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절주절 낙서장~ > 고암 큰스님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853)
  • 최신글

LOGIN

1.궁금한 사항은 "궁금해요" 게시판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단순 내용 펌은 삭제 처리합니다. 본인의 의견을 적어주세요.

감동 | 고암 큰스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인니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5.♡.195.12) 작성일09-04-18 10:34 조회4,477회 댓글4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indoweb.org/love/bbs/tb.php/memo/29613

본문

   우리나라 불교 대표종단인 조계종단에서 종정(宗正)의 자리에
                  오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이 지고지엄(至高至嚴)한 종정의 자리에 한번도 아니고
                  세 번이나 추대된 분이 계셨으니 바로 그 분이 윤고암(尹古庵)
                  큰스님이셨다.

                  1899년 경기도 파주에서 태어나 1988년 가야산 해인사에서
                  열반한 고암스님은 19세에 해인사에서 제산 스님을 은사로
                  출가한 이후 무소유, 무집착, 자비보살의 화현으로 한평생을
                  사셨고, 그 덕화로 종정의 자리에 세 번이나 추대될 수 있었다.

                  고암 스님은 말 그대로 욕심이 전혀 없는 분이었다.
                  흔히 불가에서는 무소유, 무집착, 무차별, 자비보살이라는 말로
                  사람을 칭찬하지만, 고암 스님이야말로 무소유, 무집착, 무차별,
                  자비보살이라는 말에서 한치 한푼도 어긋남이 없는 그런
                  스님이셨다.

                  어느 사찰에서 보살계 법문을 내리시고 법사료 봉투라도 받으시면
                  형편이 어려운 사찰임을 헤아리시고 주지스님 모르게 법사료
                  봉투를 법단에 올려 놓고 나오시는 분이었다.
                  형편이 어렵지 않은 사찰에서 법문을 하시고 봉투를 받으시면
                  그 돈은 곧 제자들의 몫으로 돌아갔다.

                  “스님, 저 부산에 좀 다녀오고 싶습니다. 노잣돈 좀 도와 주십시오.”
                  어떤 제자건 고암스님께 이렇게 말씀드리면 스님은 두말없이
                  있는대로 꺼내어 주었다.
                  봉투에 담긴게 있으면 봉투째 내 주었다.
                  고암스님은 누구에게 돈을 줄 때 한 장, 두장, 돈을 헤아려서 주는
                  법이 없었다.
                  잡히는대로, 있는대로, 아낌없이 망설임없이 내주었던 것.

                  돈 뿐만이 아니었다.
                  고암스님께는 많은 거사들과 보살들이 마음의 정성을 담아
                  가져오는 선물도 많았다.
                  그리고 귀한 책도 많이 보내왔다.
                  고암 스님은 그 갖가지 진귀한 선물도 당신이 소유하거나 쓰는
                  일이 별로 없었다.

                  “고암스님 돈은 받아쓰는 사람이 임자”

                  “아이구 스님, 이거 아주 귀하고 값진 물건인데요?”
                  “자네 마음에 들면 자네가 갖게나.”
                  “아이구 스님, 좋은 책들이 굉장히 많이 있네요.”
                  “자네가 볼만한 책 있거든 몇 권이건 가지고 가시게.”

                  고암스님은 늘 이러셨다.
                  돈도, 물건도, 책도, 누구나 갖고 싶어하면 주저없이
                  나누어 주었다.
                  그래서 고암스님 문하에 있던 스님들 사이에서 이런 말이
                  퍼질 정도였다.


                  “고암스님 물건은 누구나 선착순, 가져가면 임자요,
                  고암스님 돈은 누구나 먼저 얻어쓰면 임자.”

                  “자고나면 늘어나는 옛날 빚”

                  이렇듯 고암스님은 돈에도, 물건에도, 책에도, 감투에도
                  애착이 없이 손에 잡히는대로 나누어주고 물려주고, 그러고도
                  돈이 수중에 남으면 제자를 시켜 그 돈만큼 단주나 108염주를
                  사오게 하기도 하고, 어떤 때는 불교 신도들이 읽을 만한
                  좋은 책을 사오게 하셨다.
                  그리고는 찾아오는 사람에게 무조건 단주나 염주나 책을 나누어
                  주셨다.


                  고암스님은 돈만 있으면 무조건 이렇게 단주, 염주, 책을 무한정
                  사다 놓고 무차별로 나누어주셨으니 스님은 늘 빈털터리 신세를
                  면치 못하셨다.

                  곁에서 모시던 제자가 하루는 스님께 간절히 말씀드렸다.
                  “스님, 이제 돈이 들어오면 통장 하나 만들어 저금을 하셔야
                  합니다.


                  그래야 요 다음에 더 늙으시면 약도 잡수시고 용돈도 쓰셔야지,
                  들어오는대로 남김없이 다 나눠줘버리시면 요 다음에 어쩌실려구
                  그러십니까?”
                  이 말을 들은 고암스님은 한동안 먼 하늘을 바라보시더니 나직히
                  말씀하셨다.


                  “옛날빚 갚기도 바쁜데 어찌 저금을 하라는겐가?”
                  “스님께서 무슨 옛날빚이 있으시다는겁니까?”
                  “자고나면 늘어나는 옛날빚이 있다네….”

                  고암스님은 다시 먼 하늘을 한참 바라보시더니 옛날 이야기를
                  들려주셨다.


                  “내가 스무살때였네. 처음으로 운수행각길에 올라 임진강을 건너
                  묘향산으로 들어가려고 나룻터에 당도했는데, 나룻배 뱃삯이
                  10전이라는게야. 헌데 내 수중에는 단돈 5전 밖에 없었어.
                  그래 뱃사공에게 사정을 해봤지만 소용없었지.
                  나는 그만 나룻배에서 내려 처량한 모습으로 강건너만 바라보고
                  있었네.


                  헌데 바로 그때, 나룻배에 타고 있던 한 젊은 아낙이
                  아기 젖을 물리다 말고 돌아앉더니 허리춤에서 돈 5전을 꺼내
                  뱃사공에게 내밀며 저 젊은 스님 태워드리라는게야.
                  나는 그만 감사하기도 하고 부끄럽고 창피하기도 하고 어쩔줄
                  몰라서 고개만 푹 숙이고 있다가 강을 건넜는데, 아 그만
                  그 아낙이 어디 사는 어느 집 며느님인지 그걸 물어보지도
                  못한채 헤어졌어.


                  그 후로 나는 아침마다 그 아낙과 그 자손이 잘되게 도와 주십사
                  기도를 드렸네만, 그래도 그 때 진 빚 5전이 자고나면 자꾸
                  늘어나는게야.

                  은혜 입은 아낙 위해 매일 기도

                  어디 사는 누구인지도 모르니 당사자에게는 갚을 길도 없고….
                  그 후로 돈만 생기면 누구에게나 대신 빚 갚는 심정으로
                  나눠주지만, 그래도 그 빚은 지금도 자고나면 자꾸 늘어나는것만
                  같은데 내 어찌 옛날빚 갚기도 바쁜데 저금을 할 수 있겠는가.”
                  고암스님은 그 후로도 여전히 돈, 물건 가릴 것 없이 생기면
                  나누어주고, 생기면 나누어 주었다.
                  그 뿐만이 아니었다.


                  고암스님은 종정을 세 번이나 지내면서도 당신께서 후에 편히
                  지낼 사찰 하나도 점지해 둔 일이 없었다.
                  출가수행자는 무엇에든 애착심을 가져서는 안된다는게 스님의
                  생각이었다.


                  “출가자는 늘 떠나는 삶을 살아야 참다운 수행자라 할 것이야.”
                  그러면서 스님은 한 사찰에 결코 오래 머무는 일이 없었다.
                  스님은 ‘늘 떠나는 삶을 사는 타고난 수행자’였던 셈이다.
                  종정에 세 번이나 추대되고도 문도들이 머물 수 있는 큰 절 하나
                  없이 빈손으로 훌훌 털고 종정 자리에서 내려오신 스님은 아마
                  윤고암 스님 한 분 뿐이 아닌가 한다.

                  

                  윤청광 /법보신문에서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산지골님의 댓글

산지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25.♡.240.224 작성일

나름 불자라며 절문턱을 기웃되지만
큰스님의 나눔으로 일관된 삶에 절로 숙연한 마음이....
많이 나누며 이웃과 함께하려구요__()()()__

TunasBaru님의 댓글

TunasBaru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25.♡.89.31 작성일

대단한 분이셨네요.
그렇게 모든 것을 나눠줄 수 있는 삶을 산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
욕심이 나를 지배하려고 하는 때마다 생각할 만한 본이 되는 듯 합니다.

조금이나마 더 나누도록 노력하며 살겠습니다.

* 좋은 글 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깜치님의 댓글

깜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아이피 118.♡.5.152 작성일

스님이든 재가불자 이든지 간에 윤고암 스님처럼만 살아간다면
이 세상이 얼마나 평화스러울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한편으로는 사는 재미도 없겠구려...

출가를 하신 스님들 만이라도 항상 수행자와 같은 삶을 사신다면
그나마 다행이겠지요.

힘들고 어려운 요즘의 세상살이에
나도 힘이 들지만 나 보다 더 어려운 이웃을
돌아보면서 작은물건 하나라도 아끼고
다시쓰고 나눠쓰고 재활용하면서 생활하는
인도웹 회원이 되고싶습니다.
_()_ 합장

  • 검색
  • 목록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 Total 1,849건 24 페이지
  • RSS
주절주절 낙서장~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05 일상 좋아요1 (펌)댓글 안다시는 분들 이렇게 되게 하소서... 댓글11 여기인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16 4440
1204 일상 아구구 ~ " 주름만 늘어 .... " 댓글3 nonam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16 4443
1203 감동 울푸 님, 실망입니다. 댓글3 곰곰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27 4444
1202 감동 [공포] 저주받은 인형? 댓글4 화누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09 4446
1201 기타 노안 (老眼)을 예방 합시다. 댓글1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17 4447
1200 일상 중공군과 뒤엉켜 발견된.. 고국을 지키다 산화한 분들께 댓글1 ILOVEKORE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18 4448
1199 감동 누가 내일이 없다 말하는가! 댓글1 필립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1-24 4449
1198 일상 오늘의 역사 (8월 28일) 댓글1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28 4449
1197 감동 (펌)부모님 살아 계실 때 꼭 해드려야 할 45가지 댓글3 여기인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12 4451
1196 감동 좋아요1 호박넝쿨 댓글4 산지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19 4451
1195 일상 좋아요2 커피향 속에서.... 댓글1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01 4454
1194 일상 좋아요2 충청도 부부의 진솔한 사랑외... 댓글1 데니양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22 4454
1193 감동 자신의 소중함을 알자..... 댓글1 검정고무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09 4462
1192 기타 다이어트 지혜와 금기사항 댓글2 starsta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20 4470
1191 일상 한국은 20위 일본은 22위 북한은..? 댓글2 ILOVEKOREA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29 4470
1190 감동 컴맹에...전화통화 .. 댓글18 카타리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09 4471
1189 감동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댓글3 빌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31 4474
1188 답변글 일상 몰끌라파가딩내 FOOD HALL 마트의 한국사발면... 댓글2 애기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01 4477
1187 답변글 기타 우울증에 관하여 돌도사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21 4478
열람중 감동 고암 큰스님 댓글4 인니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4-18 4478
1185 감동 엄마,사랑합니다 댓글3 발동기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23 4480
1184 일상 좋아요1 masalah listrik....masalah istrik... 북극곰브루앙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30 4481
1183 감동 알아두면 좋은 것들~!! 댓글2 누리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19 4486
1182 기타 여드름에대한 잘못된 상식 댓글2 starstar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20 4489
1181 일상 좋아요3 포인트 필요하시분 연락주세요 댓글22 가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09 4490
1180 일상 윈도 미디어 플레이어 문제 해결 첨부파일 Yeji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02 4490
1179 일상 흰소의 소원 "불멸의 촛불" 2010년 삼일절에 공개 불멸의촛불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23 4490
1178 일상 주절 주절 낙서~~인니생활 10년차 댓글14 술술풀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6-07 4494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