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단체/기관 > 바나나 고르기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860)
  • 최신글

LOGIN

한국문인협회 | 바나나 고르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munhyup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2-22 08:42 조회475회 댓글0건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95350

본문

바나나 고르기

 

김주명

 

낯선 나라에 막 적응해서 산다는 것은 창작이론에서나 찾아 볼 수 있는 낯설게 보기그 차체이다. 여러 면에서 어려움이 따르기 마련인데 그중 하나를 꼽으라면 과일 고르기도 그런 경우다. 특히, 바나나 고르기는 몇 번의 낭패 끝에 결국 직접 사는 것은 포하고 남이 주는 바나나를 먹는 것이 제일 맛있다라는 나만의 소극적인 결론에 도달하였다.

e15771a08b4b94bc6331c39990099ac1_1677029

 

 

롬복 옆에는 숨바와라는 섬이 있다. 동서의 길이가 400km쯤 되고, 남북은 들쭉날쭉하며 대부분 사화산 지대이다.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을 막은 대화산 폭발, 탐보라 화산이 있는 섬이다. 그곳을 버스를 타고 여행하는 중, 작은 시장에 잠시 버스가 정차하자 여러 행상들이 모여들었다. 바나나를 한 가득 펼쳐둔 노점이 한눈에 들어왔고, 아직 서투른 이국생활의 호기심이 발동, 바나나를 살펴보았다. 주인장이 맛보라며 하나 건네는데, 정말이지 달달한 바나나 맛이었다. 일행도 맞장구를 친다. 3달러를 지불하고 양 손에 들지도 못할 정도의 바나나를 챙겨 들고 숙소로 오니, 종업원이 반기다가 깜짝 놀란다. 바나나 때문인가? 짐을 대충 정리하고 맥주를 들이키며 안주 삼아 바나나를 먹다가 깜짝 놀랐다. 반쯤 삶은 감자를 먹는 식감에 맛은 떫은 감 맛이 아닌가? ! 시장에서는 입에 살살 녹는 맛인데, 왜 이렇지?

태평양전쟁사의 과달카날 전투에서 미군들이 정글의 야생 바나나를 먹다 지옥의 맛이라고 표현한 부분이 스쳐 지나간다. 숙소직원의 말을 빌자면, 이 바나나는 바로 농장에서 수확한 것이라서 적어도 1주일은 기다려야 맛이 든다고 한다. 오늘이 여행 첫날인데, 저 바나나를 먹으려면 일주일이나 들고 다녀라? 물론, 다음날 체크아웃 하면서 숙소직원에게 익으면 맛있게 먹으라고 당부하고 일행은 길을 떠날 수밖에, 그래도 뒤는 돌아보지 않았다.

 

e15771a08b4b94bc6331c39990099ac1_1677029

 

물론, 바나나는 수확해서 한국까지 오면서 숙성되고 맛이 든다는 것쯤은 알고 있는데, 이정도 일 줄은 몰랐다. 어제는 동네 시장에서 바나나 한 묶음만 샀다. 대충 세어보니 10개 정도가 달려있다. 집에 두고 하루에 한 개씩, 맛의 변화를 익히리라! 다음날 아침, 첫 시도를 했다. 역시 떫은 맛, 그대로였다. 그 다음날도, 또 그 다음날도……. 그렇게 떫은 바나나와 실랑이를 하는 사이 일주일이 지나갔고, 이제 몇 개 남지도 안았는데, 여전히 맛은 떫었다. 왜 이럴까?

그새, 주말부부로 지내던 아내가 집에 왔고 바나나를 보더니, 한마디 툭 던진다. 이건 요리에 쓰는 바나나인데, 이걸 왜? 아내의 설명으로는 주로 튀겨먹거나 삶아서 먹는 바나나라고 한다. 아니, 삶아서 먹는 바나나도 있단 말인가? 일주일 내내 떫은 바나나를 먹고 나서야 아내에게 다짐했다. 이제는 바나나를 직접 고르지 않겠다고…….

 

 

시간을 좀 돌이켜 보자. 1978년 가을이다. 바나나는 정말 특별한 맛을 가진 과일이다. 바나나를 처음 먹었던 그때, 결코 일을 수 없는 일들이 있었으니, 어느 날 아침, 필자는 갑자기 두 다리로 걷지를 못하게 되었다. 이런 날벼락이! 부모님은 어린 아들을 업고서 청도 읍내로 갔다가 곧장, 대구 동산병원으로 왔다. 그리고서 받은 병명이 소아신경마비’, 희귀한 병이며 입원 치료를 하자고 했다. 2주 동안, 온갖 종류의 주사와 검사, 물리치료를 한 번씩 하는 게 하루 일과였고, 저녁에 병실에 오면 어김없이 노란 바나나가 기다리고 있었다. 바나나를 한입 베어 물다 말고는 바나나를 던지며 집에 간다고 투정 정도가 아닌 난리를 피웠으니, 그래도 어머니는 그때 늘 바나나로 나를 달래셨다. 부모로서 당신 심정은 또 어땠을까? 아직도 가슴이 철렁한다. 그렇게 2주가 지나니 이제 조금씩 걸을 수 있게 되었고, 이듬해 무사히 5학년으로 진학했다. 동네 친구들에게 벌써 자랑했던 바나나 이야기를, 새 학기 친구들 모아놓고 또 바나나 자랑을 했다. 너희들 바나나, 알아? 먹어는 봤니?

 

e15771a08b4b94bc6331c39990099ac1_1677030

 

바바나의 본고장에서 사는 사람들이 바나나를 대하는 법은 역시 달랐다. 초상이나 찬치, 손님 접대에 빠지지 않는 바나나는 딱 맛이 제대로 들었을 때 내 온다. 색깔이야 노란 바나나도, 초록색 바나나도 있지만 맛은 한결같다. 달달하고 입에 딱 맞다. 이유식을 막 시작할 간난 아기도 잘 익은 바나나부터 시작한다. 삶은 바나나는 설탕을 조금 뿌려서 먹으면 영락없이 감자 삶아 먹는 것과 꼭 같다. 튀김도 마찬가지, 바나나를 이등분하고서 튀김옷을 두껍게 입혀서 튀겨낸다. 그러면 바나나는 튀김옷 안에서 꼭 시럽처럼 입에 녹아드니, 이 튀김 두어 개와 커피 한 잔이면 간단한 한 끼가 된다.

왜 이렇게 바나나를 삶고 튀겨서 먹을까를 넌지시 짐작도 해본다. 벼농사를 세 번씩 한다지만, 물이 많은 곳에서나 가능하고 거의 대부분이 천수답이다 보니 일 년에 한 번, 그마저도 수확량이 줄거나 하면 먹을 게 마땅치 않은 삶이었으리라. 80년대 이후가 되어서 관개시설도 좋아지고 비료가 보급되면서 배고픈 시절은 끝났다고 하니, 그래도 맛의 유전자는 계속 이어졌으리라!

 

시간이 많이 흘렀나 보다. ‘응답하라 1998’ 드라마의 명대사처럼 제사상에서도 한 자리 딱 차지하는 동남아 과일, 바나나다. 이제는 시장의 바나나 좌판 앞에서, 이건 요리용이고 이건 며칠 숙성시켜야 된다며 그 정도 혜안은 있다며 자랑도 하고 싶고 으쓱 힘도 주고 싶은데, 사람이 없다. 유례없는 팬데믹으로 막힌 하늘 길이 열리고 있다는 소식은 있지만, 여전히 아쉽다. 아는지 모르는지 보름달이 휘익 지나가는 밤이다.

 

 

 

from 롬복시인

 

wnaud0129@hanmail.net

 

사진촬영하신 롬복의 나루투어박태순 대표님은 롬복지킴이로 알려져 있으며, 유튜브 롬복의 모든 것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e15771a08b4b94bc6331c39990099ac1_1677030

 


  • 목록
   
한인단체/기관 목록
  • Total 2,756건 90 페이지
한인단체/기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4 대한체육회 목포시, 2023년 전국체전·장애인체전 개최 준비 박차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2-17 512
263 한국문화원 문화원, <요리의 언어> 행사 개최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6-03 511
262 한국문화원 '한국의 DMZ 평화 생명의 땅 최병관 사진전‘ 개막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6-28 509
261 한국문화원 영화 '헤어질 결심' 특별 시사회 개최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7-15 506
260 한국문화원 한국문화원 세종학당 2022년 2학기 개강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8-24 506
259 신발협의회 재인니한국신발협의회 코파의 힘 Vol 96 인기글 jamesbirdi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8-29 505
258 한국문화원 2022년도 태권도교실 발표회 개최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9-12 505
257 한국문인협회 한,인도네시아 작가교류 인기글첨부파일 munhyup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9-19 505
256 신발협의회 재인니한국신발협의회 코파의 힘 Vol 99 인기글 jamesbirdi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29 503
255 문화연구원 제10회 '인도네시아 이야기' 문학상 공모 인기글 한인니문화연구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7-02 500
254 한국문화원 2022 한국 수묵 전시회 용역업체 입찰공고 첨부파일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8-26 498
253 KOTRA 2022년 인도네시아 해외투자기업 경영지원 세미나 - 자카르타 코트라자카르타무역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02 498
252 한인회 땅그랑반튼 한인회 2023년 KOREA FESTIVAL 연다.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17 498
251 대한체육회 제103회 울산 전국체전 탁구대표 선수 선발전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7-09 497
250 한인회 한인뉴스 2023년 3월호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3-01 493
249 기타단체 경남자카르타사무소, 하동차엑스포와 산청의약항노화엑스포 홍보 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9-20 492
248 봉제협회 한국봉제산업을 선도하는 KOGA Vol.62 jamesbirdi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13 490
247 한인회 한인뉴스 2022년 12월호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2-01 489
246 기타단체 해군 순항훈련전단 (한산도함, 대청함) 자카르타 방문행사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9-22 488
245 신발협의회 재인니한국신발협의회 코파의 힘 Vol 105 jamesbirdi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5-25 488
244 한국문인협회 안남미(安南米), 정말 불면 날아갈까? 롬복시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2-27 484
243 한국문화원 제 2회 고대에서 미래까지 미메시스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06-28 483
242 한인회 한인뉴스 2023년 2월호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2-01 483
241 기타단체 인도네시아 진출 한국기업 비즈니스 다이얼로그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02 482
240 봉제협회 한국봉제산업을 선도하는 KOGA Vol.60 jamesbirdie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1-11 481
239 한인회 한인뉴스 2022년 9월호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09-01 479
238 한인회 한인뉴스 2023년 1월호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3-01-03 477
237 한국문인협회 사탕수수, 단맛으로의 진화 롬복시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12-08 476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