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소식 > 미용한류 K-Beauty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672)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사회 전반적인 소식을 전하는 게시판입니다.
문의나 홍보는 사전고지없이 삭제 처리됩니다.

미용한류 K-Beauty

페이지 정보

작성자 beautici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9-28 21:46 조회6,223회 댓글5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13644

본문


인도네시아에 부는 한류 미용 : K-Beauty

 

 

인도네시아에 한국미용브랜드들이 성공적으로 상륙한 것은 꽤 오래 전부터의 일입니다지금은 선두주자 더페이스샵을 비롯하여 미샤에뛰드아모레 설화수스킨푸드토니몰리 등을 인도네시아 대형 몰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게 되었고 지금도 많은 한국 브랜드들이 현지 식약청에 BPOM 신청을 내놓고 본격적인 인도네시아 시장공략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가 잠재력 큰 미용시장을 가지고 있는 만큼 한국브랜드들의 현지시장진출을 돕는 보다 전문적인 개인이나 업체들이 있어야 하겠지만 Kotra나 관련 연구소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들은 부정확하거나 빈약하기 이를 데 없습니다그 한 예로서 Kotra에 저작권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는 도네시아 화장품시장의 성공적 진출전략-에뛰드하우스(Etude)의 인도네시아 진출 성공으로 알아본 한국 화장품의 미래라는 문서를 보면 그 성의 없음에 혀를 내두르게 됩니다에뛰드가 현지에서 성공을 했다고 말하려면 어느 정도 규모로 성공을 했는지그 기준은 무엇인지지속가능성이 있는지 등등에 대한 수치화계량화된 정보는 아예 제시하지도 않은 채 고객에게 공주 같은 기분을 들게 한’ 것 등이 성공원인의 하나였다고 얘기하는 이 문서는 사실상 인도네시아에 진출하려는 미용관련업체들에게 아무런 도움도 되기 힘듭니다.

(참조-http://seacenter.snu.ac.kr/index.php?module=Board&action=SiteBoard&sMode=VIEW_FORM&iBrdNo=6&iBrdContNo=114&sBrdContRe=0&sSearchField=&sSearchValue=&CurrentPage=7)

 

일전에 한 업체가 Kotra에 비용을 지불하고 받았다는 현지 헤어미용시장 관련 조사서를 들춰보고 그 허접함에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시장조사서의 반이 인도네시아가 몇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기후가 어떤지에 대한 개괄에 할애되어 있었고(사실 이 개괄부분은 Kotra가 만드는 인도네시아 관련 시장조사서 거의 전량에 붙어 있는 부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라 봅니다만실제 미용시장에 대한 조사는 미용이나 해당 시장에 대한 사전지식이 전혀 없는 알바를 시켜 몇 군데 전화하거나 웹사이트를 뒤져 짜맞춘 부실하기 이를 데 없는 것이었습니다보잘것없는 업체를 침소봉대하여 추켜 세운 부분도 있었고 업계의 양대산맥이라 할 만한 업체 중 한 쪽이 빠져 있기도 했습니다현지 시장진입을 위해 꼭 피해야 할 문제점들이나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관건들을 지나쳐 버린 것도 도처에 보였습니다겨우 그런 정도의 자료를 돈 주고 사는 것보다는 그 돈으로 출장을 나와 1-2주 현지시장을 돌아보는 게 분명 훨씬 효과적이고도 현실적인 방법이라 보입니다.

 

물론 그렇다고 Kotra를 폄하해서는 안되겠죠그 일을 해야 하는 주무부서인 것은 사실이나 모든 산업부문에 정통할 수는 없다는 것 역시 사실이니까요단지돈 받고 하는 일이었다면 그 돈 값 정도는 충실해 해줬어야 했다는 게 아쉬울 뿐입니다.

 

해외 브랜드들이 인도네시아에 들어와 벌이는 일반적인 마케팅 방식은 크게 세가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그 첫째는 물론 대대적인 광고 마케팅입니다대부분의 샴푸 브랜드들이 그렇듯 현지 10개가 훌쩍 넘는 지상파 방송에 엄청난 비용을 투하하여 광고를 쏟아내는 것이죠그보다는 좀 약하지만 고급 몰에 화려한 대형 매장을 내면서 상류층 또는 구매력 있는 특정 소비층의 입소문을 타는 것이 두번째 방법이죠사실 위에서 언급한 에뛰드의 약진은 이 두 번 째 방식이라 볼 수 있습니다페이스샵도 마찬가지고요엄청난 임대료를 내야 하는 최고급 몰 좋은 목마다 매장을 열었는데 무려 한국수입제품이라니 구매자들은 스스로 상당한 수준의 품질과 아울러 높은 가격을 스스로 예상하게 되는 것이죠마지막 세번째는 스타마케팅이에요. TV에 물량을 대거 투하하면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를 동원한 클리어샴푸 정도는 아니라 해도 루바체(Luvaze) 미용실은 친척 중 아그네스 모니카라는 송혜교 수준의 걸출한 엔터테이너를 전면에 내세웠고 다 쓰러져가던 반둥의 포인트컷살롱은 섹스스캔들로 억울한 옥살이를 마치고 출소한 록그룹 피터팬의 보컬 아리엘(Ariel)의 헤어를 전담하면서 반둥에서 가장 핫한 미용실로 거듭났습니다.



한국의 화장품들과 미용관련 제품들 외에도 한국의 미용기술 역시 한류열풍과 함께 인도네시아에 쏟아져 들어왔습니다드라마 대장금이 현지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 무렵부터 프랑스에 본사를 둔 다국적기업 로레알(L’Oreal)에서는 헤어용 신제품을 인도네시아 출시할 때마다 한국에서 내로라 하는 미용사를 초빙해 현지에서 시연하는 수고를 아끼지 않았는데 당시 주로 불려오던 사람들 중엔 라뷰티코어의 김현태원장 같은 사람도 있었습니다스타마케팅이죠.

 


인도네시아의 헤어제품은 로레알이 독주하는 시장입니다그 뒤를 멀리서 웰라(Wella)가 뒤따르고다시 그 뒤를 마카리조 (Makarizo)가 바짝 따라 붙고 다시 한참 뒤에 떨어져 카두스(Kadus), (Keune), 알파파프(Alphaparf) 같은 브랜드들이 따라오고 있는 형국입니다유력한 현지 화장품 브랜드들인 사리아유(Sari Ayu)나 무스띠카 라뚜(Mustika Ratu) 같은 화사들은 천연허브를 원료로 한 페이셜 및 스킨케어 쪽으로 특화되어 있어 헤어제품은 앞서 언급한 해외브랜드들이 독식하는 구도를 보이죠.

 

이런 해외브랜드들은 해당 브랜드 본사가 현지에 지점을 낸 것이 아니라 현지 업체와 유통계약을 하는 것이어서 로레알 같이 전세계적으로 동시에 진행되는 제품 런칭스케줄에 따라 적극적인 마케팅을 기대하기는 아무래도 어려운 일이어서 한국에서 유명 미용사를 초빙시연하기는커녕 로컬 미용사를 데려다 쓰기도 어려운 상황이었어요그러다가 트레스메(Tresemme)라는 브랜드에서 전격적으로 한국인 미용사를 내세운 광고를 전세계에 내겁니다지금은 일단 지나가 버려 인니어 광고사진을 다시 찾기 어려워 태국어로 된 광고사진을 게재합니다이 사진은 아직도 호치민을 비롯한 동남아 곳곳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까운 사실은 이 광고가 그렇게 수많은 도시에서 대형옥외광고판에 붙었지만 여기 등장한 한국인 미용사 신동민씨는 얼굴을 알렸지만 그 이름을 기억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점입니다어쩌면 신동민씨 측에서부터 나름대로 좀 더 적극적인 마케팅과 홍보를 통해 스스로를 알렸어야 하지 않았을까 생각하게 되는 대목입니다.

 

그러다가 인도네시아 헤어미용제품 시장에 거대한 지각변동이 일어난 것은 2-3년 전의 일입니다사실 유명한 미용제품 브랜드 웰라(Wella) P&G사에 넘어간 것은 그보다 좀 더 오래 전의 일입니다. P&G는 웰라를 인수한 후에도 전세계의 지점과 에이전트를 순차적으로 정리교체하면서 몇 년간에 걸친 전세계 네트워크 정리를 마무리 지었는데 그 과정에서 P&G 본사가 30여년간 웰라만을 독점 마케팅했던 인도네시아의 현지 유통회사와 계약을 종료하고 PT. Tri Lestari라는 야망덩어리 회사에게 브랜드를 넘기자 기존 유통회사가 여지없이 도산해 버리는 사건이 벌어졌죠하지만 PT. Tri Lestari도 그렇게 브랜드를 넘겨받은 지 1년이 좀 넘자 이번엔 자기가 웰라 브랜드를 포기해 버렸습니다원래 카두스(Kadus) 정도의 브랜드를 대충 수입판매하던 회사로서는 애당초 웰라의 예전 규모를 유지할 능력 자체가 없었던 것입니다.

 


마침 그때 수입브랜드와 로컬브랜드의 중간쯤 되는 헤어제품업계 3위 기업 마카리조 역시 주인이 바뀌어 있었습니다아카샤 (PT. Akasha International)이라는 회사는 원래 네슬레 브랜드의 석수를 판매하는 회사였는데 네슬레 브랜드에 힘입어 석수사업이 크게 신장하자 그 여세를 몰아 헤어제품회사인 마카리조를 인수했던 것입니다그 과정에서 경영진을 전면 교체하자 예전 경영진들 중 일부가 규합해 마카리조 본점이 있던 자리에 시네르기아(Synergia)라는 회사를 차리고 마카리조에 전면전을 선포합니다시네르기아는 현지에서 빌빌거리던 큔(Kuene) 브랜드까지 인수해 세를 키우는 동안 마카리조는 하향세를 타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역시 돈 있는 회사가 이기기 마련입니다아카샤는 이번에 주인을 잃고 공중에 뜨게 된 웰라 브랜드를 인수하면서 상황을 급반전 시켰던 것입니다인도네시아 헤어제품 시장에서 2, 3위를 하던 두 브랜드를 동시에 거머쥐면서 아카샤는 누구도 넘볼 수 없는 부동의 2위 자리를 굳히게 되었던 것입니다그래서 예전에 두 개의 별도 회사였던 마카리조와 웰라는 아카샤라는 튼튼한 로컬기업의 각각의 사업부문으로 자리잡아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이제 마카리조와 웰라 역시 외국인 미용사들을 초빙하여 제품을 시연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습니다그리고 인도네시아에 지금도 강력하게 불고 있는 한류열풍이 이번에도 크게 작용합니다마카리조 측에서는 티모시그룹(Timothy Group)과 함께 2015 10월에 있을 올해 마지막 미용세미나를 발리 덴빠사르의 풀만호텔(Hotel Pullman)에서 조직하면서 2016년 트랜드 중 하나를 코리언 헤어컷으로 잡고 높은 기술력이 확인된 저명한 한국인 미용사를 초빙해 시연키로 한 것입니다.

 

 

7년 전 인도네시아에 진출해 자카르타 남부경찰서 인근에서 미용실을 운영하고 있는 황인초 원장은 끄망호텔과 롯데쇼핑센터 홀에서도 자신의 헤어쇼를 선보였었고 마카리조 이전에도 알파파프(Alphaparf) 브랜드의 현지 지점 워크샵에서 시연회를 진행했던 적이 있었는데 그런 경력이 마카리조 측의 마음에 쏙 들었던 것입니다.

 


 

그간 한국인 미용사가 현지 미용세미나 또는 워크샵에 나와 시연한 것은 가끔 있던 일이었으나 매번 외국에서 외국인 미용사들을 초빙해 오는 로레알 다음으로 현지 메이저 브랜드 중 하나인 마카리조의 연말 정규 세미나에 한국인 미용사가 주빈으로 초빙되어 일반 제품시연이 아닌 한국 트랜드를 소개하는 일은 처음 있는 일입니다.

 

이번 황원장의 약진을 계기로 인도네시아 소재 한국인 미용사들의 현지 미용세미나 진출은 당분간 점점 더 늘어날 것이 분명해 보입니다한편 K-팝과 K-드라마가 터전을 닦은 한류열풍에 미용한류가 합류하면서 보다 많은 한국 미용브랜드들도 좀 더 본격적으로 인도네시아에 진출하게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마카리조의 발리 덴빠사르에서의 미용세미나는 10 6(오후 3시부터 시작하며 세미나가 끝나는 오후 6시엔 풀만호텔 내 수영장에서 디너파티로 이어집니다.

 

 

한편 10 15()~17() 3일간 인도네시아 최대 미용박람회인 코스모뷰티 전시회(Cosmobeaute – 이거 사실은 코스모보떼 정도로 읽어야 할 것 같습니다만)가 자카르타 컨벤션센터(JCC)에서 개최되는데 한국업체들도 여럿 출품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미용한류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많이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2015. 9. 28.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 목록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 Total 3,028건 1 페이지
  • RSS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028 사이버 공격받은 인니 국가 데이터센터, 백업 안 돼 복구 난항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29 61
3027 발리 빌라서 모여 사이버범죄…인니 이민국, 외국인 103명 체포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28 185
3026 인니, 국가데이터센터 해킹 복구 늦어져…공항 등 서비스 지연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27 120
3025 니켈 공급 과잉에 독·프 기업, 인니 3.6조원 합작투자 취소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25 145
3024 인니 국가데이터센터, 사이버공격 받아…해커, 800만달러 요구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25 157
3023 인니 정부, 재정악화 우려 커지자 시장 달래…재정준칙 지킬것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24 172
3022 관광세 도입 4달만에…인니 발리, 50달러로 5배 인상 추진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24 214
3021 [특파원 시선] 삐걱대는 KF-21 공동개발, 인도네시아 속내는…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24 87
3020 한미일 아세안대사, 동티모르 찾아 아세안 가입 지지 표명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21 50
3019 인니 수도이전 앞두고 '팀 코리아' 신수도 찾아…수주 기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21 102
3018 인니 루피아 가치 4년만에 최저수준에도…중앙은행은 금리 동결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20 266
3017 세계 최대 무슬림국 인니 "X, 음란물 게시 허용하면 접속 차단…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17 272
3016 인니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인수한 틱톡, 직원 10% 구조조정 추…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14 252
3015 뎅기열 환자 급증에…인니, 자카르타에 '불임 모기' 방사키로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12 268
3014 작년보다 더 심한 흉년맞은 인니…쌀 500만t 부족·가격은 급등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12 172
3013 '이슬람 형제국' 인니 대통령당선인 "가자난민 아동 1천명 받자…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12 117
3012 이슬람 선지자 이름을 농담 삼다니…인니 코미디언에 징역 7개월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12 160
3011 신한인도네시아 주간 환율 동향_2024.06.10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11 56
3010 한전, 41조원 인니 송전망구축사업 추진…자바·수마트라 연결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10 192
3009 인니, 구리정광 내년부터 수출 차단…세율 7.5% 부과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05 138
3008 인니, 신수도 선포 앞두고 담당 장차관 교체…투자유치 부진?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04 201
3007 신한인도네시아 주간 환율 동향_2024.06.03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03 97
3006 인니 차기 대통령... 가자지구에 평화유지군 파병할 용의 있어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03 111
3005 인니, 구리정광 수출금지 연말까지 연기…세계 제련업체 '안도'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6-03 73
3004 인니, 이번엔 지방선거법 연령규정 개정…조코위 차남용?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5-31 116
3003 세계 3위 니켈 생산 누벨칼레도니, 소요 사태로 채굴·가공 멈춰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5-29 230
3002 아세안 관문 인도네시아서 국내성적서로 ICT 기기 인증 신청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5-28 124
3001 [게시판] 카카오헬스케어, 인니 대학병원과 '파스타' 현지화 협…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4-05-28 146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