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인도네시아, 의약품·화장품 등 18개 품목 수입 규제 완화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058)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의약품·화장품 등 18개 품목 수입 규제 완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6-19 10:29 조회102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502180

본문

3차 개정안 발표로 일부 품목 사전수입승인(PI) 요건 삭제

통관 지연 문제 해결을 위한 임시 수입 규제 완화 조치

 

82cfd6db8c102f529a5010e615ab0c0d_1718767

 

 

2024 5 17인도네시아 정부는 2024년 무역부 규정 제 8(이하 3차 개정안)를 발표했다이를 통해 일부 품목에 대한 사전수입승인(PI) 요건을 삭제했고대부분의 품목들은 더 이상 Pertek을 취득하지 않아도 되도록 규제를 완화했다.

 

그간의 경과


당초 인도네시아 정부가 본격적으로 수입규제를 강화하기 시작한 것은 2023 12월 2023년 무역부 규정 제 36(이하 원규정)를 발표(2024 3 10일 시행)하면서 부터였다이 규정에 따라 18개 품목군, HS코드 기준 2,428개 품목에 대해 규제가 강화됐다특히 화장품전자제품가방 등의 완제품에까지 수입쿼터인 사전수입승인(Persetujuan Impor, 이하 PI) 제도가 도입되었고, 선적 전 검사(Laporan Surveyor, 이하 LS)도 추가되었다. 또한 새롭게 적용된 품목들은 사전수입승인을 받기 위해 그 과정에서 인도네시아 산업부로부터 기술적 고려사항(Pertimbangan Teknis, 이하 Pertek)을 발급받아야 했다. Pertek이란 인도네시아 유관 부처에서 요구하는 기술적인 요건을 충족했다는 일종의 확인증을 의미한다. Pertek 발급을 위해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품목군 별로 상이하다.

*: KOTRA 해외시장뉴스 “인도네시아 완제품 사전수입승인을 위한 기술적 고려사항(Pertek) 안내https://bit.ly/IndonesiaPertekMechanism

 

원규정이 시행되기 전부터 기업들은 경영 불확실성의 증대를 우려했고현지에서도 언론사들이 규정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이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업계의 의견을 반영하여 짧은 기간 동안 규정을 수차례 개정했다이에 원규정이 시행되기도 전인 2024 3 5 2024년 무역부 규정 제 3(이하 1차 개정안)를 발표했고그 이후 5월 초 2024년 무역부 규정 제 7(이하 2차 개정안)를 발표했다더불어 규제가 새롭게 적용된 품목들에 대한 Pertek 신청 절차를 규정하는 산업부 규정들도 줄줄이 발표했다.

 

하지만 최근 인도네시아 항구에서 2만6415개의 컨테이너가 통관되지 못하고 지연되는 사태가 발생하는 등 이슈가 지속되자 2024 5 17일 인도네시아 정부는 3차 개정안을 전격적으로 발표하며 수입규제를 완화했다이를 통해 일부 품목에 대한 사전수입승인(PI) 요건을 삭제하고대부분 품목은 더 이상 Pertek을 취득하지 않아도 되도록 했다. 3차 개정안이 시행되면서 새로운 품목들에 대한 Pertek 절차를 규정하던 2024년 산업부 제 4제 5제 6제 7그리고 제 8호에도 변화가 생겼다. 그간 발표된 규정들의 경과는 다음과 같다.

 

 

82cfd6db8c102f529a5010e615ab0c0d_1718767

 

 

3차 개정안(2024년 무역부 규정 제8주요 내용

 

3차 개정안에 따르면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전통 의약품 및 건강보조식품화장품 및 가정용품가방밸브윤활제 원료 등 5개 품목은 사전수입승인(PI)을 더 이상 받지 않아도 되며선적 전 검사(LS)만 받으면 된다밸브와 윤활제 원료에 대한 신규 수입 규정은 2024 6 18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므로그전까지는 기존 규정이 적용된다전자제품신발의류 및 의류 액세서리장난감 등 4개 품목은 사전수입승인(PI)은 필요하나그 과정에서 Pertek 발급은 면제된다이는 기업들이 Pertek 없이 수입쿼터를 신청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다만 전자제품신발의류 및 의류 액세서리 내에서도 HS 코드 기준으로 사전수입승인(PI)을 받지 않아도 되는 품목이 있다. 마지막으로 섬유 관련 품목들은 금번 규제 완화 대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관련 내용은 '2024년 무역부규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첨부파일1).

 

82cfd6db8c102f529a5010e615ab0c0d_1718767

 

 

다음으로 API-P 보유자가 보완재(Complementary Goods, Barang Komplementer), 시장 테스트 및 애프터서비스 목적으로 수입하는 18개 품목은 산업부 Pertek 발급이 면제된다인니 수입업자가 발급받아야 하는 수입 라이센스의 종류 중 하나인 API-P는 재화원재료 및 기계장치/설비 등을 수입해 생산활동에 사용하려는 제조업체에 부여되는 라이센스다. 이는 API-U는 판매를 목적으로 해당 상품을 수입하는 회사에 부여되는 수입 라이센스로유통업체들이 획득한다또한규정에서 말하는 보완재란, API-P 보유자가 해외나 계열사에서 생산하는 제품으로 일반적으로 현지에서 생산할 만큼 수요가 없거나 현지에서 생산이 불가능하여 해외에서 수입해야 하는 제품을 말한다.

 

 18개 제품은 아래 표와 같으며상세한 내용은 3차 개정안 부록 Ⅶ에서 확인할 수 있다다만 유의할 점은 표에서 1번 가공 동물성 제품(Processed animal product)은 기존에 산업부와 농림부로부터 Pertek을 취득해야 했다는 점이다그러므로이번 변경을 통해 산업부 Pertek 발급은 면제됐지만 여전히 농림부로부터는 Pertek을 취득해야 한다.

 

82cfd6db8c102f529a5010e615ab0c0d_1718767

 

 

기존 개정안에서 API-U 또는 API-P 라이선스 보유자만 수입할  있었던 5 품목(신발가방섬유섬유 완제품  특정 화학 제품) 3 개정안을 통해 일부 HS 코드를 제외하고는 API-U API-P 보유자가 모두 수입할  있게 됐.

 

또한판매용이 아닌 샘플연구 및 제품 개발 목적으로 수입하는 상품은 모든 수입 제한에서 면제돼 사전수입승인(PI)을 받을 필요가 없다다만 기업들은 무역부의 추천서를 발급받아야 하며 제한된 수량만 수입할 수 있다추천서는 SINSW에서 신청이 가능하다.

 

API-P 보유자가 원자재 및 부자재로 철 및 철강을 수입하는 경우에는 회당 최대 미화 1500달러까지 배송 횟수와 관계없이 수입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인도네시아 무역부 발표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첨부파일2).

 

상품 통관 지연을 해소하기 위한 일시적인 조치


인도네시아 정부는 3차 개정안에서 통관이 지연 중인 물품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수입 규제를 완화하기로 결정했다이에 따라 2024 3 10일부터 5 17일 사이에 인도네시아에 도착했으나 통관이 지연되고 있는 수입 제품(철강 및 섬유 제품 제외) 3차 개정안 수입 요건이 소급 적용된다.

 

또한 2024 3월 10일부터 5 17일 사이에 인도네시아에 도착했으나 통관이 지연되고 있는 철강 및 섬유 제품은 사전수입승인(PI)과 기술적 고려사항(Pertek)이 면제되며선적 전 검사(LS) 서류만 제출하면 수입 허가를 받을 수 있다.

 

타이어 수입 관련 Pertek 절차

 

타이어 수입을 위해서는 여전히 산업부로부터 Pertek을 받아야 하며이에 대한 절차는 2024년 산업부 규정 제10호에 명시되어 있다타이어 관련 Pertek의 발급 절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자카르타 무역관에서 정리한 '타이어 관련 기술적 고려사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첨부파일3).


시사점


금번 규정 변경은 인도네시아 정부가 현지 협회 및 기업들의 목소리를 수렴한 결과로 판단된다이에 따라 일부 품목들의 경우 수입 제한이 완화돼 우리 기업들의 활동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다만 이러한 수입 제한 규정이 궁극적으로는 인도네시아 산업 고도화라는 인도네시아 정부의 거시적인 목표를 위해 시행되었던 만큼추후 재개정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리 기업들이 염두 할 필요가 있다.

 

첨부

 

[첨부 1] 2024년 인도네시아 무역부 규정 제 8호 (인니어)

[첨부 2] 2024년 무역부 규정 제8호 발표 자료 (인니어)

[첨부 3] 타이어 관련 기술적 고려사항(Pertek) 발급 절차 안내

 

자료: 인도네시아 무역부, 산업부 규정,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06건 16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86 제450호 - 인도네시아, 안경테와 선글라스 품목 유망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0-02 1472
485 제449호 - 펌프·밸브 수출, 인도네시아 건설업계 수요를 노려라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23 1375
484 펌프·밸브 수출, 인도네시아 건설업계 수요를 노려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23 1562
483 제448호 - 인도네시아 지역 인프라 개발의 선두, 반둥을 가다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16 1201
482 제447호 - 인니 조세 사면법 시행으로 유망해진 산업분야는?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09 1244
481 인도네시아 색조화장품 시장, BB크림과 립스틱 유망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05 1729
480 인도네시아 지역 인프라 개발의 선두 '반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05 1255
479 인도네시아 조세사면법 시행으로 유망해진 산업분야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02 1479
478 제446호 - 인니 색조 화장품 시장, BB크림과 립스틱이 유망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02 1934
477 제445호 - 인도네시아 100대 기업, 이렇게 바뀌었다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7 1741
476 본격화 되는 중국 자본의 인도네시아 상륙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3 2075
475 인도네시아 100대 기업, 이렇게 바뀌었다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23 1689
474 제444호 - 본격화 되는 중국 자본의 인도네시아 상륙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19 1489
473 연 10% 성장하는 인도네시아 의약품시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18 1156
472 제443호 - 연 10% 성장하는 인니 의약품 시장, 향후 전망도 밝아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12 1792
471 인도네시아를 주목하는 세계 이슬람 경제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07 1611
470 제442호 - 인도네시아를 주목하는 세계 이슬람 경제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05 1826
469 제441호 - 인도네시아 중장비 시장, 건설·임업 수요를 노려라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8-05 1456
468 제440호- 기능성 음료, 인도네시아 건강식품 시장 이끈다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25 2397
467 제439호 - 진출 기회 커지는 인도네시아 전력산업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25 2185
466 인도네시아 중장비 시장, 건설·임업 수요를 노려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12 2091
465 동티모르 시장의 진출 유망분야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10 2014
464 달콤한 비스킷 시장이 뜬다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10 1647
463 제438호 - 인도네시아, 달콤한 과자 시장이 뜬다.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7-07 1561
462 인니 최대 비즈니스 장터 '자카르타 페어'에 가다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6-30 2527
461 싸고 기능 많은 스마트폰이 잘나간다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6-27 1621
460 제437호 - 인니 최대 비즈니스 장터 – 자카르타 페어에 가다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6-27 1705
459 제436호 - 인도네시아, 싸고 기능 많은 스마트폰이 잘 나간다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6-18 1958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