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인도네시아, 화장품·건강보조식품·의약품 사전수입승인제도 안내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803)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화장품·건강보조식품·의약품 사전수입승인제도 안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2-28 14:37 조회241회 댓글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500583

본문

2023년 새롭게 공표된 화장품 및 건강보조식품 수입규제

Pertek 신청과 사전수입승인(PI) 발급의 단계별 절차

인도네시아 정부는 자국 산업 보호와 제조 산업 고도화를 위해 2023년 여러 규제를 발표 및 시행했다. 그중 연말에 개정된 2023년 무역부 규정 제36호는 18개 품목군에 대한 사전수입승인(Persetujuan Impor, 이하 PI) 신규 시행*을 포함하고 있어 인도네시아와 거래하는 여러 국가의 파트너들이 큰 우려를 표하고 있다. 개정안을 단 3개월의 유예기간 후 2024년 3월 10일부로 바로 시행하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원칙적으로 사전수입승인은 현지의 바이어가 해야하는 것이나 우리 기업들 참고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여 아래와 같이 그 절차를 안내하고자 한다. 

주*: KOTRA 해외시장뉴스 “인도네시아 수입규제 강화 동향, http://bit.ly/IndonesiaImportRestriction” 참조 

 

새로운 무역부 규정과 사전수입승인(PI)


2023년 인도네시아 무역부 규정 제36호에 따라 시행되는 새로운 수입 규정에 따르면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전통 의약품은 수입 제한 대상이며 모든 사업자는 해당 품목을 수입하려면 반드시 PI를 제출해야 한다. 건강보조식품 및 전통 의약품의 HS코드 5개와 화장품의 HS코드 37개는 PI 요건이 적용되며 API-U(일반 수입업체) 라이선스 보유자만 수입할 수 있다. 해당 HS코드에 대한 PI 발급 메커니즘은 아래 그림과 같다.

 

 

81eeaf3c1ea2a2cdb9e0055f1eaa61b4_1709105

 

 

PI 신청을 위해 필요한 Pertek


PI 신청 요건 중 하나는 Pertimbangan Teknis(기술적 고려사항)이며 줄여서 Pertek이라고 한다. 사업자는 인도네시아 재무부에서 운영하는 국가 Single window 시스템(Sistem Indonesia National Single Window, 이하 SINSW)  PI 신청서 제출과 함께 Pertek을 신청할 수 있다. Pertek 발급은 인도네시아 산업부의 소관으로 Pertek 신청은 산업부 시스템(SIINAS)으로 전달된다. SIINAS에서 Pertek이 발급된 후, PI 신청은 인도네시아 무역부의 시스템인 Inatrade에서 검증 절차를 거친다. PI 신청에 대한 승인 또는 거부 여부는 Inatrade 시스템에서 결과가 나온 후 SINSW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인도네시아 산업부에 따르면 HS코드별로 SINSW 시스템을 통해 Pertek 신청을 해 필요한 제출서류는 다음과 같다.

 

81eeaf3c1ea2a2cdb9e0055f1eaa61b4_1709105

 

 

또한, 산업부는 수입 계획(Rencana Impor), 유통 계획(Rencana Distribusi) 및 수입 실현(Realisasi Impor)을 위해 제출해야 하는 필수 데이터도 다음과 같이 안내하고 있다.

 

81eeaf3c1ea2a2cdb9e0055f1eaa61b4_1709105

 

 

다만, PI 발급 요건인 Pertek 발급을 담당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아직 사용자 매뉴얼이나 가이드북을 마련하고 있는 중이다. KOTRA 자카르타 무역관이 산업부 해당과에 문의한 결과, 세부사항이 정리되기를 기다려야 한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수입 규정 변경 전에는 Pertek이 철/철강 을 비롯 5개 분야에 적용됐으며, LNSW 철/철강용 Pertek 적용을 위한 사용자 매뉴얼을 발간한 바 있다.  사용자 설명서를 Pertek 제출 절차에 대한 참고 자료로 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철/철강용 Pertek 신청서 사용자 설명서 첨부 참조).

 

전망 및 시사점 

 

동 규정은 2023년 12월 개정돼 3개월의 유예기간 후 2024년 3월 10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도 완제품에 대한 PI 적용을 처음 시작하는 만큼 우리 기업들도 해당 조치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주*: KOTRA 해외시장뉴스 “인도네시아 수입규제 강화 동향, http://bit.ly/IndonesiaImportRestriction” 참조 

 

KOTRA 자카르타 무역관은 2024년 3월 5 무역부와 세관을 초청하여 우리 기업들을 대상으로 동 신규 규정에 대한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하고자 한다. 설명회에 참석을 희망하시는 경우 아래 링크를 통해 양식을 제출하여 주시기 바란다.  

 · http://docs.google.com/forms/d/e/1FAIpQLSfI8qNy1QhZvOcHXyqzWg6AJtoNd5Z8N0ir-c7VRk7Njppmig/viewform?usp=sf_link

· 첨부: 인도네시아 철/철강용 Pertek 신청서 사용자 설명서

 

 

자료: 인도네시아 산업부 등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검색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02건 32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4 인도네시아 신수도 이전사업 구체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5-19 285
33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무역부, 수입규제 강화에 대한 규정 시행 예고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2-04 282
32 주요 기관이 바라보는 2023년 하반기 인도네시아 경제 전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7-14 280
31 Manufacturing Surabaya 2023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7-31 279
30 [기고] 인도네시아 영업비밀 보호에 관한 안내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6-06 278
29 [인도네시아] 2024년 대선 투표 종료, 신속 집계 시작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15 274
28 [기고] 인도네시아 핀테크 분야에서의 개인정보보호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24 272
27 2023 BNI INVESTOR DAILY SUMMIT 세미나 현장 뉴스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1-14 270
26 인도네시아 신보건법 발효, 외국인 의사 면허 완화 등이 골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9-05 268
25 [기고] 인도네시아 식약청 등록 신청 및 제품 수출 관련 유의 사항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7-14 256
24 인도네시아 스마트시티 육성 이니셔티브 : 100대 스마트시티로의 전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6-21 255
23 [기고] 인도네시아 의료기기 수입유통허가 및 SNI 인증 관련 주요 개정사항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9-05 249
22 인도네시아 수입규제 강화 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2-28 245
21 인도네시아 식약청 인증(BPOM) 무역사기 경보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1-03 244
열람중 인도네시아, 화장품·건강보조식품·의약품 사전수입승인제도 안내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2-28 242
19 [기고] 인도네시아의 '수출을 위한 수입 편의 프로그램(KEMUDAHAN IMPOR TUJUAN EXPOR, KITE)'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2-07 242
18 글로벌 팜유 시장의 큰손 인도네시아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2-04 234
17 2024 인도네시아 대형 유통망 입점 사절단 개최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3-13 225
16 인도네시아, 2024년 무역부 장관 규정 7호의 주요 변경 사항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5-22 224
15 2023 인도네시아 통상환경 분석 : 왜 요즘 기업들이 인도네시아를 주목하는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0-10 219
14 [인도네시아] 무역부는 Pertek 요건을 완화하는 2024년 무역부 장관 규정 제8호 발표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5-29 215
13 인도네시아 '블루 이코노미' 로드맵 발표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7-31 207
12 인도네시아 경제동향 및 2024년 전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3-13 201
11 투자 서밋 참관을 통해 엿보는 서부자바주 주요 육성 산업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9-05 201
10 유아용품 전시회 Mommy N Me 현장 스케치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7-31 189
9 한-인니 EV 비즈니스 플라자 연사 인터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2-07 167
8 인도네시아 지식재산청(DGIP) Intellectual Property Crime 포럼 참관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5-22 161
7 제43차 아세안 정상회의 돌아보기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10-10 158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