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소식 > 인니 부통령 "한인 이주 100주년…삼성·LG 모르는 사람 없어"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998)
  • 최신글

LOGIN
인도네시아 사회 전반적인 소식을 전하는 게시판입니다.
문의나 홍보는 사전고지없이 삭제 처리됩니다.

인니 부통령 "한인 이주 100주년…삼성·LG 모르는 사람 없어"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09-21 14:42 조회1,317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81121

본문

1920년 9월 20일 '첫발' 장윤원 선생 가족 "우연 아니야"



(자카르타=연합뉴스) 성혜미 특파원 = 마루프 아민 인도네시아 부통령은 20일 "인도네시아 한인 이주 100주년을 축하한다"며 "삼성·LG 같은 한국 제품을 모르는 사람이 누가 있겠느냐"고 말했다.


마루프 부통령은 이날 재인도네시아 한인회가 유튜브 등을 통해 공개한 '오랑 꼬레아 100년의 서사시' 동영상에서 양국 간 협력 증진을 강조했다.


AKR20200919049600104_01_i_P4_20200920112

마루프 아민 인도네시아 부통령 "한인 이주 100년…삼성·LG 모르는 사람 없어"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제공=연합뉴스]



인니 부통령 "한인 이주 100주년, 중요한 순간"


인도네시아의 한인 역사가 시작된 것은 3·1운동 자금을 지원한 장윤원(張潤遠·1883∼1947) 선생이 망명 생활을 하다 1920년 9월 20일 자카르타에 도착한 사건을 기점으로 한다.


1910년대에 조선의 인삼 상인들이 인도네시아를 다녀가기도 했으나 이곳에서 결혼해 정착한 한인은 장 선생이 최초이다.


한인회는 100주년 기념식을 성대하게 치르고 싶었지만, 코로나 감염을 우려해 축사 모음 동영상과 UCC 공모전으로 대체했다.


AKR20200919049600104_03_i_P4_20200920112

100년 전 인도네시아 정착 첫 한인 장윤원 선생의 묘비

[자카르타=연합뉴스 자료사진]



마루프 부통령은 "알고 보니 인도네시아가 독립하기 전 이미 한인들이 인도네시아에 있었고, 그분들 중에는 인도네시아 독립투쟁에 참여해 목숨을 잃고 영웅묘지에 안장된 분도 있다"고 '조선인 독립 영웅' 양칠성에 관해 언급했다.


이어 "이는 양국이 공식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역사적으로 오랜 기간 가까웠음을 의미한다. 이런 관계를 더 강화해야 한다"며 "한인 이주 100주년은 양국의 좋은 관계와 협력을 더 증진할 중요한 순간"이라고 강조했다.


마루프 부통령은 "삼성·LG 등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는 한국 제품이 인도네시아인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며 산업·투자·무역 협력을 부각하는 한편 문화·관광 교류 활성화를 촉구하고, 코로나 대응지원과 협업에 대한 감사를 표했다.


박재한 한인회장은 "100주년 행사가 인도네시아 한인이라는 일체감과 새로운 100년을 만들어가는 동력이 되길 바란다"며 "인도네시아 한인 100년사는 다음 달 말 출간을 위해 막바지 작업 중"이라고 말했다.


AKR20200919049600104_08_i_P4_20200920112

박재한 재인도네시아 한인회장 "새로운 100년 동력 되길"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제공=연합뉴스]



故 장윤원 선생 며느리 "우연 아닌 신의 뜻"


고(故) 장윤원 선생 가족 중에서는 둘째 며느리 쁘 완 조(93)씨가 대표로 축사했다.


그는 "시아버님이 인도네시아에 첫발을 디딘 지 100주년이 된 것을 축하해 주셔서 한국 대사관과 한인 동포 여러분께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어 "저희는 시아버님께서 인도네시아로 온 것이 우연이 아니라 신의 뜻이라고 믿고 있다"며 "우리 모두 과거의 역사로부터 교훈을 얻어 더 나은 삶이 되길 바란다"고 의미를 강조했다.


또 "앞으로도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좋은 친분이 역사에 기록되길 소망한다"고 덧붙였다.


쁘 완 조씨는 장윤원 선생의 차남 장순일의 아내다.


AKR20200919049600104_07_i_P4_20200920112

장윤원 선생 둘째 며느리 쁘 완 조 "우연 아닌 신의 뜻"

[재인도네시아 한인회 제공=연합뉴스]



장순일은 1960년 인도네시아에 설립된 가톨릭계 대학 아뜨마 자야(ATMA JAYA)의 공동 창립자 12명 가운데 한 명으로, 초대 공대학장과 재단 부이사장을 지냈다.


이 대학 공과대 건물에는 장순일의 일본식 발음을 반영한 'J.P.CHO'(준이치 파울 조)라는 명패가 붙어있다.


한인회와 대사관은 한인 이주 100주년을 맞아 이 명패를 '장순일관'으로 바꿔 달려고 노력했으나 대학 측과 장 선생 가족 측이 상대방과 협의하라고 미뤄 성사되지 않았다.


AKR20200919049600104_05_i_P4_20200920112

'공대 건물 명패 논의' 류완수 영사, 박재한 한인회장, 사공경 한인니문화연원장

[자카르타=연합뉴스 자료사진]



인도네시아 이주 첫 한인 故 장윤원은 누구


한인 100년사 편찬위원회에 따르면 장윤원 선생은 중추원 의관을 지낸 장석찬의 외아들로 일본 동경제국대학 상과를 졸업한 뒤 은행에서 일하다 1919년 3·1운동 당시 은행 돈을 빼돌려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했다.


장 선생은 독립자금 지원 사실이 발각되자 만주를 거쳐 베이징으로 도망, 1920년 당시 인도네시아를 식민지배하던 네덜란드 총독부 고위관리의 권유로 망명했다


장 선생은 인도네시아의 네덜란드 총독부 일본어 담당 수석 고문관으로 일했다.


일본은 1942년 3월 인도네시아를 점령하자마자 장 선생과 장남을 체포해 헌병대로 끌고 가 고문한 뒤 교도소에 가뒀다.


장 선생은 1945년 8월 종전으로 출옥한 뒤 재자바 조선인민회 출범을 뒤에서 돕는 등 조선 동포들을 위해 뛰었으나 고문 후유증 등으로 1947년 11월 65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그는 고국에 두고 온 가족이 있었으나, 인도네시아에서 중국 여성과 결혼해 2남 3녀를 뒀다. 장남해(장남), 장창포, 장방기, 장순일(차남), 장평화씨 순이다.


막내딸 장평화는 한국총영사관 직원으로 채용돼 1971년 한국을 방문하고, 1974년 한국인 외교관과 결혼해 2016년 숨질 때까지 한국에서 살기도 했다. 남편은 여한종 전 파푸아뉴기니 대사다.


그동안 장윤원 선생의 후손들은 한인사회와 거의 교류가 없었으나, 한인 이주 100년을 앞두고 지난해 대사관이 가족 6명을 초청해 한인 100년사 집필진과 함께 식사 자리를 마련했다.


AKR20200919049600104_06_i_P4_20200920112

100년 전 인도네시아 첫 이주한 장윤원 선생 가족사진

[재인도네시아 한인 100년사 편찬위원회]





출처 :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892481
좋아요 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목록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 Total 3,017건 70 페이지
  • RSS
인도네시아 소식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열람중 인니 부통령 "한인 이주 100주년…삼성·LG 모르는 사람 없어…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21 1318
1084 교민과 함께 만드는 신문 - Media Korea 제72호 jamesbirdi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1-05 1317
1083 10일(수) 오후 3시반부터 시작되는 남자 휠체어 농구 한일전 민관협력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09 1311
1082 조코위 대통령의 식량자급 정책 이대로 좋은가? RinduAlamHan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2-28 1310
1081 10월 10일 경기 일정 공유합니다. 민관협력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10 1307
1080 인니, 투자유치 위해 노동법 등 개정…노조·환경단체 강력 반발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0-06 1306
1079 지누스 인도네시아 3공장 설립 추진, 이윤재 미국시장 확대 집중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1-17 1298
1078 [아세안 X 시나위] Ep. 3 인도네시아 “븡아완 솔로” | …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24 1294
1077 인니 보르네오섬 앞바다 풍랑에 14척 침몰…55명 사망·실종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7-16 1292
1076 日스가, 인도네시아 도착…조코위와 안보·경제협력 논의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0-20 1292
1075 똥으로 만든 명함과 청첩장, 누구 똥일까 [슬라맛빠기! 인도네시…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10-28 1289
1074 인도네시아 아기 오랑우탄 구출…수마트라호랑이 덫에 걸려 죽어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3 1282
1073 [아시안게임] 여자 핸드볼 결승전 시청률 10.7% 민관합동위원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9-16 1280
1072 제3회 2018 장애인아시안게임 한인응원단 모집 민관협력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9-22 1276
1071 좋아요1 마지막 남은 일본과의 경기가 대회 7연패를 위한 사실상의 결승전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8-26 1276
1070 2018 장애인 아시안게임 지원 민관협력위원회 출범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9-25 1272
1069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서 관광버스 추락..27명 사망(종합)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11 1266
1068 신한인도네시아 주간 시장동향 및 이슈 - '21년 9월 4주차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9-27 1263
1067 좋아요1 '금메달 65개·종합2위 목표'…태극전사, 아시안게임 발진 아시안게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7-10 1258
1066 KCC글라스, 인도네시아에 첫 해외공장 설립…"글로벌 시장 공략…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5-06 1239
1065 한국 메달 집계(10월 10일 기준), 10월 11일 경기 일정 민관협력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10-11 1237
1064 인도네시아, 中시노백 이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도착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3-09 1234
1063 인도네시아 B737 스리위자야 국내선 여객기 바다 추락(종합2보…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01-09 1211
1062 '운석 로또' 인니인 "20억 가치?…1천600만원에 팔아 실망…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1-20 1207
1061 '5세아 살해' 인니 뒤집은 15세 소녀, 사실은 성폭행 피해자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5-19 1206
1060 인도네시아 강경 무슬림 의원들 '전면 금주법' 재추진 논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1-14 1197
1059 동남아(ASEAN) 지역학 석/박사 및 석박사통합과정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4-10 1195
1058 [AG미디어데이] 이기흥 회장 "독도 표기 요청..北은 옥류관 … 아시안게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07-10 1194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