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고암 큰스님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677)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감동 | 고암 큰스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인니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195.12) 작성일09-04-18 10:34 조회4,486회 댓글4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indoweb.org/love/bbs/tb.php/memo/29613

본문

   우리나라 불교 대표종단인 조계종단에서 종정(宗正)의 자리에
                  오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이 지고지엄(至高至嚴)한 종정의 자리에 한번도 아니고
                  세 번이나 추대된 분이 계셨으니 바로 그 분이 윤고암(尹古庵)
                  큰스님이셨다.

                  1899년 경기도 파주에서 태어나 1988년 가야산 해인사에서
                  열반한 고암스님은 19세에 해인사에서 제산 스님을 은사로
                  출가한 이후 무소유, 무집착, 자비보살의 화현으로 한평생을
                  사셨고, 그 덕화로 종정의 자리에 세 번이나 추대될 수 있었다.

                  고암 스님은 말 그대로 욕심이 전혀 없는 분이었다.
                  흔히 불가에서는 무소유, 무집착, 무차별, 자비보살이라는 말로
                  사람을 칭찬하지만, 고암 스님이야말로 무소유, 무집착, 무차별,
                  자비보살이라는 말에서 한치 한푼도 어긋남이 없는 그런
                  스님이셨다.

                  어느 사찰에서 보살계 법문을 내리시고 법사료 봉투라도 받으시면
                  형편이 어려운 사찰임을 헤아리시고 주지스님 모르게 법사료
                  봉투를 법단에 올려 놓고 나오시는 분이었다.
                  형편이 어렵지 않은 사찰에서 법문을 하시고 봉투를 받으시면
                  그 돈은 곧 제자들의 몫으로 돌아갔다.

                  “스님, 저 부산에 좀 다녀오고 싶습니다. 노잣돈 좀 도와 주십시오.”
                  어떤 제자건 고암스님께 이렇게 말씀드리면 스님은 두말없이
                  있는대로 꺼내어 주었다.
                  봉투에 담긴게 있으면 봉투째 내 주었다.
                  고암스님은 누구에게 돈을 줄 때 한 장, 두장, 돈을 헤아려서 주는
                  법이 없었다.
                  잡히는대로, 있는대로, 아낌없이 망설임없이 내주었던 것.

                  돈 뿐만이 아니었다.
                  고암스님께는 많은 거사들과 보살들이 마음의 정성을 담아
                  가져오는 선물도 많았다.
                  그리고 귀한 책도 많이 보내왔다.
                  고암 스님은 그 갖가지 진귀한 선물도 당신이 소유하거나 쓰는
                  일이 별로 없었다.

                  “고암스님 돈은 받아쓰는 사람이 임자”

                  “아이구 스님, 이거 아주 귀하고 값진 물건인데요?”
                  “자네 마음에 들면 자네가 갖게나.”
                  “아이구 스님, 좋은 책들이 굉장히 많이 있네요.”
                  “자네가 볼만한 책 있거든 몇 권이건 가지고 가시게.”

                  고암스님은 늘 이러셨다.
                  돈도, 물건도, 책도, 누구나 갖고 싶어하면 주저없이
                  나누어 주었다.
                  그래서 고암스님 문하에 있던 스님들 사이에서 이런 말이
                  퍼질 정도였다.


                  “고암스님 물건은 누구나 선착순, 가져가면 임자요,
                  고암스님 돈은 누구나 먼저 얻어쓰면 임자.”

                  “자고나면 늘어나는 옛날 빚”

                  이렇듯 고암스님은 돈에도, 물건에도, 책에도, 감투에도
                  애착이 없이 손에 잡히는대로 나누어주고 물려주고, 그러고도
                  돈이 수중에 남으면 제자를 시켜 그 돈만큼 단주나 108염주를
                  사오게 하기도 하고, 어떤 때는 불교 신도들이 읽을 만한
                  좋은 책을 사오게 하셨다.
                  그리고는 찾아오는 사람에게 무조건 단주나 염주나 책을 나누어
                  주셨다.


                  고암스님은 돈만 있으면 무조건 이렇게 단주, 염주, 책을 무한정
                  사다 놓고 무차별로 나누어주셨으니 스님은 늘 빈털터리 신세를
                  면치 못하셨다.

                  곁에서 모시던 제자가 하루는 스님께 간절히 말씀드렸다.
                  “스님, 이제 돈이 들어오면 통장 하나 만들어 저금을 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요 다음에 더 늙으시면 약도 잡수시고 용돈도 쓰셔야지,
                  들어오는대로 남김없이 다 나눠줘버리시면 요 다음에 어쩌실려구
                  그러십니까?”
                  이 말을 들은 고암스님은 한동안 먼 하늘을 바라보시더니 나직히
                  말씀하셨다.


                  “옛날빚 갚기도 바쁜데 어찌 저금을 하라는겐가?”
                  “스님께서 무슨 옛날빚이 있으시다는겁니까?”
                  “자고나면 늘어나는 옛날빚이 있다네….”

                  고암스님은 다시 먼 하늘을 한참 바라보시더니 옛날 이야기를
                  들려주셨다.


                  “내가 스무살때였네. 처음으로 운수행각길에 올라 임진강을 건너
                  묘향산으로 들어가려고 나룻터에 당도했는데, 나룻배 뱃삯이
                  10전이라는게야. 헌데 내 수중에는 단돈 5전 밖에 없었어.
                  그래 뱃사공에게 사정을 해봤지만 소용없었지.
                  나는 그만 나룻배에서 내려 처량한 모습으로 강건너만 바라보고
                  있었네.


                  헌데 바로 그때, 나룻배에 타고 있던 한 젊은 아낙이
                  아기 젖을 물리다 말고 돌아앉더니 허리춤에서 돈 5전을 꺼내
                  뱃사공에게 내밀며 저 젊은 스님 태워드리라는게야.
                  나는 그만 감사하기도 하고 부끄럽고 창피하기도 하고 어쩔줄
                  몰라서 고개만 푹 숙이고 있다가 강을 건넜는데, 아 그만
                  그 아낙이 어디 사는 어느 집 며느님인지 그걸 물어보지도
                  못한채 헤어졌어.


                  그 후로 나는 아침마다 그 아낙과 그 자손이 잘되게 도와 주십사
                  기도를 드렸네만, 그래도 그 때 진 빚 5전이 자고나면 자꾸
                  늘어나는게야.

                  은혜 입은 아낙 위해 매일 기도

                  어디 사는 누구인지도 모르니 당사자에게는 갚을 길도 없고….
                  그 후로 돈만 생기면 누구에게나 대신 빚 갚는 심정으로
                  나눠주지만, 그래도 그 빚은 지금도 자고나면 자꾸 늘어나는것만
                  같은데 내 어찌 옛날빚 갚기도 바쁜데 저금을 할 수 있겠는가.”
                  고암스님은 그 후로도 여전히 돈, 물건 가릴 것 없이 생기면
                  나누어주고, 생기면 나누어 주었다.
                  그 뿐만이 아니었다.


                  고암스님은 종정을 세 번이나 지내면서도 당신께서 후에 편히
                  지낼 사찰 하나도 점지해 둔 일이 없었다.
                  출가수행자는 무엇에든 애착심을 가져서는 안된다는게 스님의
                  생각이었다.


                  “출가자는 늘 떠나는 삶을 살아야 참다운 수행자라 할 것이야.”
                  그러면서 스님은 한 사찰에 결코 오래 머무는 일이 없었다.
                  스님은 ‘늘 떠나는 삶을 사는 타고난 수행자’였던 셈이다.
                  종정에 세 번이나 추대되고도 문도들이 머물 수 있는 큰 절 하나
                  없이 빈손으로 훌훌 털고 종정 자리에서 내려오신 스님은 아마
                  윤고암 스님 한 분 뿐이 아닌가 한다.

                  

                  윤청광 /법보신문에서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산지골님의 댓글

산지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25.♡.240.224 작성일

나름 불자라며 절문턱을 기웃되지만
큰스님의 나눔으로 일관된 삶에 절로 숙연한 마음이....
많이 나누며 이웃과 함께하려구요__()()()__

TunasBaru님의 댓글

TunasBar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25.♡.89.31 작성일

대단한 분이셨네요.
그렇게 모든 것을 나눠줄 수 있는 삶을 산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욕심이 나를 지배하려고 하는 때마다 생각할 만한 본이 되는 듯 합니다.

조금이나마 더 나누도록 노력하며 살겠습니다.

* 좋은 글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깜치님의 댓글

깜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8.♡.5.152 작성일

스님이든 재가불자 이든지 간에 윤고암 스님처럼만 살아간다면
이 세상이 얼마나 평화스러울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한편으로는 사는 재미도 없겠구려...

출가를 하신 스님들 만이라도 항상 수행자와 같은 삶을 사신다면
그나마 다행이겠지요.

힘들고 어려운 요즘의 세상살이에
나도 힘이 들지만 나 보다 더 어려운 이웃을
돌아보면서 작은물건 하나라도 아끼고
다시쓰고 나눠쓰고 재활용하면서 생활하는
인도웹 회원이 되고싶습니다.
_()_ 합장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3,319건 3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263 일상 아이폰4에대한 정보를 알고십습니다. 댓글4 치악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21 6710
3262 일상 윈도 잠금 장치(한 몇일후에 제가 올린 프로그램 다 내립니다.) 첨부파일 Yeji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02 4642
3261 일상 잘란잘란-소셜커머스 댓글1 kokom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28 5609
3260 일상 꾸닝안 /라수나 사이드쪽 괜찮은 꼬스는 없나요?ㅠ 댓글4 쿠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08 5885
3259 일상 헤헤 벌써 현지인 ㅎㅎ 댓글14 나르키수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26 7914
3258 일상 아... 이거 대박일세.... ㅎ 댓글2 갤럭시유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12 5212
3257 일상 우리은행, 국내계좌 달러 송금시 수수료가 10%? 댓글10 NowWhat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01 11217
3256 일상 어느 독일인이 쓴 한국인 vs 일본인| 댓글9 꿈꾸는다락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17 5345
3255 일상 꿈꾸는 다락방.. 댓글1 꿈꾸는다락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23 5045
3254 일상 남편의 수명 !!!!! 아내의 고마움을 알도록.......... 댓글6 방프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02 5396
3253 일상 나 여자인데 군대 가봤거든... 댓글10 SeribuNin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11 6244
3252 일상 빙고!!! 댓글1 꿈꾸는다락방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0 4575
3251 일상 Coex KOSIGN 2011전시회 CoexKOSIGN20…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28 4261
3250 일상 8월 1일 스타트 Good!!!! 댓글2 수방촌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01 4481
3249 일상 머리가 빠집니다... 댓글3 빤땃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09 6001
3248 일상 따뜻한 (?) 그곳이 그립습니다 댓글2 mia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16 4804
3247 일상 현지 직원을 뽑을 때 조심하세요.. 생명에 위협을 느꼈습니다. 댓글2 카루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27 4915
3246 일상 청하 아주 싸게 팝니다. 댓글7 디까르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06 6221
3245 일상 안녕하세요, 이번에 자카르타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참가하는 학생입니다. 댓글4 GTEP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21 4839
3244 일상 외국인 관광객 천만명 시대, 그들의 마음을 움직였으면 ILOVEKORE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29 3369
3243 일상 너무 억울하고 힘든일들 댓글7 곰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16 5954
3242 일상 땅그랑지역 한국노트북 수리할수 있는곳 문의 댓글2 보니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0-25 3782
3241 일상 식당과 대한항공 버르장머리를...... 댓글15 나이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07 6752
3240 일상 요즘 인도웹 싸이트 ???? 댓글6 kokoko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21 4631
3239 일상 인니 토익사이튼데요~ 인니에선 열릴까요?? ^^; 댓글3 리모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01 4292
3238 답변글 일상 제발 현지인 여성에게 함부로 대하지좀 맙시다 댓글1 Leopar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12 3352
3237 일상 인도네시아엔 선 주선해 주시는분 없나요?? 댓글6 아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18 4865
3236 일상 종교의 개념이 무엇인지요? 댓글19 곰둘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06 6596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