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Cibodas의 가을과 함께 하는 과일... 방꽝(Bengkuang)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646)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기타 | Cibodas의 가을과 함께 하는 과일... 방꽝(Bengkuang)

페이지 정보

작성자 SO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3.♡.236.245) 작성일09-04-30 20:06 조회8,140회 댓글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indoweb.org/love/bbs/tb.php/memo/32797

본문

나는 이 과일을 Cibodas와 함께 기억 합니다.

뿐짝의 고갯길을 넘어 10분 남짓을 가다 보면 한국 가을의 풍경을 연상케 하는 식물원이 하나 있습니다. Cibodas 식물원 입니다. 새벽 일찍 출발 하여 해발 1,000m의 산중에 자리 잡은 이 곳을 한 바퀴 돌고 나면 정신이 맑아 지고 마음을 씻은 듯한 느낌이 듭니다.

이 식물원의 입구에는 과일과 야채를 파는 가게가 도로를 따라 즐비한데 이 곳에 유달리 이 방꽝(Bengkuang)이라는 과일이 많습니다. 가파른 길을 한 바퀴 돌아와 약간의 갈증이 느껴질 때 이 과일을 배어 무는 느낌은 특별 합니다.

한 순간에 갈증을 희석 시키는 이 과일은 비단 수분이 많아서만은 아닙니다. 이 과일이 갖고 있는 특별한 느낌이 부족한 무엇을 채워 주는 신비로운 것이 아닌가 생각 됩니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우리 몸의 기관인 방광을 연상 시키는 이 과일은 과일이라기 보다는 그냥 고구마나 감자처럼 무슨 나무 뿌리 같기도 합니다. 한국에는 이 과일이 없어 우리 교민들에게도 처음 접하게 되는 과일이지만 결코 낯설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학명으로는 Pachyrrhizus Erosus라 불리는 이 과일은 우리가 잘 알고 잇는 감초, 황기, 초결명, 칡 등과 함께 종자식물문(Spermatophyta),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콩과(Leguminosae) 식물에 속합니다. 미국이 원산지 이며 17세기경에 마닐라를 거쳐 인도네시아로 들어온 외래 과일 입니다.

생김새는 팽이처럼 꼭지를 세워서 돌리면 금방이라도 뱅글뱅글 돌아갈 것 같은 형상으로, 팽이 모양 또는 복 주머니를 부풀려 놓은 모양 입니다.  껍질은 옅은 나무색 이며, 얇으면서도 섬유질이 그대로 느껴지는 엷은 나무 껍질 같은 옷을 입고 있습니다. 그 결을 따라서 살짝 벗겨 내면 되니까 껍질 까기는 아주 쉬운 과일 입니다. 껍질을 벗겨낸 후에 그 육질을 보면 그 색깔은 하얗고 맑은 느낌을 주고, 사각사각한 맛이 느껴지는 를 보는 듯 합니다. 또 맑고 밝은 백색 미인의 피부가 느껴 집니다.

방꽝은 무나 배처럼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땅 속에 있을 때도 주변의 토양을 촉촉하게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 맛도 보이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아 잘 익은 방꽝의 맛은 달고 시원해서 무와 배를 섞어놓은 듯한 맛이 납니다.

 

 

이 과일을 한의학적 시각으로 살펴보면 성미가 한() 무독(無毒)하며, (), 미산(微酸)하며 수태음폐경(手太陰肺經),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수양명대장경(手陽明大腸經)과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으로 들어가 청열해독(淸熱解毒), 생진윤조(生津潤燥), 이수소종(利水消腫) 하는 효능이 있어 열병 치료와 각기병, 피부병 등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 한성(寒性) 강하므로 중초(中焦)와 하초(下焦)의 수습운행(水濕運行)을 도울 수 잇으며, 약한 산미로 인하여 진액의 생성을 도울 수 있으니 조열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 폐경의 수액대사(水液代射)를 도와 <?xml:namespace prefix = st2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smarttags" /><?xml:namespace prefix = st1 ns = "urn:schemas:contacts" />기순환(氣循環)을 원활하게 하니 이수(利水), 소종(消腫)하게 됩니다.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방꽝을 삼벌 루작(Sambal Rujak)이라는 것과 함께 즐겨 먹습니다.

방꽝을 삼벌 루작에 찍어서 먹으면 매콤한 듯, 새콤한 듯, 달콤한 그 맛에 아삭아삭한 것이 목구멍을 넘어 속을 시원하게 풀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삼벌 루작(Sambal Rujak)은 고추, 소금, 흑설탕 그리고 아삼 자와(asam jawa)를 잘 섞은 소스인데 매콤, 새콤, 달콤하여 방꽝의 시원한 맛과 잘 어울려 더운 날씨에는 꽤 특별한 별미 역할을 합니다.

또한, 방꽝에는 비타민B1 과 비타민 C가 충분히 함유 되어 있어 그 맛과 함께 자연 그대로의 비타민을 듬뿍 섭취할 수 있는 좋은 과일 입니다.   

 

인도네시아 사람들에게 방꽝은 미용을 위한 좋은 과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방꽝을 갈아서 압착시킨 후 솜처럼 만들어 펴서 바르면 피부를 우유빛처럼 맑고 하얗게 만들어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검고 잡티가 많은 피부를 깨끗하게 만들어 주는 효과가 있어 피부미용을 위해서 여인네들에게는 특별한 용도로 사용 되며 많이 애용되고 있습니다. 검은 톤의 피부로 인해 미백의 욕구가 큰 이 나라 여성들에게 사랑 받는 과일 이 아닐 수 없습니다.

방꽝의 피부 미용에 대한 효과는 한국미용기능식품연구회에서도 발표된 바 있는 것으로 미용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기에 충분한 과일이라 하겠습니다.

 

방꽝은 피부 미용에 대한 효능과 더불어 피부병 치료에 대한 효험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작은 수포가 집합하여 피부 표면에 나타나는 급성 바이러스 감염증의 하나인 Herpes simplex(단순포진)을 치료하는데 방꽝의 육질과 방꽝의 씨를 갈아서 사용하면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방꽝은 열병, 당뇨병, 복통, 각기병을 치료하는 데 좋은 효과가 있다고 하니 그 쓰임새만 보더라도 다양 합니다.

 

방꽝을 구입할 때는 겉 표면이 지나치게 건조해 보이는 것은 좋지 않으며, 싱싱해 보이는 것으로 껍질에 윤기가 있어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 색깔은 밝은 나무색이 좋으며 들어 보았을 때 알찬 느낌이 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위 아래 꼭지 같은 부분이 말라 있지 않은 신선한 것이 맛있습니다.

아주 달거나 시거나 하지 않는 다소 밋밋한 맛이라 껍질을 까서 꿀에 살짝 찍어 드시면 맛이 더 좋습니다. 보관은 신문지에 싸서 냉장고에 시원하게 보관 하시면 됩니다.

     

한국의 가을에 잘 익은 를 연상 시키는 방꽝,

껍질 속에 숨어 있는 백색의 아름다움을 한 번 느껴보시는 것이, 인도네시아에 다가서는 작은 걸음이 되지 않을까요?

==============   Copyright@자카르타 솔한의원  ========================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40건 86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860 [브랜드평판] 은행 브랜드 빅데이터 7월 조사...1위 국민은행, 2… ger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31 3035
3859 일상 이것은 불법 입니까..아니면 횡포 일까요? 댓글63 쇼팽2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01 7451
3858 극한직업 - 카메라맨 hanma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17 2991
3857 자동차 메이커 별 국가간 워런티 정종헉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30 3929
3856 일상 은근히 짜증나는 광고 입니다. 댓글8 보물지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29 6365
3855 일상 자칼타 20대후반~30대 중반 친구 구해용 댓글15 wlgus7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6-23 6614
3854 일상 날 보면 무슨 색이 떠올라? 댓글4 myungh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13 4743
3853 일상 좋아요6 [미대선] 지금껏 본 적 없었던 것들 댓글5 beautici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9 4550
3852 일상 세공관련문의 댓글1 짱구9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22 4177
3851 일상 "국산이 다 그렇쵸 뭐"? 댓글4 thsk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04 4623
3850 기타 인니에서 주식 또는 배팅 즐기는 분 클릭해주세염 Jakartaboy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1-11 7713
3849 일상 “배추값 폭등 4대 강 탓” 외치던 그들 … 값 떨어지자 “기상이변도… balijo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16 4202
3848 일상 바람소주 12월27일 경품결과가 나왔습니다!! BARAMSOJ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27 4782
3847 기타 LCF 가상화폐 무료얻기 pachir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11 3473
3846 일상 싱가폴 하늘 투어 이 명철 사장님 보셔요~~ 댓글10 eskri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06 9521
3845 기타 <박원순 서울시장 초청 간담회> 장소 변경 안내 댓글1 LukeJPAR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5-15 3846
3844 일상 [문의] 한국-이란 TV 중계 알려주세요. 댓글4 기계쟁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21 6501
3843 일상 필립의 넋두리3 댓글6 필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04 6629
3842 기타 한국어 가르쳐 주실 선생님 찾습니다. 양념반후라이드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11 2677
3841 푸념 푸념 -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살아가야 잘사는 것인지... 댓글3 현성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22 4857
3840 일상 목똥남...? 혹시 들어보셨나요? 댓글3 한마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02 4662
3839 일상 無限 폭탄--核폐기물 댓글1 장동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30 5551
3838 일상 한국 방문시 한국선불폰 구입~공항임대폰 절대 쓰지 마세요!! 댓글2 첨부파일 호도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15 9587
3837 일상 제3회 재인니 교민연합 배드민턴 대회 공지(일정 수정) 첨부파일 평생교육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23 7635
3836 일상 타임 100인, 비 레드카펫 밟다 댓글2 ILOVEKORE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27 4251
3835 일상 왼쪽 강아지 조심해 댓글1 깜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11 5046
3834 기타 "항상 곁에 있겠습니다" 카메라로 지킨 50년 전 고백 독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2-21 2887
3833 일상 한류 연예인 공연 사기극 조심 댓글1 물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01 4292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