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한일마트에서 생긴 일...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032)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일상 | 한일마트에서 생긴 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matakecil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34.197) 작성일13-12-09 15:04 조회6,353회 댓글16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344353

본문

지난주에 땅그랑 한일마트에 가니
짜짜로니를 할인 하길래 꼬맹이가 좋아하기도 하여 5개 들이

한 봉지를 사 와서 집에서 끓여 먹었는데 이상한 냄새가 나서

봉지에 적혀 있는 유톨기한을 보니 지난 10월 까지 였다.

그래서 몽땅 다 버려야만 했다.

그리고 1주일이 지난 어제 다시 한일마트에 가니 아직

동일한 제품을 팔고 있어

현지 점원에게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을 왜 팔고 있냐고 물으니

주인이 팔라고 했다네요.

그래서 내가 지난번에 사 갔다가 다 버렸다니까

가져오면 바꿔준다나...

사람이 먹는 음식인데 물론 아깝지만

먹지도 못하는 것을 알고도 판매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

경악을 금치 못했다.

주인을 찾으니 자카르타에 있다고 하고...

예전에는 유통기한이 적힌 것을 지우고도 팔더니만...

한일마트 주인님!

먹는 것은 장난 좀 치지 말아 주세요.

정말 아까우면 유통기한이 남아 있을때

좀 싸게 팔면 좋지 않을까요???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인젝션님의 댓글

인젝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6.♡.47.10 작성일

ㅋㅋㅋㅋㅋ 참 신선한  사고방식이네요..한국 제품 먹고싶어하는 교민들 위해서 하는 자선사업성의 사업인가요? 유통하시는분들이??  여기 문제점 모르시고 사업시작한 반년정도 되신분들인가요? 세관의 문제점은 이미 잘아시리라 믿고 사업하신다 생각되는데 그런 리스크를  알고 사업하시는분들이 아니라면 정말 사업수완이 없는 무능력한 분들이시겠죠 이미 그 리스크를 알고 사업하시는분들이면 대책을 강구 하고 이윤을 남기시는게 맞지 그걸 이윤창출하게 하는 소비자가 뜯어보고 확인해보고 하라니...ㅋㅋㅋㅋㅋㅋㅋㅋ유통기한 넘어도 냄새안나면 먹다니 ㅋㅋㅋㅋㅋㅋㅋ 유통기한 뜻 모르시는듯???

짱짱짱님의 댓글

짱짱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7.♡.7.74 작성일

벌써 수년전부터 지금까지 같은 방법으로 물건을 팔고 있습니다. 아무리 말을 한 들 바뀌는 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주로 무궁화를 이용합니다만 한일마트를 이용해야 할 때는 유통기한 확인합니다. 지났거나 없는 것은 아무리 90% 세일을 한다해도 사지 않습니다. 불행하게도 인도네시아는 소비자가 일일이 확인하면서 물건을 사야 하네요..

강남style님의 댓글

강남styl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2.♡.181.178 작성일

전 무궁화 애용자인데.  붉은색 장바구니 좀 깨끗하게 닦았으면 좋겠습니다.  너무 지저분합니다. 노는 애들 놔둬 모하는건지 모르겠슴... 안습입니다.

PakJeong님의 댓글

PakJeong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39.♡.50.59 작성일

세관의 문제는 없어야 합니다. 문제가 있다는 것은 비 적법한 수입으로 걸렸다는 얘기밖에 안됩니다. 현지 유통업체는 2-3개월 남은 것 모두 반품조치 합니다. 이건 한인마트들의 양심 문제죠.

 모든 수입식품은 수입업자 정보가 인쇄 또는 스티커로 부착되어 있으니 잘 확인해 보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지훈맘님의 댓글

지훈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36.♡.126.177 작성일

자카르타 한일마트는 싱싱한 상추도 직접 재배하는지 상추도 너무 좋고 고추도 연해서 너무 맛있고
시금치도 한국산처럼 작고 싱싱한 걸로 팔고.. 전화해서 야채를 새로 왔다고하면 전 거기로 가서 장을 봅니다.
땅그랑 한일마트는 어쩌다가 ㅠㅠ.. 여튼 자카르타 한일마트를 옹호하다기보다 자카르타 한일마트는 아주 잘 애용하고 있으니 아쉬운 입장에서는 고마울뿐~~~..

마운틴갱님의 댓글

마운틴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3.♡.63.122 작성일

냄새가 나면 괜찮고 냄새가 안나면 괜찮지 않다는 말씀이 선뜻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후각의 사람마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후각이 발달한 사람은 냄새 식별에 뛰어날지 모르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은 그냉 먹게 됩니다. 그래서 문제가 될 때를 대비해서 제품에 유통기한을 적어 눈으로 제품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치가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유통기한이 조금 지났다고 해서 다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문제가 생길걸 알면서 위험하게 먹기엔 좀....더군다나 라면이나 과자라면 주소비자층은 아이들이 될 수도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아이들 그리고 소비자를 생각한다면 일부 손실을 감수하고라도 지난 제품은 판매를 하시지 않는게 좋을 듯 합니다. 소비자들에게 선택궈늘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유통 기한이 지난건 폐기를 하는 것이 미래를 보신다면 더 올바른 판단이 아닐까 합니다. 유통 마진에 이런 부분도 포함이 되어 가격이 결정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게 많은 손해는 아니실거라 봅니다.
그리고 재고 관리를 어떻게 잘하시느냐가 성공의 지름길 이시겠지만 차라리 이런 상황에서는 조금 덜 팔더라도 재고를 조금 줄이는게 이윤 극대화를 위한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마음 편하게 먹을 수 있는 그날을 기다리며.....

댓글의 댓글

마스메라님의 댓글

마스메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82.♡.52.165 작성일

절대적으로 동감합니다. 비록 유통구조의 문제나 세관의 문제로 폐기해야 할 손실이 있겠지만, 이러한 손실을 감안하고, 고객의 건강과 상도를 지키는 모습을 비추면서 고객분들의 신뢰를 얻는다면, 더 큰 이익을 얻을수 있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고, 보편적인 상도라고 봅니다.
고객이 일일히 뜯어서 냄새를 맡아보고, 구매여부를 결정하는것은 판매처에서 지향해야 하는 모습은 아닌것은 확실합니다. 솔직히 유통기한 역시 지우고 다시 한다는 이야기가 돌 정도로 신뢰가 많이 없어진것도 사실입니다(사실 여부를 떠나서요.. 개인적으로는 아니길 바랍니다). 특히 냉동식품의 경우는 유통기한 자체가 없는것도 많다고 하더군요...(판매직원왈, 냉동식품이라 유통기한이 없다는 말도 안되는 썰을 푼 곳도 있다고 하지요).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이 무조건 상하거나 문제있는것은 아니라고 하는 이야기도 있지만, 유통기한이라는 것 자체가 어떤것인지를 생각해 본다면, 열에 아홉이 괜찮더라도, 하나가 문제되면 큰 문제로 발생할 수 있는 식품관련이라는걸 볼땐, 언제나 안전책으로 생각하는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물론 이는 철저히 소비자의 입장에서 말씀 드린것이고, 유통업체나 슈퍼등에서는 나름대로 고심과 고충이 있으리라는것은 다는 모르지만, 그래도 이해는 합니다. 그렇다고 그것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것은 아니라는것은 확실하다고 보고요..

네째님의 댓글

네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39.♡.169.134 작성일

무궁화에사 사도.한일마트에서 사도ㅡ과자나 라면이
냄새나는경우 있더라구요 심지어 컵라면에 곰팡이가ㅠ

마스메라님의 댓글

마스메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82.♡.49.180 작성일

제 개인적인 의견은 그렇습니다. 한국처럼 걸어서 왔다갔다 할수 있는 거리도 아니고, 다들 먼 거리에서 한국슈퍼 들려서 구매하는데, 그자리에서가 아닌 이상 다시 교환을 위해서 그 먼거리를 다시 오기도 힘들죠...
믿고 사는 풍조가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 합니다.
물론 떨이로 판매하는거에 boleh 님 제안처럼 어떤 경고나 참고문구가 있다면, 그것을 감안하고 구매하였을경우는 다르겠지만, 위 사항은 직원 이야기를 근간으로 해서 주인분께서 유통기한이 지난것을 알면서도 팔라고 내놓았다는 것이 문제라고 봅니다. 세관에 오래 묶여 있던, 유통구조에 문제가 있던 그것까지 소비자가 신경쓸수 있는 사항은 아니라고 봅니다. 유통기한이 지난건지.. 지우고 새로한건지... 이렇게 일일히 소비자가 따지면서 구매해야 한다면 이미 신뢰를 잃어버린거 아닌가 싶네요...  판매제품은 유통기한내 문제없는 제품이라는 서로간의 신뢰가 쌓여야 하는거 아닌가 싶습니다.

유통구조와 통관상의 문제로 유통기한이 지난 제품이 들어올수 밖에 없는것이라면, 이는 판매자측에서 개선해야 할 사항이지, 소비자에게 이해시킬 사항은 아니라고 봅니다. 이미 구매한 제품이니 버릴순 없고, 손해볼수 없으니 몰래 파는건 상도덕이 아니지요..

boleh님의 댓글

boleh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2.♡.163.20 작성일

장사하는 사람들만 아는 고충이겠죠....

저는 한일마트에 파는 묶음 과자와 묶음 라면 종종 사먹을 때가 있습니다.

대신 유통 기한 또 지난거 알고 있어서 종업원한테 ~ 물건 뜯어볼께 유통기한 지난거 맞지..

그럼 종업원 betul 또는 boleh....그리고 냄새 안나면 나 사먹는다... 뜯어보고 냄새 나면 야 버려랴 팔지마..
그리고 냄새 안나면 신속히 빨리 끓여 먹습니다.

땅그랑에만 8년째 살고 있어서 4년 동안은 matakecil 님 처럼 유통기한 지난 식품등 저도 불만 가지고 따지고 그랬는데
인도네시아 베쭈까이 세관 시스템이나 유통하는 식품과 고기등에 대한 어려운 점을 알게 되면서 조금 이해하고 사먹습니다.......

이 글 보시는 분들은 땅그랑 무궁화와 한일마트 서울마트 등 제품 이상 있음 교환 가능 합니다.
저는 한일마트 사장님 잘 모르고 땅그랑 교민으로서... 교민들끼리 서로 이해하고 살기 바라는 뜻으로 한일마트 사장님.. A4 프린터 용지로 예쁘게 죄송합니다. 손님 유통기한 지난 제품입니다. 대신 먹는데 문제 없어서 확인하고 팔게 되었습니다. 이런 솔직한 문구라도 붙여 있더라면 소비자가 화 나고 분한게 덜 하겠죠..

마스메라님의 댓글

마스메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82.♡.49.180 작성일

허... 물건 살때 유통기간 일일히 확인하는게 소비자의 몫이 되어버렸군요... 마트 입장에선 안걸리면 세뻑~~ 이건가요?? 쥔장이 팔라구 그랬다라... 상도덕은 어디로 갔는지...

마운틴갱님의 댓글

마운틴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3.♡.63.122 작성일

음식 갖고 장난 하는 사람들은 전부 총살을 시켜야 할 듯...그렇게 아까우면 자기 가족들 먹이던가요....

댓글의 댓글

boleh님의 댓글

boleh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202.♡.163.20 작성일

저는 직딩이지만 회사 그만두면 유통 쪽 해볼려고 관심 가지다가 인도네시아 세관 문제점과 식품료와 수입 제품들 특히 소주 수입 해오는 것 정말 어렵더군요. 특히 12월 되면 연말 제고 조사하는 것 처럼 현재 딴중 쁘리옥에 잡혀 있는 컨테이너들 평소의 3~4배 엄청 나게 많습니다. 그 제품들이 식품이면 유통기한 6개월도 안되는 라면과 1년도 안되는 막걸리등... 물건 빼오면 벌써 유통기한 한달 남거나 이미 유통기한 지난 제품들로 판매하는 유통업 하시는 분들의 고충...

문제가 참 많더라구요... 음식 장사 하시는 분들 총살 하는 것 보다 인도네시아 수출입에 대해 한번쯤 관심 가지고 보시는게 더 좋을 듯 싶습니다.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4,792건 31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952 일상 2012년 1월 2일 떡만두국 같이 드실 분... 댓글6 wolf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19 5386
3951 일상 인터넷tv 댓글1 addon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27 5216
3950 답변글 일상 혹시... 댓글1 가로세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03 4110
3949 일상 족 자카르타 가는 심야버스? 댓글1 풀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09 3958
3948 일상 중고차! 댓글8 첨부파일 jackkim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03 4019
3947 일상 한국어 = > 인도네시아 번역!! 댓글3 서핑보드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06 5311
3946 일상 왔다 장보리!!!넘넘 잼있어욘^^ 댓글1 김장포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14 6529
3945 일상 세월호관련 요새뉴스들보면 댓글21 해인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5-01 5780
3944 일상 욕심많은 일본 돼지 댓글3 첨부파일 스마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26 6500
3943 일상 질문있습니다! 댓글1 쿨가이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28 3813
3942 일상 추천합니다 댓글7 준치박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23 6049
3941 일상 국제학교 SIS의 위안부 뉴스클립과 관련한 사과 문제- 댓글22 인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9-02 6646
3940 일상 홍수 때문에... 댓글12 첨부파일 연평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1-18 6425
3939 일상 대구 영신고등학교 동문님을 찾습니다 댓글2 산이조아요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3-22 5620
3938 푸념 한국의 달걀대란에 대한 인도네시아 교민의 준비는 뭘까요.. 댓글3 digitalande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8-20 4271
3937 일상 인도네시아 어떻게 가야 하나요? 댓글10 필승코리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4-19 4511
3936 일상 인도네시아에서 일어난 사건을 한국에서 제소할수있어요? 댓글5 맹순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02 4887
3935 일상 EMS 세금 관련 댓글9 이런일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6-15 5702
3934 일상 요즘에 골프치고 캐디 팁 얼마씩 주나요??? 댓글15 따시기듀공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05 8067
3933 일상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 차이점 ~ 댓글5 intim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7-24 7264
3932 일상 박정희와 중앙정보부장들 1 댓글3 malik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08-04 3864
3931 일상 전기충격기 샀음 댓글26 첨부파일 해인아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4-01 12388
3930 일상 어느 회사 인지 아시는분? 댓글15 ArirangM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0-31 7461
3929 일상 구직관련..한마디만 남깁니다. 댓글8 보라돌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04 6643
3928 일상 재 인니 대한검도회를 만들려 합니다. 댓글5 국검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11-19 4881
3927 일상 일본 기업들의 몰락 댓글4 1500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5-14 8082
3926 일상 [펌] 대선 결과에 대한 칼럼. 댓글4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6 6947
3925 일상 아파트 관리비 유용... 댓글8 짜리짜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9-22 7788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