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소식 > 노동부 웹싸이트에 올라온 외국인 인력 관련 보도문.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695)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사회 전반적인 소식을 전하는 게시판입니다.
문의나 홍보는 사전고지없이 삭제 처리됩니다.

노동부 웹싸이트에 올라온 외국인 인력 관련 보도문.

writerprofile

페이지 정보

작성자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2-26 12:04 조회8,557회 댓글2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395501

본문

간단히 중요 부분만 한글 주석 달았습니다.

Rabu, 25 Februari 2015

Jumlah TKA Menurun Tipis Pada 2014

2014년 외국인 근로자 조금 줄어듬.

Berdasarkan daftar Ijin Mempekerjakan Tenaga Kerja  Asing (IMTA) yang diterbitkan Kemnaker, jumlah Tenaga Kerja Asing (TKA) di Indonesia mengalami penurunan dari 68.957 tahun 2013 menjadi 68.957 pada 2014.
2014년 68,957명. (2013년 인력수랑 같은데 노동부서 잘못 쓴거 같네요..)

Dari jumlah tersebut, TKA di dominasi dari negara China dengan jumlahnya yang mencapai 16.328 orang, disusul Jepang 10.838, Korea Selatan 8.172, India 4.981, Malaysia 4.022, Amerika Serikat 2.685, Thailand 1.002, Australia 2.664, Philipina 2.670, Inggris 2.227 dan negara lainnya sejumlah 13.200 orang.
국가별 인력. 한국은 8,172명으로 중국, 일본 다음 3위 입니다.

Sektor perdagangan dan jasa mendominasi dengan jumlah TKA mencapai 36.732 orang, sektor industri 24.041 dan sektor pertanian sebanyak 8.019. Jika berdasar pada level jabatan TKA professional  berjumlah 21.751 orang, advisor/konsultan 15.172, manager 13.991, direksi 9.879, supervisor 6.867 dan komisaris sebanyak 1.101 orang.
분야별 인력. 특히 무역 및 서비스쪽이 제조업보다 많은게 눈에 띕니다.
그리고 직책별로도 나오는데 매니져보다도 Advsior/konsultan 인력이 더 많은것도 눈에 띕니다.
이러니 무역 및 서비스 업종쪽으로 지금 줄일려고 Advisor 레벨에 대하여는 1년짜리 KITAS를 안주고자 합니다.

Menteri Ketenagakerjaan M Hanif Dhakiri mengatakan jumlah TKA yang bekerja di Indonesia dipengaruhi naik turunnya nilai investasi dan laju perekonomian Indonesia serta adanya kebijakan pengendalian TKA.

“Pemerintah Indonesia  memang memperbolehkan dan terbuka bagi orang asing untuk bekerja di Indonesia. Tapi pemerintah tetap memiliki kebijakan pengendalian penggunaan tenaga kerja asing untuk melindungi  pekerja Indonesia,” kata Hanif di kantor Kemnaker, Jakarta, Rabu (25/2).
노동부 장관 왈 물론 외국인 근로가 허용되나 자국 근로자 보호를 위해 인력 관리가 필요하다 함.
쉽게 말해 몇십만도 아닌 7만명 외국인 근로자들이 수억인구 국가의 자국민 실업율을 높인다 생각하면서,
자국민 보호를 해야 하니 외국인 근로자 고용을 제한해야 한다는 발언입니다.


Menurutnya dalam upaya pengendalian jumlah tenaga kerja asing, pemerintah Indonesia mempertimbangkan  aspek pengembangan Sumber Daya Manusia di Indonesia.

“ Pemberi kerja atau perusahaan yang memperkerjaan TKA wajib mengutamakan  tenaga kerja Indonesia pada semua jenis jabatan yang tersedia. Namun bila jabatan tersebut belum dapat diduduki pekerja Indonesia baru boleh mempekerjakan TKA,” kata Hanif.

Pertimbangan lainnya adalah asas manfaat dan aspek legalitas. Selain harus melengkapi dokumen dan perijinan , penggunaan tenaga kerja asing mendorong pembukaan lapangan kerja yang luas terutama bagi pekerja lokal.

“Saat kebutuhan tenaga kerja asing itu diajukan, maka kita akan lihat seberapa banyak manfaat yang bisa diperoleh bagi tenaga kerja lokal. Kalau tidak sesuai dengan kebutuhan, tentunya kita akan menolak,” kata Hanif.
노동부 장관이 계속 원론적인 이야기하면서 마지막에 자국민 고용 많이 안함 외국인 고용 거부하겠다는
멘트도 있습니다.


Sumber: Pusat Humas Naker&n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게으른마당쇠님의 댓글

게으른마당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자고님,
교민 대비 노동허가가 적은 이유는 불법 노동 보다는 가족 부임/거주가 많기 때문입니다.
일본인들의 경우 주재원 부임 시 가족 부임보다는 단독 부임이 많은 편이고,
한국인의 경우 대부분 가족부임인 관계로 교민 수 차이가 많이 날 수 밖에 없죠

자고님의 댓글

자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한국인이 5만명이며, 최대의 외국인 커뮤니티라고 하는데, 정식으로 허가받고 세금내서 일하는 사람은 일본인들보다 더 적네요. 세금을 내기 싫어서 일까요? 아니면 노동허가를 받기가 어려워서 그럴까요? 
참고로 일본인은 작년 통계로 17000명가량이 인도네시아에서 거주하고 있다고 합니다.

  • 검색
  • 목록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 Total 42건 1 페이지
  • RSS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2 신규 KITAS 진행 국고 행정비 납부 절차 변경. 댓글4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1-02 5274
41 외국인 고용 관련 노동부 장관령 개정/일부 완화. 댓글6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0-26 5136
40 수입 무역업자에 대한 희소식 및 API 규정 변경. 댓글7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0-17 7296
39 서울고 동문회 10월 정기 모임 공지드립니다.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10-08 4130
38 정관상 외국인 이사, 감사에 대한 DPKK 납부 기준. 댓글10 첨부파일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9-08 6290
37 중국인 근로자 고용 관련 노동부 방침.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8-11 4723
36 외국인 근로자 관련 (신)노동부 장관령 발표. 댓글14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7-09 7622
35 [매우 중요] 4월 6일부 이민국 온라인 비자 제도 시행 !!! 댓글3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31 6870
34 무역업 PMA 신규 설립시 투자청측의 세부 투자 항목 요청 및 … 댓글4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25 7355
33 신발제조업외 타업종 외국인 워킹 비자 제한 규정. 댓글5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02 9251
32 신발 제조업(Industri Alas Kaki)에 대한 워킹 비… 댓글1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3-02 6447
열람중 노동부 웹싸이트에 올라온 외국인 인력 관련 보도문. 댓글2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02-26 8558
30 답변글 워킹비자 관련, 노동부 규정 변경. 댓글2 첨부파일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07 7154
29 워킹비자 관련, 노동부 규정 변경. 댓글3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06 9545
28 답변글 외국인고용업체 이민국에 온라인 법인등록 댓글3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05 7046
27 19개주 2015년 주최저임금(UMP) 리스트. 댓글2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1-05 7867
26 자카르타 일부 이민국 규정 변경. 댓글9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10-03 12057
25 2015년 국경일 및 CUTI BERSAMA 일정. 댓글8 첨부파일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28 10537
24 금일 오후 자카르타 시내 데모등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댓글4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8-21 9756
23 KITAS 수속시 1년짜리 Multiple Exit Re-ent… 댓글11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14 10309
22 비자, 이민국 관련 비용 (정식 국가 납부 수수료) 인상. 댓글3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02 8286
21 전자 세금 계산서 7/1일부로 순차적 시행. 댓글3 첨부파일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7-02 7483
20 통상부 NEW 법령 및 규정 간략 (트레이딩 / 철강 금속 수입… 댓글2 첨부파일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6-09 5779
19 만디리 ATM 블로킹. 댓글6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5-12 9346
18 새로운 투자 네거티브 리스트 (DNI) 발효. 댓글1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5-09 5699
17 SARIATER 캠핑 경험 후기. 댓글5 첨부파일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3-02 7513
16 25일 (화) 국회의사당 / 대통령궁 쪽에서 노조 데모 있습니다… 댓글1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2-20 4989
15 광산 업종에 대한 투자 계획 / 정관 변경시. 댓글5 SHKon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02-08 7286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