다가가는 것.

못 할 것은 결국 못 하고, 안 될 것은 결국 안 된다.

할 수 있다는 것은 희망일 뿐이지 결코 현실이 아니다.

그것이 <수학>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그러기에,

2010년 입시의 성공을 위해서 지금 우리들은

수학을 할 것인가 안 할 것인가에 대해 결단을 내려야만 한다...



 
특례 학원에서 수학이 가장 중요하다고 반마다 외치며 다니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요?? 12월 현재로 고3에 토플 100점나오는 놈이 한놈도 없는 반에서 수학을 안하면 좋은대학 못간다 라는 사람은 양심이 있는자 일까요 없는 자 일까요? 08.11.30 23:29

그리고 수학은 그 근본태생이 시간을 많이 소요시키는 과목이라는 의견에 공감합니다. 그 시간에 국어랑 영어했으면 중상위 학교를 갈애들이 수학때문에 인생 엉망되는거 참 가슴 아프죠... 반대의견 가지신분 리플 부탁 드립니다. 아마 특례좀 아는 사람이면 공감할거 같습니다. 행여나 반대의견을 가지신 분이 있다면 그 의견 듣고 싶습니다. 다만 반론엔 정확한 근거가 있어야 할것입니다. 08.11.30 23:29

정진샘 정말 용기있는 결단을 내려 주셨군요. 이 하나의 칼럼이 이글을 보는 많은 학생들의 인생을 바꾸어 놓을것 같습니다. 모든 특례 학원 영업상 기밀일수도 있는 내용을 다루어 주신 그 결단에 일어나 박수를 보냅니다. 이글이 전세계 학생들에게 특례 입시를 바르게 볼수 있는 나침반 역할을 할것이란데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이글은 지금도 돈과 시간낭비를 하고있는 특례 생들에게 생명수가 되어줄것 입니다. 특례 수학 전문학원들 긴장하겠군요 . 08.11.30 23:42

미련버리고 아들말 듣고 하루라도 빨리 수학 버리길 참 잘한거 같네요~~ 언제나 샘님의 조언에 감사드립니다. 08.12.01 18:44

입시 칼럼 22에서 수학포기는 실패의 길로 간다라는 칼럼이 있습니다. 제가 볼때는 상위 1%~2%의 비영어권 학생에게 해당되는 글일듯 합니다. 수2,미적분을 끝내구 국어 영어 집중공부 한단애들보면 참으로 가슴이 아프지요. 그들대다수의 미래가 해마다 반복되어 이젠 보이니까요... 08.12.07 19:11

수학은 입시만을 위해 존재한다고는 생각하지 않고, 인생을 살아가는 데도 많은 도움을 주기에 자녀에게 꾸준히 하라고 했는데, 이 글을 읽고 나니, 조금 흔들립니다. 결단을 내려야 하지 않을 까 싶네요. 09.04.25 15:49
자녀가 고1기준 토플 90점 고2기준 100점 이하 같으면 고대는 죽었다 깨어나도 못들어 갑니다. 연대는 HSK 10급 국어 완벽정리 수학2문제 정답 정도면가능하고요 09.04.26 03:11

고대 수학 절반만 맞춰도 들어가구 연대 두문제만 풀어도 들어갑니다. 과연 영어점수 안되는 학생이 수학에 들이는 시간은 어디서 보상받나요? 09.04.26 03:13

이렇게 수학이 필요 없다면 초등학교 수업의 수학부터 모두 없애야 되는것 아니나요 개인적으로 조금 화가 나네요 여태 많은 시간 돈을 들여 투자 했는데... 앞으로 우리나라 미래는.... 09.05.16 13:34
님 주변에 정직한 특레학원이나 선생이 없었다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new17:15
님 주변에 정직한 특레학원이나 선생이 없었다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new17:15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검색
  • 목록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 Total 2,410건 19 페이지
궁금해요 알려주세요~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906 답변글 반둥에서 족자까지 자가용으로 갈 경우 노선 좀 가르쳐주셔요~ 댓글1 첨부파일 kodek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01 8828
1905 Kitas 관련 질문 드려요.. (DPKK) 댓글1 Cint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15 7023
1904 3G 가 가능한 핸드폰으로 실시간 화상통화가 인니내에서 가능한지요? 댓글4 불타는오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04 8058
1903 고수님들...인도네시아 원룸 (꼬스)사업 어떻게 생각 하세요? 댓글5 Boleh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23 10594
1902 꼭 좀 알아야 해서 질문 드립니다. 댓글3 진형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10 11233
1901 싱가폴 키타스비자받기 1박상품 댓글5 kucint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17 8289
1900 궁금합니다 / 뿔라우 쓰리부... 댓글11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03 9253
1899 아반자 연비?? 댓글5 birbinta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14 9576
1898 수라바야로 이주를 하려고 하는데 좀 알려주세요.^^ CHEm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28 6840
1897 삼성 스타폰... 댓글2 미스터풍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07 10411
1896 부모님께 가구를 보낼려고 하는데... 댓글5 인도네시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27 11241
1895 복싱장을 찾습니다 . 댓글7 웅웅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07 9686
1894 방법은 없을까요? 댓글2 무상보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25 8061
1893 생활/문화 인도네시아에서 이혼녀랑 총각간의 결혼 댓글7 유러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17 13590
1892 차량내 냄새 제거 방법좀 알려주세요 댓글12 권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02 9915
1891 한국에 문자 보내는 방법?? 댓글3 까망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10 10020
1890 이명철 사장님 싱가폴 신종플루 접종에 대해 알려주세요. 댓글2 피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20 8244
1889 전화비 절감 방안에 대해 아시는 분....조언 부탁드립니다. 댓글4 뒤집기한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29 7377
1888 친구가 PC방을 창업하려 하는데요.... 댓글10 아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10 8339
1887 Hoobastank공연??? 댓글2 열공모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21 9108
1886 [질문] 인도네시아 희귀 동물시장?? 댓글5 마르티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15 10832
1885 kitas 연장문의 드립니다. 댓글5 까만향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15 10185
1884 취업비자로 키타스받았는데요. 댓글7 도꼬다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27 12643
1883 안녕하세요 몇가지 여쭈어봅니다^^;; 댓글2 화늬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02 7539
1882 카고/택배 전화번호? 댓글3 킹왕짱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11 10230
1881 못된 집주인과 에이젼트 댓글5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24 10295
1880 리뽀 까라와찌에 한달 사용할 아파트 찾습니다.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08 8116
1879 책 "쿠쿨칸의 신전" 하용준 작 전 3권 sulsu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19 9465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