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트라] 시장정보 > 인도네시아 새로운 전자통신기기 기술표준 인증 시행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551)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새로운 전자통신기기 기술표준 인증 시행

페이지 정보

작성자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5-03 16:04 조회1,024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501451

본문

5월 23일 부 신규 전자통신기기 규정 적용 예정

전자통신기기 관련 기술표준

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는 올해 3월 24일 2024년 정보통신부장관 규정 제3(이하 '2024년 규정')을 발표했으며 이는 올해 5월 23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이 규정은 전자통신 장비 및 기기에 대한 기술표준 인증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기존에 적용되던 2018년 정보통신부장관 제16(이하 '2018년 규정')를 대체한다이번 해외시장뉴스에서는 개정된 규정의 핵심 내용을 살펴본다.

 

개정 사유

 

2018년 규정에서는 '통신 장비 및 기기 인증의 운영 조항'을 통해 전자통신 장비 및 기기의 인증 관련 내용을 규정하고 있었다그러나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2021년에 발표된 정부규정 제 46호 '우편통신 및 방송'이 정한 기술 표준 및 통신 장비 인증 요구 사항에 맞지 않게 됐다이에 따라 2018년 규정이 2024년 규정으로 개정됐다.

 

기술 표준 관련 내용

 

2024년 규정 제3조에 따르면인도네시아에서 판매되거나 사용될 목적으로 제작·조립 또는 수입되는 모든 전자통신기기는 "기술표준"(Technical Standards)을 충족해야 한다기술표준을 도입한 주요 목적은 통신 장비 및 기기 사용으로 인한 시장과 소비자 보호통신 장비와 기기의 원활한 작동 보장통신 네트워크의 연결성 강화 그리고 국가 통신 기술 산업의 발전혁신 및 개발 촉진에 있다이 규정에서 처음 소개된 기술표준 개념은 2018년 규정 제16호가 명시한 "기술적 요구사항"(Technical Requirement)을 대체한다. 2018년 규정은 특정 유형의 전자통신 기기만이 기술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규정했으며관련해서 67개 통신 기기에 대한 HS코드와 설명을 부록에 제공했다이 기술적 요구사항은 품목별로 세부 법령에 기재돼 있으며 인도네시아 자국의 기술 요건이 기재돼 있다.

 

반면, 2024년 규정에 따르면 모든 전자통신기기 품목은 기술표준을 준수해야 한다이에 대한 구체적인 의미는 제5조에서 설명한다국제적 또는 지역적 기준을 채택(adopt)하거나 조정(adapt)하는 경우기술표준을 준수하는 것으로 간주한다또한인도네시아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과 혁신을 반영한 결과 역시 기술표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본다정보통신부장관은 새로운 기술 도입국가 이익제한된 서비스 범위나 수량의 통신 장비 및 기기 활용과 관련해 별도의 기술 표준이 없는 국제 기준 사용을 승인할 수 있다그러나 승인 기준은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으며이에 대한 내용은 추후 별도로 발표될 예정이다.

 

기술표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검사는 인도네시아 내외의 검사기관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검사기관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사항은 앞으로 결정될 예정이다이 검사를 통과해 기술표준을 만족하는 경우해당 장비 및 기기에 대해 인증서가 발급된다.

 

인증서 관련 내용

 

인증서를 신청할 수 있는 주체는 아래 표와 같다.

 

d5dd28e6c6214ccab5d57951b9f4b7b7_1714726

 

국가기관국제기구개인의 경우에는 자체 목적을 위해 통산장비 및 기기를 사용하려는 경우 인증서를 신청할 수 있다.

 

사업자의 경우 “Online Single Submission(OSS)” 시스템을 통해 인증서 신청을 진행할 수 있으며세부적인 절차는 아래와 같다.

 

d5dd28e6c6214ccab5d57951b9f4b7b7_1714726

 

 

 

인증서 발급이 거부된 경우관련 부처는 거절의 사유를 명시해 공지해야 한다인증서가 발급된 후에는 별도의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으나 인증서 소유자는 발급일로부터 최대 3년간 인도네시아 내에서 해당 통신 장비 및 기기를 거래하거나 사용하기 위해 제조조립 또는 수입할 수 있다더불어, 2024년 규정 시행일인 5월 23일 이전에 2018년 규정에 따라 발급받은 인증서는 2024년 규정과 충돌하지 않는 한잔여 유효기간 동안 유효하다(61).

 

라벨링 관련 내용

 

인증서 발급 후에는 전자통신기기 및 장비에 라벨링을 해야 하며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d5dd28e6c6214ccab5d57951b9f4b7b7_1714727

 

 

 

위반 시 제재

 

2024년 규정은 45조부터는 기술표준인증서 및 라벨링과 관련된 규정을 위반 시 행정당국의 제재를 설명하고 있다그중 주요 내용을 소개하면 아래 표와 같다.

 

d5dd28e6c6214ccab5d57951b9f4b7b7_1714727

 

 

시사점

 

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가 발표한 새로운 전자통신기기 기술표준 인증 규정은 중요한 시사점들을 제공한다이 규정에 의해 정의된 전자통신기기에 해당하는 경우모든 제품은 새로 도입된 기술표준을 충족해야 한다이러한 맥락에서기업들은 인도네시아 시장에 제품을 출시하기 이전에 해당 기술표준의 기준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이를 충족하기 위한 철저한 준비를 해야 한다추가적으로기술표준과 관련해 정부 부처의 승인이 요구될 수 있는 상황이 예상되므로 세부 기준이 공개될 시 이에 대한 주의가 요구된다.

 

또한인증서 발급 및 라벨링에 관한 규정은 2018년 규정에서도 존재했으나 2024년 규정에서는 라벨링 요구사항이 더욱 구체적으로 명시돼 있다이러한 변화에 대해 한국 기업들은 인식하고 제품 라벨링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특히제품에 부착해야 하는 인증서 번호 및 QR코드와 같은 세부사항은 소비자의 신뢰를 얻고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새로운 규정이 시행되기 이전에 2018년 규정을 바탕으로 발급받은 인증서는 새로운 규정과 충돌하지 않는 한 계속해서 유효하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이는 기존에 인증 받은 제품들이 그 유효 기간 내에서 시장에서 계속 판매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또한이는 기업들이 새로운 규정에 적응하기 위한 추가적인 시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인도네시아의 전자통신기기 기술표준 인증 규정 변화는 우리 기업이 인도네시아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중요한 정보이다따라서이 규정의 핵심 내용과 시사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전략적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자료: Hukumonline,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 목록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 Total 903건 14 페이지
[코트라] 시장정보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39 인도네시아 플라스틱 제품 시장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05 1105
538 인도네시아, 원예작물 수입규제 강화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8-30 1118
537 인도네시아, 하반기까지 기회의 땅이 될 것인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8-22 2422
536 인도네시아인들이 건강과 미를 위해 먹기 시작한 것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8-11 3078
535 2017 인도네시아 물 산업 비즈니스 현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8-08 2431
534 인도네시아 스포츠웨어 시장 확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8-03 1250
533 [전문가 기고] 인도네시아 원산지 증명 효력 요건 강화, 철저히 숙지해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31 1208
532 [유망] 인도네시아 건설장비 시장동향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29 1113
531 인도네시아 진출 관련 법, 투자와 분쟁해결을 중심으로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28 1107
530 인도네시아, 남녀 노소 누구나 손쉽게 TV 홈쇼핑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7-28 1162
529 인도네시아 전력시장, 재생에너지원 확대 활용 기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5-19 4755
528 인도네시아 주류시장, 무슬림 국가임에도 성장 중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5-08 3965
527 제480호 - 인도네시아, 2019년부터 강화되는 할랄인증제도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28 3860
526 2017 중기중 인니·말레이시아 시장개척단에서 바이어를 만나다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23 1714
525 제479호 - 2017 중기중 인니·말레이시아 시장개척단에서 바이어를 만나다.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21 1148
524 제478호 -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 경제 및 투자 동향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15 1123
523 제477호 - 인도네시아 O2O 고젝(Go-Jek) 앱 출범 2년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09 1532
522 인도네시아 O2O 고젝(Go-Jek) 앱 출범 2년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08 2727
521 제476호 - 프랜차이즈 업계의 기회의 땅, 인도네시아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3-31 1102
520 제 475호 - 2017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서밋에서 한줄기 희망을 보다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3-27 2504
519 제 474호 - 성장 잠재성이 큰 인도네시아 금융시장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3-20 2336
518 제 473호 - 인도네시아 조세사면(Tax Amnesty), 어떻게 되고 있나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3-10 2321
517 제 472호 - 인도네시아, 화장품 원료, 수입 관세 감면 대상(BMDTP)에 포함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3-03 1416
516 제 471호 - 인도네시아 농기계 산업 동향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2-24 1368
515 제467호 - 인도네시아 원광 수출 금지법 시행, 또 다시 연기되나?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2-18 3612
514 제 470호 - 주목할 만한 인도네시아 소스시장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2-17 1680
513 제 469호 - 인도네시아 폐기물 에너지화 시장동향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2-10 1804
512 제468호 - 인니 수처리 시장, 지역별 프로젝트 쏟아진다 첨부파일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2-03 1088
게시물 검색
문의 및 신청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kotrajakarta2018@gmail.com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