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택견 -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667)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택견 -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3.138) 작성일14-04-12 12:45 조회7,142회 댓글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361262

본문


한민족 무예 뜨거운 魂을 뿜어내다
택견 정경화 인간문화재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에 유일하게 등재된 무술
품밟기·활갯짓·발질 속 전통문화의 멋·가락·해학 담겨




택견전수관의 수련생들. 필자 제공


정경화 인간문화재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1983. 6. 1)된 택견은 세계 각국의 수많은 무술 가운데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으로 유일하게 등재(2011. 11. 28)된 우리의 전통무술이다. 유네스코는 한국 문화재청의 다음과 같은 지정 사유를 등재 요건으로 받아들였다.

▲ 손발과 몸동작이 유연해 근육 움직임과 일치하고 자연스럽게 공방할 수 있다.
▲ 무용·음악적인 신체 리듬이 고도의 예술성을 지닌 유희로 평가된다.
▲ 상대방 결점을 찾아내 손쉽게 승부를 내며 공격보다 수비 위주의 호신술이다.
▲ 2000년 넘는 전통을 지니고 있으나 계승자가 거의 인멸 상태에 이르렀다.
▲ 택견의 단절을 미연에 막고 보존·전승시켜 민족전래의 전통무예로 육성함이 바람직하다.

사학자들은 택견의 역사를 고조선시대 부족공동체의 제천의식에서 찾고 있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택견 동작으로 삼국시대는 이미 일반에 널리 성행했음을 알 수 있고, 고려 때 무과시험엔 택견 겨루기가 필수였다는 기록이 있다. 단재 신채호(1880~1936)는 그의 저서 조선상고사에서 ‘택견이 중국에 들어가 권법(拳法)이 되고 일본에 건너가서는 유도(柔道)가 됐다’고 기술했다.

이처럼 한민족 고유의 무예로 자리매김해 온 택견은 조선조의 문을 숭상하고 무를 천시하는 숭문천무(崇文賤武) 정책으로 수난을 겪었다. 임진왜란 때는 백병전에 대비한 군사무술로도 훈련시켰으나 차츰 명절맞이 세시풍속의 민중오락으로 변형됐다. 단오나 백중놀이의 마을 대항 경기로 세속화돼 버린 것이다.

일제강점기는 더욱 큰 위기로 내몰렸다. 유도를 제압하는 택견의 위력에 놀란 조선총독부가 의도적 말살정책을 편 것이다. 자칫 사라질 뻔했던 택견의 맥이 운암(雲岩) 정경화(鄭景和·61) 인간문화재(1995. 6. 1 지정)로 이어지기까지는 수많은 우여곡절이 뒤따랐다. 죽음을 뛰어넘은 운암의 사생결단이 택견을 되살려냈는가 하면 분파에 따른 갈등으로 내홍을 겪기도 했다.

충북 충주시 교현동에서 태어난 운암은 현재도 충주시 연수로에 살며 충주 전국택견총전수관 관장으로 재직 중이다. 육사·공사·동덕여대·경희대에서 택견을 가르쳤고, 현재는 매주 목요일마다 서울대 체육교육과에서 전통무예를 특강한다. 그는 경희대에서 체육학 석사를 마친 학구파로 한국 택견의 현대사를 집필 중이다.

1930년대 서울에서 택견하는 청년들은 윗대패(박털백→송덕기), 왕십리패(임호→신재영), 구리개패(박무영→김홍식)의 3개 패가 주도권을 다투며 무예를 겨뤘다. 택견의 2대 중흥조인 송덕기·신재영·김홍식은 타협 끝에 송암 신한승(1928~1987·택견 초대 인간문화재)에게 모든 비법과 기예를 통합해 전수했다. 송암이 충주경찰서 호신술 사범으로 부임하면서 경찰서 뒤에 살던 운암과의 만남은 이뤄졌고, 1974년부터 송암도장에 가 정식으로 배웠다.

“고교 때 밴드부에서 악기를 불었는데 어느 날 갑자기 각혈을 했습니다. 병원에 가니 당시로는 사형선고나 다름없는 3기 폐결핵이었어요. 6개월 넘게 약을 먹었지만 차도는 없고 죽음이 눈앞에 어른거렸습니다.”

어머니는 “다 키워 놓은 자식 놓치게 됐다”며 운암을 보기만 하면 통곡했다. 며칠을 골방에 틀어박혀 고민하던 16세 소년이 결심했다. “병든 몸으로 불효하느니 차라리 아무도 없는 산속에 가 혼자 죽자.” 이튿날 부모님께 큰절로 하직하며 “저승에서 다시 만나 효도하겠다”고 집을 나온 뒤 풍류산 개천사에 들어가 죽음을 준비했다.

생식이 몸에 좋다고 들은 운암은 산등성이를 밤낮으로 넘나들며 잔대·도라지·칡뿌리 등 약초를 캐서 먹었다. 송암한테 배운 ‘서거라’ ‘섰다’ ‘이크’의 택견 기합소리를 내지르며 날렵한 몸동작으로 고산지대를 오르내렸다. 그 세월이 2년. 어느 날 주지스님이 운암의 얼굴을 보더니 “다 나았으니 하산하라”고 했다.

이후 운암은 덤으로 얻은 제2의 인생을 오직 택견만을 위해 살며 충주가 세계의 택견 성지로 발돋움하는 데 헌신해 왔다. 송암도장에 나가며 기예를 더욱 연마하고 택견의 이론·용어 정립에도 힘을 쏟았다. 이수자인 아들(정연중·32)과 박만엽(55)·박효순(49) 전수조교 외 운암의 지도 아래 장·단기 수련을 거쳐 배출된 문하생은 1000명이 넘는다.

일반인들은 택견과 태권을 혼동하거나 구분 못 하는 경우가 많다. 삼국시대부터 택견은 수박(手拍) 또는 수박희(手拍戱)란 명칭을 썼고 발을 주로 행한다 하여 각희(脚戱)로도 불렸다. 조선 후기 이만영이 편찬한 재물보(1798)에 탁견(托肩)이란 기록이 전한다. 2011년 8월 31일 국립국어원에서 태껸과 함께 복수 표준어로 인정했으나 문화재청의 지정 명칭은 택견이다.

택견의 기본동작은 굼실굼실한 곡선에 두고 있으며 순간에 걷어 올려 튀기는 탄력이 파괴적이다. 활갯짓하며 앞으로 나가는 걸음걸이는 흐느적거리는 수양버들같이 금방 꺾일 듯하다. 얼핏 춤을 추는 것과도 흡사하나 내공에 엄청난 힘을 품고 있어 손·발질이 뻗치는 순간 한꺼번에 힘이 실려 상대방을 절명시킬 수도 있다. 

반면 태권은 1950년 들어 소리가 비슷한 한자로 바꿔 놓은 태권(跆拳)이란 조어가 널리 퍼진 것이다. 점차로 태권도란 명칭이 일반화돼 고정되기에 이르렀고 동작의 기본이 절도 있고 명확하다.

“택견에는 우리 전통문화의 원형인 멋·가락·해학이 품밟기·활갯짓·발질 속에 녹아 있습니다. 위계표시도 타 무술에서 사용되는 ‘급’이나 ‘단’ 대신 ‘째’나 ‘동’을 사용해요. 이는 한민족 고유의 얼이 깃든 선비정신과도 상통합니다.”

운암은 아시아·북미·유럽 등지의 해외수련과 지도자 연수를 통해 많은 택견인들을 양성해 냈다. 미국·덴마크·노르웨이·우즈베키스탄에는 현지 전수관을 두고 우리 전통 택견의 세계 전파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그들 모두가 한국 전통문화의 전령사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현재 수백 명의 택견 전수자들이 전국 800여 개 전수관에서 수련생을 배출하고 있지만, 이들 모두가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다. 태권도·유도·검도는 학교 정식과목으로 채택돼 입시나 입사시험에 가산점이 인정되지만 택견은 제외된 상태다. 

<이규원 시인·‘조선왕릉실록’ 저자>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6,240건 57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672 일상 한국에서 생활하다 문득...... 댓글11 요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4-27 9878
4671 기타 종류별 술 다이어트 댓글1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28 5522
4670 일상 최신곡 하나 올려 드립니다.. 댓글2 첨부파일 세상아덤벼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17 7618
4669 기타 신종불루,싸스등 온역의 특효예방약공개 스리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11 4768
4668 일상 아시안컵 대회 18일 인니전에 대하여.. 댓글2 뚜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04 6807
4667 기타 튼튼한 위를 유지하려면 댓글2 traditiona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31 5465
4666 일상 찌까랑에서 저랑 놀아주실분~! 댓글7 호박마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01 10158
4665 기타 척추 교정하는곳. 댓글1 cat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0-17 6278
4664 일상 인도네시아 노래 고음질 - 3탄 댓글5 첨부파일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29 10894
4663 기타 ■ 생강식초의 놀라운 효능 댓글5 천연삶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7 11438
4662 일상 [유머] 웅담 해프닝 댓글4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20 7884
4661 기타 콩 에는 이소플라본 여성호르몬이 없다 드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01 5776
4660 일상 기막힌 우연.....퍼옴 댓글2 인도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17 5952
4659 답변글 기타 도움이 되셨으면.... 댓글2 sarahmo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07 5039
4658 일상 세계에서 제일 튼튼한(?) 식탁..ㅋㅋ 댓글1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15 6300
4657 기타 老眼 - 어떻게 대처하나? 댓글1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22 3583
4656 일상 12월인뒤..크리스마스 분위기내는데 도움되는것들 - 바탕화면, 미디배… 댓글5 첨부파일 sea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01 6322
4655 기타 술 커피 초코렛의 장단점 댓글3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30 5487
4654 일상 소주 진짜루 알고싶슴다. 댓글6 jaka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10 13540
4653 기타 소박한 식탁 댓글4 엔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03 4493
4652 일상 사랑하는 아들아! 댓글3 보타니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30 6743
4651 기타 손가락운동으로 건강 되찾기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17 3754
4650 일상 빠징꼬~~ 대박... 댓글6 미스터풍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30 8748
4649 기타 잇몸건강에 좋은 뜨물라왁TEMULAWAK 댓글3 네남자와홍일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04 3762
4648 일상 2007년 개미와 베짱이 5탄 댓글1 여기인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23 6211
4647 기타 지방과 암세포를 태우는 식품들 댓글2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27 2907
4646 일상 맞춤법과 띄어쓰기? 띄워쓰기? 댓글3 보타니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16 11785
4645 기타 "사우나서 ‘핑’ 도는 느낌...‘돌연사’ 위험신호" 댓글2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21 4118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