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단체/기관 > 제 5회 한-인니 미디어 설치 미술전 “Nomadic Traveler”

본문 바로가기
  • FAQ
  • 현재접속자 (1666)
  • 최신글

LOGIN

기타단체 | 제 5회 한-인니 미디어 설치 미술전 “Nomadic Traveler”

페이지 정보

작성자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9-01 02:37 조회742회 댓글0건
  • 검색
  • 목록
게시글 링크복사 : http://www.indoweb.org/449637

본문

일정:

-       전시: 2017 9 7 ~ 17

-       미디어 투어: 2017 9 7 () 오후 5~6

-       오프닝: 2017 9 7 () 오후 7~9

-       프로그램: 현대미술 강연 (9 오후 1~3)

 갤러리 투어 (9 오후 4~5, 12 & 16 오전 11~12)

 어린이 미술워크샵 (9 1~3)

            

장소: 자카르타 에드윈 갤러리 (Edwin’s Gallery)

주최: 한국대사관, 한국문화원

기획: 전정옥, 에블린 (Evelyn Huang)

작가:

-       한국 작가: 이한수, 이상현, 이완, 문형민

-       인도네시아 작가: FX Harsono, Julia Sarisetiati, Zico Albaiquni, Venzha Christ

작품: 회화, 사진, 조각, 설치, 비디오, 애니메이션, 실시간 데이터 프로젝션

 

연락처: 전정옥 jeongokjeon@gmail.com / 62 (0)878 8496 3512

 

 

5 -인니 미디어 설치 미술전 ‘ Nomadic Traveler’ 현대 미술에서 발견되는 여행에 관한 개념을 다양한 방식으로 탐구하는 전시이다. 오늘날 현대 미술에서는 이주 (디아스포라) 담론이 되었고, 많은 예술 작품을 통해 이주 혹은 이동의 동기를 관찰 있다. 디아스포라로 고향을 떠난 경험을 표현하는 예술가들이 있는 반면, 평범한 일상으로써 집을 떠나는 행위를 실천하는 이들이 있다. 역사적으로 지리학적 재배치는 "세계화"라는 용어가 공통 어휘에 도입되기 전에도 관찰되었다. 오늘날 그것은 세계적 수준에서 경험되는 지속적인 현상이다.

‘Nomadic Traveler’전시는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현대 미술에서 노마디즘 (유목주의) 이동성에 대한 개념이 어떻게 드러나는지에 초점을 두고 기획되었다. 유목적 경향은 양국의 많은 현대 예술가들이 영토의 경계와 문화적 차이를 뛰어 넘을 발견되고 있다. 그들은 다양한 매체와 기법을 실험하면서 예술적 변화를 겪어오고 있을 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술을 통해 가상 이동성을 찾기도 한다. 이번 전시에 초청 8 인의 -인니 예술가들은 특정한 문화적 맥락에서의 여행에 국한하지 않고 우리 사회와 관련된 물질적, 개념적, 정보적 이동으로 확장하는 작품을 선보인다. 회화, 조각, 비디오, 사진, 실시간 데이터 작품을 통해 전시는 21 세기의 현대 유목 생활의 측면을 반영한 예술적 여행의 즐거운 확장이 것이다.

인도네시아 작가인 에프 엑스 하르소노 (FX Harsono) 인도네시아 역사를 통해 이어져 중국 화교들의 이주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의 설치 작품은 화교로서의 사적 기억의 모음으로 인도네시아의 지배적인 역사의 서사에 대한 대안이 된다. 줄리아 사리세티아티 (Julia Sarisetiati)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이주 노동자들 사이의 지식 교환을 위해 참여 비디오를 제작하였다. 비디오를 통해 한국의 공장 작업 환경에서 유용한 일상 언어 표현을 가르친다. 반둥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예술가 지코 알바이쿠니 (Zico Albaiquni) 지역 관광 캠페인의 명목으로 토지 개발을 일삼는 행태를 지적한다. 반둥의 르뎅 터미날 (Ledeng Terminal) 들어설 호텔 개발 광고를 페인팅 설치로 전환, 관광 산업의 사회적, 문화적 영향을 알린다. 족자카르타에 기반을 벤자 크라이스트 (Venzha Christ) 공상 과학에 평생 동안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는 지구와 우주를 연결하는 일련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기를 만들어 현대 예술의 실천 속에서 우주 여행이라는 주제를 제안한다.

한국의 유목민 작가 이완 (Lee Wan) 평범한 물건 제작법을 배우고 스스로 생산하기 위해 세계를 여행해 오고 있다. 그의 사소하면서도 많은 시간을 요하는 행위를 통해 그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제품을 통제하는 거대한 자유주의 체제를 시각화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문형민 (Moon Hyungmin) 작가의 물리적인 이동 대신 한국적 이미지를 인도네시아 현지 장인에게 전송,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쉽게 유통되는 재료와 생산 방법을 이용한 조각을 생산한다. 그는 한국과 타문화를 차용, 혼합함으로써 미술에서의 독창성에 대해 도전한다. 이한수 (Lee Hansu) 공상과학과 관련된 작품을 통해 세계적으로 발견되는 "혼성 문화" 대한 비판적인 견해를 제시한다. 이번 전시를 위해 진행중인 그의 사진 시리즈는 인간과 외계인 사이의 기이한 병치를 포함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상현은 조선시대 한양선비의 시선을 통해 바라보는 서울의 인왕산의 아름다운 풍경을 쾌활한 애니메이션으로 선보인다.

9 7 일부터 17 일까지 자카르타 소재 에드윈 갤러리 (Edwin’s Gallery)에서 개최 전시회를 통해 관객들은 나라의 다양한 예술작품에 담겨있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예술적 방식을 경험하게 것이다. 오늘날의 글로벌화된 세계 속에서 더욱더 "유목적 " 결험하고 있는 시점에, 관객들은 자신들과 대한 관계를 생각해 보는 계기가 것이다. 

2344771879_1504207834.4068.jpg

2344771879_1504207835.1616.jpg


2344771879_1504208065.4034.jpg

Venzha Christ <The Unknown: received-transmitted> 2017년작리얼타임 데이터설치

2344771879_1504207826.1603.jpg

이상현 <한양선비 인왕산 호랑이> 2012년작애니메이션

2344771879_1504207826.4861.jpg

Julia Sarisetiati <Indo K-Work> 2017년작사진비디오 설치



2344771879_1504207827.5922.jpg

이한수 <c++swingby no. 201705> 2017년작사진

2344771879_1504207830.0091.jpg

문형민 <Unknown City #18> 2006년작사진

2344771879_1504207830.8421.jpg

이완 <메이드 인 인도네시아> 2016년작오브제 설치비디오

2344771879_1504207830.3673.jpg

FX Harsono <Journey To The Past/Migration> 2013년작, 설치


2344771879_1504208184.4612.jpg

Zico Albaiquni <No Land Too Beauty>, 2016년작, 회화 설치

  • 검색
  • 목록
   
한인단체/기관 목록
  • Total 402건 8 페이지
한인단체/기관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6 기타단체 제18기 민주평통 동남아남부협의회 출범회의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10-03 633
205 기타단체 [민주평통]제18기 출범식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27 1185
204 기타단체 [민주평통]북한 6차 핵실험과 화성 12형 미사일 발사 규탄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24 618
203 기타단체 제18기 민주평통 동남아남부협의회 자문위원 위촉식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24 668
202 기타단체 한국산업인력공단 인도네시아 EPS센터 - 스마랑 CBT 시험장 … 인기글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07 1936
201 기타단체 2017년 ASEAN 5개국 취업박람회 인기글첨부파일 바커스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05 703
열람중 기타단체 제 5회 한-인니 미디어 설치 미술전 “Nomadic Trave…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9-01 743
199 기타단체 2017년 하반기 수라바야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과정 안내 인기글 sand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6-16 979
198 기타단체 코린도 - 5,000그루 식목행사 및 생태보전행사 댓글1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6-08 1255
197 기타단체 대우세계경영연구회 GYBM 인도네시아 2기 성료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6-07 1652
196 기타단체 고용허가제(EPS) 제2회 선발포인트제(제조업) 2차 기능시험 …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5-30 1229
195 기타단체 자카르타 아버지 앙상블 제5회 정기공연 인기글 타이거홍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5-30 797
194 기타단체 재인도네시아 용무도협회 제3대 회장 이취임식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5-02 1552
193 기타단체 [EPS] 열심히 한국어를 공부 했어요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4-07 859
192 기타단체 [인우회] “우리가 해 냈다”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3-26 1316
191 기타단체 가장 똑똑한 공부 ‘차수학 스마트’ 인도네시아 출시 인기글첨부파일 leecaru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3-16 1226
190 기타단체 “세븐에듀랑 Jump Up!” 무료 교육 세미나 개최 인기글첨부파일 leecarus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2-20 1998
189 기타단체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7년 상반기 국내‧외 환경전문가 IP… 인기글첨부파일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2-17 890
188 기타단체 건설신문 "창조" 창간호 발행을 축하드립니다. 인기글첨부파일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1-20 1213
187 기타단체 재인도네시아 대한태권도협회 해외지부 조규철 명예회장 국기원명예5…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1-17 2242
186 기타단체 [인작] 인도네시아 인문창작클럽, 출범을 알리다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7-01-13 1562
185 기타단체 마음공부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댓글2 인기글 young2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2-04 1839
184 기타단체 EPS(고용허가제) 선발포인트제를 통한한국으로의 첫걸음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2-09 1814
183 기타단체 PNUI 재인니 부산대 연말 모임 안내 인기글첨부파일 므나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2-05 2486
182 기타단체 코윈 재인니 한글학교 2017년도 1학기 학생 모집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28 1846
181 기타단체 2017년 상반기 수라바야 세종학당 한국어 교육과정 안내 인기글 sand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16 1932
180 기타단체 2016년 송년 콘서트 (제 인니 색소폰 동호회) 인기글 비다까라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15 1791
179 기타단체 [수라바야 세종학당] Why Korean? 직업 세미나 인기글 sandi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11-09 1996
게시물 검색

인도웹은 광고매체이며 광고 당사자가 아닙니다. 인도웹은 공공성 훼손내용을 제외하고 광고정보에 대한 책임을 지지않습니다.
Copyright ⓒ 2006.7.4 - 2024 Powered By IndoWeb.Org. All rights reserved. Email: ad@indoweb.org