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응무소주 이생기심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843)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감동 | 응무소주 이생기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인니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8.♡.3.172) 작성일09-11-04 13:58 조회3,980회 댓글2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indoweb.org/love/bbs/tb.php/memo/30071

본문

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라 ('응무소주 이생기심')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라...
금강경이 우리에게 주는 참으로 밝은 생활 수행법입니다.
사실 이 가르침 속에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던 그 모든 교리며
실천 수행방법이 다 녹아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말은 어려운 말도 아니고, 삶과 동떨어진 교리적인 차원의 이야기도 아닙니다.
바로 지금 여기, 현실에서 우리들이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를
간명하게 보여주는 참으로 밝은 말씀인 입니다.

이렇게만 생활합시다. 이 한 구절 가슴 속에 가득 품고 살아갑시다.
'머무름 없는 마음' 이 하나면 우리의 삶은 참으로 행복해 질 입니다.

그러나 참으로 어려운 말입니다. 지금까지 살아오던 생활들을
모두 벗어던져야 하는 이기 때문입니다.
꽉 붙잡고 살아오던 '나'라는 을 크게 죽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일상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 하나 하나에 마음을 머물러 두고 세상을 살아갑니다. 그러다보니 세상 살이가 너무나 무겁고 버겁습니다.
모든 경계는 한 순간 인연따라 허망하게 잠시 스쳐갈 뿐인데
그 스치는 허망한 경계를 우린 꽉 붙잡고 살아갑니다.
 
지금까지 수십년, 수억겁을 살아오며 그렇게만 살아 왔으니 어디 힘들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힘들다, 힘들다 하는 도 당연하지요.
놓아야 할 짐들이 너무 많으니 말입니다.

손바닥과 손바닥을 부딪치면 '짝' 하고 소리가 납니다.
그러나 그 짝 하는 소리는 고정된 실체가 없는 법입니다.
손바닥과 손바닥이 마주치는 순간, 그 찰나에 잠시 일어난 일 뿐이며
찰나의 바로 다음 순간 공(空)이 되어 버립니다.
그런데 그 소리에 집착을 한다면 얼마나 우습겠습니까.
'짝' 하는 소리는 본래부터 있었던 이 아니라 손바닥과 손바닥이 서로 마주친다는 인연따라 잠시 왔다가는 일 뿐입니다.

이와 같이 우리 앞에 펼쳐지는 이 모든 경계 또한 잠시 인연따라 왔다가
인연이 다 하면 사라질 뿐입니다. 어디에도 고정된 '짝' 하는 소리가 없듯이 어디에도 고정된 실체라는 은 존재하지 않는 입니다.

먼저 우리가 '나'라고 생각하는 이 그렇고, '상대'라고 생각하는 모든 사람들과, 돈이며 명예, 권력, 지위, 이성, 지식과 같은 우리가 현실에서 추구하는 각종의 경계에서부터, 구체적으로는 눈에 보이는 모든 경계(色界), 귀에 들리는 모든 경계(聲界),
코로 냄새맡아지는 모든 경계(香界), 혀로 맛보는 모든 경계(味界),
몸으로 감촉되어지는 모든 경계(觸界), 뜻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경계(法界)에 이르기까지 이 모든 경계는 어느 하나 고정된 실체가 있는 이 아닙니다.

'짝' 하는 박수 소리와 같이 인연따라 잠시 나타났다가
나타난 사이도 없이 사라지면 그만입니다.
거기에 그 어떤 고정관념을 지을 수도 없고 집착을 두어 마음을 붙잡아 둘 필요도 없는 입니다.

그렇기에 내 앞에 펼쳐지는 모든 대상에 마음을 머물러 집착할 바는 어디에도 없는 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각각의 모든 대상에
제 아상 만큼 '착(着)'을 두고 거기에 마음을 빼앗겨 버립니다.
우리 앞에 펼쳐진 모든 괴로움의 근원이 바로 이입니다.
'착심', '머무르는 마음'인 입니다. 어디에도 집착하지 않아 머무르지 않는다면 괴로울 이 없습니다. 괴로움의 대상이 모두 허망한 임을 안다면 거기에 빠지는 일은 없을 입니다.

순간 순간 일어나는 마음을 잘 다스려야 합니다.
괴롭고, 화나고, 답답하고 그런 마음이 일어나는 은 당연합니다.
'일어남' 그 자체는 어쩔 수 없으며 당연한 입니다.
문제는 그 일어난 그 경계에 머물러 '착'을 두는 데에 있습니다.
마음을 다스린다는 은 어디에도 머물지 않는다는 을 의미합니다.

좋은 , 싫은 을 보고도 그 대상에 마음이 머물면 안됩니다.
칭찬이나 비난을 듣고도 그 소리에 마음이 머물면 안됩니다.
좋은 맛, 싫은 맛에 마음이 머물 필요도 없습니다.
좋은 생각을 계속 떠올리려 하거나 싫은 생각을 지워버리려 애쓸 필요도 없습니다.

화를 내지 말라는 말은 아닙니다. 화를 내되 '화냄' 그 자체에 머물러 있으면 안된다는 입니다.  화냄 그 자체에 휘둘려서는 안된다는 말입니다. 화내는 그 순간 온전히 알아 차릴 수 있어야 휘둘리지 않습니다.
'화'라는 그 비실체적인 마음에 노예가 되어 상대를 질책하고 욕하고 해서는 안된다는 말입니다. 다만 이 상황에서는 화내는 마음을 내어야 하기에 화를 내는 일 뿐입니다.
화가 나서 화를 내는 이 아니라 필요에 의해서 깨어있는 화를 내는 이란 말입니다.  내 분에 못이겨 화를 내고 질책하고
그러는 은 화냄에 머무는 이 됩니다.
그렇게 화를 내고 나면 그 마음이 오래가게 마련입니다.
머물러 있는 마음 때문입니다.

모든 일을 함에 있어 머물러 있지 않는 마음이라야 합니다.
끊임없이 '머무름 없이 마음을 내라'를 되풀이하시기 바랍니다.

포교를 하거나 남을 도와 주고도 포교했다, 도와 주었다는 상에 머물러서는 안됩니다.
절에 가서 기도를 하고도 기도했다는 상에 머물러서는 안됩니다.

내 이름이 세상에 알려질 때에도, 내가 한 일이 크게 칭찬을 받게
되었더라도 함이 없이 한 이 되어야 합니다.
머물러 있지 않음이야말로 생활 속에 있으면서 생활을 초월하고 사는 수행자의 자세입니다.
삶이 고(苦)인 세상 속에서 '삶은 고가 아니게' 살 수 있는 입니다.
머물지 않으면 괴로울 이 없습니다. 머물지 않으면 삶이 여여합니다.
 
마음이 어디에도 머물지 않기에 괴로움이든 답답함이든
붙을 사이가 없어지는 입니다.

머물고 나야 거기에 괴로움이든, 기쁨이든 붙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머물지 않음은 그대로 해탈입니다. 그대로 부처님 마음입니다.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달보는개님의 댓글

달보는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25.♡.207.233 작성일

"마음 내려 놓기" 를 십년 째 화두로 하고 있는 저도 이 모양 이 꼴인데..
 ..
 불교라는 종교는 그야말로 '마음'과의 한 판 게임 승부랍니다
치열한 공부와 인격위에서 정리되어지고 정제되어져서 보석처럼 빛으로 주위를 밝게하는..
그래서 아무나 쉽게 근접할 수 있는 종교가 아니라 거.

"나는 아직도 스님이 되고싶다"고 말한 소설가이자 역사가인 최인호님은,독실한 카톨릭맨이져

엔젤님의 댓글

엔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8.♡.107.47 작성일

그럼,어떡하면 마음이 머물지 못하게 하나요?
마음은 자꾸 머무려 하는데..

손바닥을 짝 치면 손에 아픔이 남아요
통증이 사라질 때 까진 떨쳐버리긴 힘드네요

내 맘을 강물에 실어 볼까요?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4,544건 95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912 감동 김칫국 댓글3 보타니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24 3986
1911 감동 가슴깊이 여훈을 남기는 글들 인니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18 3986
1910 기타 좋아요3 정치관련 글에 대해... 약간의 주절거림..민주주의라는 약간의 양념 … 댓글9 마스메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7 3985
1909 일상 좋아요1 유머--경상도 선생님의 첫 수업 댓글3 ann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29 3983
1908 일상 한국인은 근로법 이없나요? 댓글1 왕발가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20 3982
1907 유머 토끼와거북이 에이츠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26 3982
열람중 감동 응무소주 이생기심 댓글2 인니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04 3981
1905 일상 비자여행 댓글4 hanniba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24 3981
1904 일상 관심분야 - 창업아이템(3d프린터 #1) kumisyo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18 3980
1903 감동 해탈... 댓글2 어스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21 3980
1902 감동 질투를 버려라! 보타니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06 3980
1901 감동 인생을 성찰하는 주관,,, 세상을 바라보는 객관,,, 댓글3 해외돌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27 3975
1900 감동 대충 대충 보타니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16 3971
1899 일상 필립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 드립니다. 댓글3 필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03 3970
1898 일상 주절주절 입니다.. 댓글1 한민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28 3967
1897 일상 인도웹 광고의 땡처리 항공... 댓글2 주피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14 3966
1896 일상 모질라, 25달러짜리 파이어폭스폰 공개 댓글1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2-26 3963
1895 일상 毛竹의 기다림 댓글2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1-27 3962
1894 기타 인니 한인 밴드 베이시스트 및 여성보컬 모집. 댓글5 미소년드러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9-15 3959
1893 기타 부산 부경고 (구: 경남상고) 동문님들을 찾습니다. 인니촌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2-05 3959
1892 감동 독도는 우리땅 20000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07 3959
1891 일상 도서 신간 소개 첨부파일 호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27 3957
1890 유머 42만명이 투표한 라면 끓일 때 "생수vs수돗물" 논란 니니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4-24 3954
1889 일상 남자와 여자 2 미치건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2-05 3953
1888 일상 엡손 프린터 수리기 댓글2 따시기듀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15 3951
1887 감동 좋아요1 코로나로 지친 마음, 좋은 음악으로 달래보아요 대감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3-26 3949
1886 일상 이 세상에 내 은 하나도 없습니다. 댓글7 디까르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5-24 3948
1885 감동 九月의 길목에서 댓글3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23 3948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